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우울 성향 여자 중학생의 우울, 정서조절,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오지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2 No.3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 about GRIP for depressive middle school girls of depression,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aptation. The 21 girls in A middle-school was located Seoul who were top twenty percent of pre-test were selecte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10) who volunteered and a control group(n=11) who didn’t volunteer. During the experimentation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ten group therapy sessions by a trained therapist twice a week. Each session of the program lasted 100 minutes and used GRIP. To measure the effect of program, CDI, Emotional clarity in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regulation ability, Suicidal Ideation Questionaire,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administered for pre-, post-, and follow-up test. For the Homogenity verification of each group used Mann-Whitney U Test, Program for verifying their effectiveness used Wilcoxon 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 shows: first, CDI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Second, emotional clarity in the Trait Meta-mood Scal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therapy. Third, the scores of two subscales of emotion regulation ability also increased. Fourth, the scores of two subscales of school adjustment scal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GRIP reduce depression and can be helpful to improve the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regulation, school adaptation for depressive middle school girls. 본 연구는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우울 성향의 여자 중학생의 우울, 정서인식, 정서조절, 자살사고, 학교적응 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의 A 여자 중학교에서 사전조사를 통해 선별된 우울 성향의 여자 중학생 총 21명으로, 이들을 치료집단 10명, 통제집단 11명으로 구분하였다. 치료집단에는 총 10회기의 GRIP을 실시하였으며, 회기 당 100분씩 소요되었다. 측정도구는 아동용 우울 검사 척도, 특질 상위-기분 척도 중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능력 척도, 자살사고 척도,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에는 각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맨 휘트니 검정,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윌콕슨 검정, 반복측정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RIP에 참여한 치료집단 구성원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아동용 우울 검사 척도의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치료집단의 특질-상위 기분 척도 중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통제집단의 점수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정서조절능력 검사척도에서 하위척도인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과 대인관계 척도가 유의미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료집단 학생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교적응척도의 하위척도 중에서 학교수업적응과 학교친구적응 점수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GRIP이 우울 성향 여자 중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정서인식, 정서조절, 학교적응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사의 교수역량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오지혜,이수영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student-level variables and class-level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s by examining whether there are any relationships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e primary concern of this study is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in class-level variables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argeting 30 homeroom teachers and their 654 elementary school 4 grade students. Student-level independent variables were student sex, economic level of home,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family. Class-level independent variables were teacher sex, school location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consis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competency, knowledge competency,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competency, instructional practice competency, and evaluation competency). Dependent variable was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is study was analyzed by two-level modeling analysis. In conclusion, academic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asses. Especially, instructional practice competency of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directly a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s. Considering that there may also be an indirect effect of teaching competencies, the actual influence may be more than that. Based on the conclusion, the implication that developing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 competency is required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be deriv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수준 변인과 학급수준 변인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학생수준 및 학급수준 변인의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특히 연구의 주된 관심사는 학급수준 변인 중 교사의 교수역량으로 이를 통해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초등학교에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담임교사 30명과 담임교사의 학급 소속 4학년생 654명이고, 종속변인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이다. 학생수준 독립변인은 학생 성별, 가정의 경제적 수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가족의 사회적 지지이며, 학급수준 독립변인은 교사 성별, 학교 위치, 교사의 교수역량(개인적 특성, 지식, 교수설계 및 개발, 교수실행, 평가)이다. 분석단위는 학생수준과 학급수준이므로 2수준 다층모형의 기초모형, 중간모형, 연구모형을 설계하였고, 자료의 다층구조를 고려하여 다층모형 분석 방법을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4학년생의 학업성취도는 대부분 학생수준 분산에 의해 설명되긴 하지만 학급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특히 교사의 교수역량 중 교수실행 역량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역량의 간접적인 영향도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한다면 실제 영향력은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교사의 교수실행 역량 계발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으며, 향후 초등교육과 초등교사의 발전을 위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교사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배경 모델링을 활용한 움직임 감지 홈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오지혜,정지성,안성호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 No.

        As increasing single-person household, the number of lonely death and crime targeti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is paper, we suggest home monitoring service system to prevent those social issues that decisions whether motion is detected or not. This system is installed indoor like living room. there is high probability of fault alarm caused by existence of object’s repetitive movements as rotating pan or waving curtain for example. And noise may be generated by colorful wallpapers or interior decorations. So, this paper verifies that a background subtraction algorithm, we choose, is suitable for indoor environment, is robust noise and the service is suitable to be applied to embedded system based Android platforms.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범죄와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집안에서 사용하는 셋톱박스를 활용하여 실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실내 환경에서는 바람에 흔들리거나 선풍기와 같이 반복적으로 운동하는 물체 또는 기계로 인한 오경보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패턴이 화려한 벽지 또는 많은 물체가 배경에 존재하는 경우 노이즈로 인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한 알고리즘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임베디드 환경에 적용하기 용이하며, 복잡한 배경(노이즈)에서도 강한 특성을 보인다.

      • KCI등재

        재발성 군날개 환자에서 수술 전 결막하 마이토마이신 및 트리암시놀론 주사의 효과

        오지혜,김홍균 대한안과학회 2009 대한안과학회지 Vol.50 No.7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a preoperative subconjunctival injection of mitomycin C or triamcinolone in patients with recurrent pterygium. Methods: The records of 50 eyes of 50 patients who received excision of recurrent pterygium between June 2006 and January 2007 were reviewed. The recurrence rate and postoperative fibrovascular growth were compared in the preoperative subconjunctival mitomycin C, or triamcinolone injection group and non-treated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 quantitative expression level of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β2 (TGF-β1, -β2),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excised sample of the pterygium was assessed.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urrence rate and the relative gene expression level of growth factors in the triamcinolone group and the mitomycin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control group. Postoperative fibrovascular proliferation was more severe in the triamcinolone group than other groups. Conclusions: Subconjunctival mitomycin C or triamcinolone as adjunctive therapy before pterygium excision did not influence the recurrence rate of pterygium. 목적: 재발성 군날개 환자에서 수술 전 결막하 마이토마이신 혹은 트리암시놀론 주사가 수술 후 재발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6년 6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재발성 군날개 환자 50명 50안에서 수술 전 마이토마이신 혹은 트리암시놀론 결막하 주사를 시행한 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재발률, 조직의 침습도 및 수술 시 얻어진 조직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β2,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8.5±3.5개월의 관찰 기간 동안 대조군과 수술 전 마이토마이신 혹은 트리암시놀론을 결막하 주사한 군의 재발률은 각 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성장인자 또한 세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술 전 트리암시놀론을 주사한 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수술 후 조직의 침습도가 높았다. 결론: 수술 전 마이토마이신 혹은 트리암시놀론 결막하 주사는 군날개 조직의 재발에 유의한 변화를 주지 못했으며, 섬유 혈관성 조직 의 증식과 관련된 조직 내 성장인자에도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