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범종속성을 둘러싼 일본의 최근 논의 동향

        오정용(Oh, Jung-Y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圓光法學 Vol.28 No.1

        Im Rahmen von koreanischen Strafrecht versteht man die Täterschaft als primär und die Teilnahme als sekundär verantwortlich. Deshalb kann man so definieren, dass die Teilnahme über die Täterschaft hinaus existiert. Es ist exakt das Problem über die Akzessorietät der Teilnahme, die jetzige Mehrheit nimmt die Stellung, dass die Rechtswidrigkeit solidarisch ist und die Verantwortung individuell. Dies nennt man limitierte Akzessorietät. Solche Annahme ist gleichgültig in japanische Strafrecht. Eine von den aktuellen Streitigkeiten im japanischen Strafrecht ist dieses Problem über die Akzessorietät der Teilnahme. Der Mittelpunkt von dieser Debatte ist wie man unter die limitierte Akzessorietät versteht, die Mehrheit bevorzugt. Die vergangene limitierte Akzessorietät zeigt einfach an unter die Annahme 'die Rechtswidrigkeit solidarisch und die Verantwortung individuell', wenn die Täterschaft rechtswidrig ist, ist die Teinahme ebenfalls widrig. Es gibt nun aber andere Meinungen zu dieser Annahme. Neben der relativen Rechtswidrigkeit existiert ebenfalls die Meinung die Akzessorietät der Teilnahme als die Begründung der Teilnahme. Dennoch im Angesichts von akzessorische Verursachungstheorie wird die Bedeutung von solidarische Rechtswidrigkeit anders verstanden, dies wiederum bedeutet, dass die Rechtswidrigkeit von Täterschaft und Teilnahme in relativen Massen evaluiert werden könnte. Die Bedeutung der Akzessorietät der Teilnahme ist die Rechtswidrigkeit der Täterschaft nicht unbedingt mit der Teilnahme bezogen, sondern die Rechtswidrigkeit ist nur eine Bedingung des Existenz von der Teilnahme. Das heißt, die solidarische Rechtswidrigkeit bedeutet nicht 'absolut solidarisch' per se. Rücksichtsnahme von solchen Punkten, geben 'die relative Rechtswidrigkeit' und 'die Akzessorietät der Teilnahme als notwendige Option für die Begründung der Teilnahme' neue Aspekte an uns.

      • KCI등재

        개정 산업안전보건법에 관한 소고

        오정용(Oh Jung Y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圓光法學 Vol.34 No.2

        우리나라의 산업은 짧은 시간동안 크게 발전해 오고 있다. 이러한 성장의 뒷면에는 부작용이 따르고 있는데, 바로 산업재해이다. 산업재해와 관련하여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되었는데, 이 법률은 우리나라의 산업현장을 반영하듯 점차 그 처벌이 강화되어 왔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 산업안전보건법은 전부개정을 통해 형벌의 강화뿐만 아니라, 그 책임주체에 대해서도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이를 둘러싸고 지나치게 사업주에게 책임을 묻는 입법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현장을 고려할 때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은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될 일이다. 물론 법률을 강화하는 것이 예방을 위한 최선의 선택은 아니다. 그리고 벌칙규정을 강화하는 것이 사고예방의 필연적 관계에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그동안 처벌규정을 강화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재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실제로 산업현장에 대한 사업주의 책임추궁에 대해 미비한 처벌이 문제였으며, 사업주가 책임회피를 할 수 있었던 법의 흠결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이번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은 그동안의 법의 흠결을 메우려고 하는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South Korean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over recent years, but this growth has lead to various side effects including industrial disaster. As a preventative measure,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as established in 1981, and penalties have gradually been strengthened in South Korea. Recent revision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not only further strengthened punishment, but also attempted to expand the scope of responsibility through revision to the law. Complaints have been raised that legislation now holds employers excessively accountable for industrial accidents. However,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settings, we can no longer delay in further developing plans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Despite strengthening regulations and penalties there have been no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levels of industrial accidents, and concerns are still being raised in spite of the changes to the law. This is because punishment of irresponsibility employers is still inadequate in industrial settings, as well as flaws in the law which allow employers to avoid responsibility. It still remains to be seen if revis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ill be able to cover these gaps in the law, and what supplements will be needed from now on.

      • KCI등재

        의회에 의한 검찰견제유형과 바람직한 검찰권실현을 위한 통제방안

        오정용(Oh, Jung-Yong),송광섭(Song, Kwang-Soub)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2 No.-

        얼마 전 있었던 검찰간부의 뇌물수수 사건과 검사의 피의자 성추문사건이 연이어 터지자 검찰은 다시 개혁의 대상으로서 도마 위에 올랐으며, 심지어 지난 제18대 대통령 후보들조차 여야를 막론하고 검찰에 대한 대대적 개혁을 예고하기도 하였다. 특히 검찰권력의 상징이었던 대검중수부의 폐지 등 검찰은 이제 자기성찰의 문제를 넘어 타에 의한 개혁의 필요성을 낳게 하였다. 검찰에 대한 이러한 불신은 비단 지금에서야 문제되었던 것은 아니다. 사법개혁과 관련한 논의에 있어서 검찰은 빠짐없이 등장했으며,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우리나라 검찰이 다른 외국에 비해 그 권력이 막강하다는 점에서 찾는다. 특히 근래에 들어서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의 신설과 검·경 수사권 조정의 문제로 많은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는데, 이들 논의들은 막강한 검찰권을 분산 내지 약화시키는 점에 핵심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법을 통한 검찰권의 분산이 검찰개혁 내지 바람직한 검찰권을 확립함에 있어서 그 통제방안으로 적절한 것인지에 대해 진지한 물음을 던져 보아야 할 것이다. 즉 국가권력기관간의 상호견제와 균형이라고 하는 진정한 취지에 부합되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검찰힘빼기를 하기 위한 통제책으로 기능하거나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이러한 논의들이 진행된 것은 아닌지 많은 의구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바람직한 검찰권의 행사를 위해서 국민적 통제방안을 제시한다. 즉 검찰권의 행사에 대한 국민적 참가는 민주주의적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나아가 선거권을 통한 것보다 더욱 더 강한 직접민주주의의 실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그 권한이 다른 권력기관에 돌아가는 것이 아니고 모든 권력의 근원지인 국민에게 돌아간다는 점에서 국민적 통제를 통한 검찰권의 행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Along with continuous eruption of the bribery case by prosecution executives and sex scandal case by prosecutor’s suspect, prosecution has become the center of attention as an object for reform. Not just that, the last 18th presidential candidates, both in ruling and opposing parties, anticipated the extensive prosecutorial reform. In particular, the elimination of central investigation division of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which was the symbol of prosecutorial power, produced the need for reform by other parties beyond the issues of self-examination. This distrust toward the prosecution is not an issue raised just today. Prosecution has always made its appearance when it came to debates on judicial reform, The reason for such problem can find its way from the fact that Korean prosecution has a huge pow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Especially recently, lots of discussions, including establishment of corruption investigation team for high-ranking official and adjusting investigative powers between prosecution and police, have been going on. These discussions are focused on dispersing or weakening the strong prosecutorial power. However, it must be seriously questioned whether dispersing prosecutorial power through these legislation is appropriate as a control method to establish prosecutorial reform or desirable prosecutorial power. In other words, it is not without some doubt whether it meets the true purpose of check and balance between national agencies of power, or if it simply functions as a control plan to weaken the prosecution, or the discussion has proceeded in concert with political situation. For this, the paper will suggest the national control method for exercising desirable prosecutorial power. In other words, national participation in exercising prosecutorial power not only has democratic meaning, but has meaning of achieving direct democracy much stronger than through right to vote. Also, exercising prosecutorial power through national participation must be noted in that the power goes back to the people, its origin, not to other agencies of power.

      • KCI등재

        기소단계에서의 국민참여

        오정용(Oh Jungyong) 한국법학회 2015 법학연구 Vol.58 No.-

        우리 헌법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규정하여 민주주의의 이념을 최상의 가치로 두고 있다. 민주주의는 다름 아닌 민(民)이 주인이 되는 것인 만큼, 사회의 모든 분야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것이다. 우리는 입법과 행정에 대한 참여의 보장을 바탕으로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있다. 이에 비해 사법에 있어서 만큼은 국민의 의견이 직접적으로 투영되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현재 우리 형사사법은 ‘국민참여재판제도’의 시행을 계기로 사법에의 국민참여가 현실화되고 있다. 그동안 사법적 판단의 몫을 국가의 전유물로 여겨왔던 과거에 비하면 매우 진일보한 것이라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수사기관이 소추를 한 사건에 한정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형사사법절차의 전반에 걸쳐 국민의 일반적인 정의감이 투영되고 있다고는 평가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수사의 최종 책임자인 검사의 손에 사법에의 국민참여의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다. 헌법 제1조에서 이미 사법에의 참여는 보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재판 전의 형사절차에서의 국민참여는 민주주의의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그 정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참여의 보장이 사법의 신뢰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며, 이에 따라 국가와 국민이 상호 대립관계가 아니라, 상호 이해관계가 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rticle 1 of our Constitution, which states that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The sovereignty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reside in the people, and all state authority shall emanate from the people,” places the highest value on the idea of democracy. A democracy where the people is sovereign, guarantees the people’s right to participate in all fields of society. We are realizing a form of direct democracy by guaranteeing participation in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matters. In judicial matters, however, the fact was that we did not have a system that directly reflects the people’s opinions. Curr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trials,”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judicial matters is becoming a reality in the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This has to be deemed as a significant advancement over the past when judicial judgment was seen as belonging exclusively to the state. However, as “citizens’ participation in trials” is limited to cases where the state has filed an indictment, one cannot say that citizens’ general sense of justice is reflected in all areas of criminal justice. As a result,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judicial matters depends on the decisions of public prosecutors who have the final say over crime investigation.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judicial matters is already guaranteed in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and participation in a pretrial criminal procedure has legitimacy in terms of realizing democracy. Guaranteeing such participa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storation of trust in the judiciary. As such, it will help create a relationship that is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and not on confronta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people.

      • KCI등재

        범죄피해자구조금에 대한 구상권제도의 개선방안

        오정용(Oh Jungyong),김성은(Kim Sungeun) 한국법학회 2016 법학연구 Vol.62 No.-

        과거의 형사사법과는 달리 최근에 있어서는 범죄피해자에 대한 피해회복에 큰 관심과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범죄피해자에 대한 보호는 여러 방면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이 중에서도 특히 범죄피해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은 매우 현실적인 문제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범죄피해자보호법을 통해 적어도 생명 또는 신체를 해치는 죄에 해당하는 행위로 인해 사망하거나 장해 또는 중상을 입은 범죄피해자에 대하여 국가의 책무로서 피해자구조금을 지급하는 등의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금의 지급과는 달리 범죄가해자에 대한 구상금의 회수는 사실상 미비한 실정이다. 범죄가해자에 대한 구상금의 회수는 범죄피해자보호기금의 재원마련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에도 현재까지의 대안은 사실상 없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러한 원인은 국가의 구상권의 행사가 신속성을 갖지 못하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즉 범죄가해자에 대한 구상권의 행사는 그 재산에 대한 채권확보가 전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이를 집행하는 시기는 매우 늦다. 결국 구상금의 회수는 시기적인 문제점이 큰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범죄가해자의 재산에 대한 보전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과 이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기관과 인력의 전문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Unlike past criminal matters, people are recently paying greater attention to and making more efforts for damage recovery for crime victims. There are different methods for implementing protection for crime victims; however, among them, economic support for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ly practical issues. Accordingly, Korea carries out a system of paying criminal relief fund through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as a national responsibility, to crime victims who are killed or suffered disability or severe injury because of such crimes that inflict physical pain. Unlike the payment of such relief fund to the victims, however, the recovery of the indemnity amount is still not sufficiently conducted. Although the recovery of indemnity amount from the criminal perpetrators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arrangement of financial resources of the crime victim protection fund, there have been practically no other alternatives. A possible cause for this may be the fact that the right to indemnity has not been promptly exercised. In other words,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indemnity against the criminal perpetrators should premise the securing of the credit for the assets of the perpetrators, but the exercise of the right is too late. In conclusion, the biggest reason for insufficient recovery of the indemnity amount can be found in the late exercise of the right to indemnity, and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that can make the conservation measures possible for the assets of the criminal perpetrators needs to be studied, and the expertise of the institution and relevant personnel that exclusively deal with this matter needs to be secured.

      • KCI등재후보

        법적 분쟁해결에 있어서 법과 심리학의 상호작용에 관한 소고

        오정용(Oh, Jung-Yong),김성은(Kim, Sung-Eun)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8 법률실무연구 Vol.6 No.3

        법과 심리학의 협력 및 공동연구는 목격자의 기억 · 증언 · 진술, 정신감정, 성적 학대로 인한 피해 등 형사법분야에서 시작되어 최근에는 민사법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민사법 영역 중에서도 특히 가족법상 부모가 이혼하는 경우의 미성년 자녀에 대한 처우 등에 관한 판단을 함에 있어서 심리학적인 식견이 활용되고 있다. 즉 법의 분야에 심리학이 필요한 이유는 법률이 인간사회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법적해결은 권리와 의무의 관계를 기초로 하고 있고, 법규범, 사회규범에 의거한 해결이며, 나아가 객관적으로 공정하고 공평한 해결을 지향한다. 현재의 사법은 당해 사건에 대한 법적 해결에 지나치게 치우친 나머지 궁극적으로 당해 분쟁이 해결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해서는 사법적 해결 이후의 당사자들에게 맡겨져 있다. 법적 · 사회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분쟁은 사법적 해결로 이미 종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당사자 간의 인간관계가 회복되지 않는 점, 피해자의 심리적 갈등이 극복되거나 재기가 실현되지 않는 점, 가해자가 문제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여 피해자에 대한 침해가 반복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보면 완전한 의미에서의 법적 해결은 종결되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에는 법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심리학적 접근 또한 필수 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areas of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the fields of law and psychology are within criminal law, and the primary focus is upon witness memory, testimony, statements, mental emotions and sexual abuse. In recent years, proposals have been made for an expansion of this collaborative field to include civil law, in order to deal with sensitive issues such as divorce settlements involving minors, and legal limitation periods in child sex abuse cases. Judicial resolution is based on rights and obligations, however the current judicial system is only required to present a solution to legal conflict. Whether or not the dispute is resolved in reality is a matter for the parties to solve afterwards on their own terms. So while a dispute could be said to be ended by judicial resolution from a legal point of view, human relations between parties can remain unsettled. If a victim’s psychological conflicts are not fully overcome, or a perpetrator has not fully realised their guilt, dispute still remains. Therefore, interpersonal disputes need to involve not only a legal approach, but a psychological one in order to achieve a more complete resolution.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자 현황 및 개선방안 -남성피해자를 중심으로-

        오정용 ( Jungyong Oh ),성소영 ( Soyoung S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자 현황을 파악하고, 남성 피해자가 존재하고 있음에도 남성에 대한 전통적인 고정관념과 남성 피해자를 보호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 이들을 지원하는 제도와 법 규정이 미흡하다는 점을 배경으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현재 범죄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제도와 지원기관들을 파악하였고, 여성 중심의 피해자 지원제도가 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남성 피해자들이 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남성 피해자들을 위한 쉼터 및 기관 설립, 남성 상담사 채용, 남성 피해자에 대한 인식개선 및 관련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으며, 근본적으로는 특정한 성에 따라 지원·보호받는 것이 아닌 ‘범죄피해자보호지원제도’라는 틀 안에서 양성 평등한 제도가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tus of crime victims by gender, and despite the presence of male victims, the traditional stereotype of male and awareness of the need to protect male victims are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mprovement measures against the fact that the system and legal regulations to support them are insufficient. Had identified the institutions and support organizations that are currently being carried out to support the victims of crim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victim support system of female is mainly centered operation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shelters and institutions for male victims, hiring male counselors, improving awareness of male victims, and training for workers in related organizations to prevent male victims from being in the blind spot of protection. Fundamentally, a gender equality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rime victim protection support system”, not supported and protected by specific gender.

      • KCI등재

        간접정범과 정범우위성에 관한 연구

        오정용(Oh Jung Y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圓光法學 Vol.31 No.2

        Where more than one person are involved in the same crime, the Korean Criminal Act classifies them as a principal and an accomplice. A principal is a person who directly commits a criminal act, and an accomplice is a person who assists in the commission of a crime. In general, a principal includes not only a person that actually commits the crime but also a person that materializes his criminal intent by ruling the intent of another actor without directly performing the criminal act (Rule by Intent). The former is defined as direct principal, and the latter, as indirect principal. An accomplice is a person who is involved in the crime on the premise of the existence of a principal. Thus, a principal is an actor who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commitment of a criminal act, and an accomplice is a person who is secondarily responsible for that. Then, when more than one person are involved in a crime, a principal should be identified first, and only then can an accomplice be held responsible for the crime (Predominance of a Principal). In other words, who caused the criminal consequence should be first identified and then a person involved in the principal's act should be held responsible for the crime. However, Paragraph 1 of Article 34 of the Korean Criminal Act defines an indirect principal as "a person who is not punishable" or "a person who is punishable as an offender through negligence" regardless of Rule by Intent. This produces the result far from the principle of Predominance of a Principal. This is attributed to the lack of sufficient review of the principle that an accomplice shall be punished subject to the punishment of a principle.

      • KCI등재

        일본의 검찰심사회제도를 통해 본 또 하나의 시민의 사법참여

        오정용(Oh, Jung-Yong) 한국형사법학회 2011 刑事法硏究 Vol.23 No.3

        Neulich ist die Reform koreanisches Justizsystems unter Progress besonders auf die Keywords ‘Buergerengagement auf die Justiz’. Für diesen Zweck ist die direkte Teilnahme auf die Justiz von Bürgern seit 2008 möglich. Es ermöglicht die Teilnahme ausgewähltes Buergers auf den strafrechtlichen Prozess, dies bedeutet ein großer Fortschritt in der koreanischen Justizgeschichte. Es ist aber nur noch beschränkt auf die Teilnahme nach der Anklage durch die Staatsanwaltschaft, nicht vor der Anklage. Japan hat auch ein ähnliches System. Ein großer Unterschied im Bezug auf dieses Bürgerengament zwischen beiden Ländern ist, dass der japanische Bürger eben vor der Anklage auf den strafrechtlichen Prozess teilnehmen kann. Dennoch die Entscheidung von Bürgern gilt rechtlich bedeutungsvoll. Es wird stark respektiert angesicht der direkten Teilnahme normales Buergers im Großfeld vom strafrechtlichen Prozess. Die Funktion als die Kontrolle der häufigen Anklagendurch die Staatsanwaltschaft wird sehr positiv evaluiert, aber es gibt schätzbare Probleme dadurch. Darüber hinaus wird dieses Arbeit eine sorgfältige Untersuchung ausliefern, insbesonders eine positive Bedeutung solcher Teilnahme vor der Anklage, eben die mögliche Problemen im Falle vom Import solches Systems nach Korea. Es steht im Mittelpunkt, wie der Bürgerengagement auf solchen Fällen aussehen soll.

      • KCI등재

        검찰시민위원회제도의 현황과 과제

        오정용(Oh, Jung-Yong),송광섭(Song, Kwang-Soub) 한국법학회 2014 법학연구 Vol.55 No.-

        우리나라의 형사소추는 기소독점주의와 기소편의주의를 채택함으로써 형사소송에 있어서의 공적인 성격을 분명히 나타내고 있다. 이는 소추권을 행사함에 있어서 공평하고 일관성 있는 사법의 실현을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국가기관에 의한 형사소추의 이면에는 관료주의적 운용, 피해자 또는 일반 국민의 법 감정에 맞지 않는 처분의 위험성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적정한 소추권이 행사될 수 있도록 이를 심사하기 위한 방안들이 논의되어 왔다. 이와 관련해서 검찰항고, 재정신청 등의 제도들이 있으며, 그리고 최근 2010년부터 검찰시민위원회제도가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검찰항고와 재정신청은 검사의 불기소 처분에 대해 이의가 있는 경우에 취할 수 있는 사후적 조치임에 반해, 검찰시민위원회제도는 검사가 공소제기를 하기 이전에 사전적 심사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특히 검찰시민위원회제도는 우리나라의 사법현실을 감안해 볼 때 매우 생소한 제도임에 틀림없다.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형사재판에 있어서의 국민의 참여가 현실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익숙하지 않은 현실을 반영하고 있고, 더욱이 기소절차에 국민이 참여하여 그 적정성의 여부를 심사한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형사사법이 취하고 있었던 현실을 감안할 때 그 생소함은 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검찰이 형사사법에의 국민참여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를 버리고, 국민이 기소절차에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형사사법에 있어서 진일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검찰시민위원회 출범 4주년에 즈음하여 제도의 운용과 성과,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principles of exclusive indictment power and indictment discretion clearly show the public nature of criminal trials in Korean criminal prosecution. The purpose is understood to be the realization of fair and consistent jurisprudence in the exercise of prosecutorial power. However, criminal prosecution solely by the prosecutor’s office also has the danger of bureaucratic operation and decisions that do not suit the intuition of the victim or the public on what is just. As a result, measures have been debated for the appropriate exercise of prosecutorial powers. Devices to this effect include prosecutorial appeal and review of prosecutorial power, and also the Citizen Prosecutorial Committee adopted and operated since 2010. While prosecutorial appeal and review of prosecutorial power are ex post facto measures that may be taken in objection to a prosecutor’s decision not to indict, the Citizen Prosecutorial Committee has the power of prospective review before a prosecutor makes the decision to indict. Doubtless the Citizen Prosecutorial Committee mechanism is foreign to Korea’s legal tradition. Though there is some participation by the public in criminal trial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on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the idea of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justice is still new to Korean law. The participation of the citizenry in the indictment process and its review power are still more unfamiliar to the previously prosecutor-driven nature of prior Korean criminal law. However, it is also progress in Korean criminal law that the institution of the Citizen Prosecutorial Committee lessens the prosecutorial office’s passivity toward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and also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citizens to give their opinions in the indictment proces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operation of the Citizen Prosecutorial Committee in its fourth year since coming into effect, its outcomes, and tasks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