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계적 및 학교적응 요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오정아 ( Jung A Oh ),남부현 ( Bu Hyun Nam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2

        본 연구는 충청지역의 광역시와 군소도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들이 관계적요인(부모, 교사, 친구)과 학교적응 요인(학교생활, 수업, 환경)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55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52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467부를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학교적응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및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 그리고 학교생활과 수업이 진로준비성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관계적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본 결과,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서는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고 부모와 교사관계는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친구요인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결과이다. 셋째, 학교적응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성과 준비성 그리고 독립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주변인은 친구이며 학교생활이 이들의 진로준비성과 독립성 성숙에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학교 내 진로교육 강화, 동아리 활동, 그리고 진로교육연수를 통한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attitude maturity with five career elements(career decisiveness, goal orientation,confidence,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related to relational(parent, teacher,friend) and school adjustment (school life, instruction, environment) variables. To accomplish this, 467 collected data was passed through correlation, and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 The main finding was that friend``s support was highly correlated to and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of the students. Schoollife and instruction were also highly correlated to their career preparation. Parents`` and teachers`` support affected their career decisiveness. Their schoollife wa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career decisiveness, preparation, andindependence of the students. Generally, friends`` support and school life of thestuden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the students`` careerpreparation and independence.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middle schools need to provide more vocational education, diverse afterschoolactivities, and teacher training to support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 KCI등재

        부모갈등과 교사행동이 청소년의 심리적응 및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오정아 ( Oh Jung A ),김은경 ( Kim Eun Kyoung ),윤혜미 ( Yoon Hyemee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갈등과 교사행동이 심리적응,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요인을 밝혀내어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실천현장의 노력에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26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AMOS 23.0 Program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갈등과 교사행동은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갈등 빈도는 청소년의 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갈등 강도는 청소년의 불안과 공격성,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행동은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그리고 공격성과 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격성은 학교폭력 가해행동과 피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안은 학교폭력 피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폭력 피해는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갈등 빈도는 불안과 학교폭력 피해를 통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모 갈등의 강도는 공격성과 학교폭력 피해를 통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사의 지원적 도움행동은 불안을 통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교사의 부정적 피드백은 청소년의 불안과 학교폭력 피해를 통해 가해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담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1) the association with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al conflict and teacher behavior, aggression, anxiety, and bully/victim status in school, 2)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parental conflict, teacher behavior, aggression, anxiety, and bulling victimization on bullying perpetration among adolescents. A survey for a total of 269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was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md path analysis with AMOS 23.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conflict and teacher behavior have 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bully and victim status. Second, the frequency of parental conflict directly influences adolescents’ anxiety level while the intensity of parental conflict on aggression and victim status of school bullying. Third, teacher behavior have direct affect on bulling and victimization, as well as on agg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Fourth, aggression directly effects bullying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meaning highly aggressive adolescents are prone to both form of school bullying. Lastly, bully victims were more likely to transform into bully perpetrat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derstanding the dynamic of bully/victim inter-relation is crucial to desig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pproach. Prevention interventionist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eachers’ response to bullying and to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 KCI등재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결정 예측모형 탐색

        오정아(Oh, Jung A),오해섭(Oh, Haesub)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결정과 관련된 요인을 밝혀내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발달을 위한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미만의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이 무엇인지 예측해 내고자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 36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전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결정 수준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과 부모애착, 부모의 과잉기대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과 부모애착이 높고 부모의 과잉기대가 낮을수록 진로결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 자아성취, 자아존중감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은 자아존중감, 부모의 과잉기대, 부모애착이 진로결정 수준을 잘 예측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녀에 대한 부모의 과잉기대가 낮으며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을 잘 예측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결정 수준에 있어서 성별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정책 및 실천적 접근을 위한 제언을 담았다. 한편,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행동문제와 관련된 변인이 제외되었고, 가족의 경제수준 및 부모학력, 형제관련 변인, 사회참여활동 관련 변인들을 적용하지 못했다. 또한 지역사회 지지변인 외에 검정고시 학원이나 상담지원센터 등 담당자들과 관계와 해당 기관 이용기간과 관련된 내용을 반영하지 않았고 학교 밖 청소년의 유형에 따라 진로결정 수준을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in order to elucid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of adolescents who drop out of full time education. We also sought to provide evidence-based data that can ai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der 18 adolescent drop outs. 363 surveys was selected to be used to predict the key variables affecting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s a result, the key variables that can predict such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were found; namely, self-esteem, parental attachment, and excessive parental expectations. First, for both groups, high self-esteem, strong parental attachment and low parental expectations led to successful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es. Second, for male students, self-esteem and self-achievement were shown to have a stronger influence. Third, for female students, all three key variables, self-esteem, parental attachment, excessive parental expectations, were shown to affect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Consequentially, high self-esteem, strong parental attachment and low parental expectations were the conditions most conducive to effective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These findings on how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out of school youth were affected by gender is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we advanced a number of proposals on practical approaches to ai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out of school youth.

      • 중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과 진로성숙도 향상 효과

        심재희(Sim, Jae-Hee),오정아(Oh, Jung-A),조오숙(Cho, Oh-Sook)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7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2 No.4

        본 연구는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위주의 진로교육이 활성화되게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체험위주의 진로교육은 2013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자유학기제의 시행으로 현실화 되었다. 자유학기제란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자신의 “꿈”과 “끼”를 찾아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위주의 진로교육으로 자유학기제가 효과적으로 운영된다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진로성숙도 연구는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대해 학생이 얼마나 성숙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고 향후 학생의 진로 성숙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가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시범학교인 충북 G지역의 중학교 한 곳과 자유학기제를 전혀 실시하지 않은 Y 지역, C시 소재 중학교 각각 한 곳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빈도와 백분율로 알아보았고 질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해 요인분석과 Cronbach’s α의 내적 합치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지역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F-test,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통하여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을 실시한 G지역 중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진로체험 교육 경험이 없는 Y지역과 C시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보다 진로성숙 태도 영역의 하위유형인 진로계획과 직업태도, 진로 독립성에 대한 지각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학기제를 통하여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을 실시한 G지역 중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진로체험 교육 경험이 없는 Y지역과 C시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보다 진로성숙 능력 영역의 하위유형인 자기이해, 정보탐색, 합리적 의사결정, 진로지식에 대한 지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유학기제를 통하여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을 실시한 G지역 중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진로체험 교육 경험이 없는 Y지역과 C시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보다 진로성숙 행동 영역의 하위 유형인 진로탐색과 준비행동에 대한 지각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The study is designed to give practical help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that was extended to the entire Chung-buk area in 2016 by disclosing the positiv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career maturity. Academic curriculum revision established in 2013 is focused on experience-oriented career training course to free students themselves from the burden of tests during the semester and to find their “dream,” and “talent” for preparing for their future. Therefore, The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nabling the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on career maturity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refer to the maturity of students in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eir careers and to look for ways to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in the future. Therefor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one middle school which practic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the G region of Chung-buk Province and one in the Y region and one in C city, each with no free learning semester. SPSS 21.0 program is operated to identify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tudy subjects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factor analysis and the Cronbach’s alpah which is a measure of internal consistency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In addition, F-test and Scheffe posteriori test have been implement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regions. The results are listed belows. First, the perceptivity of career plan, occupational attitude, career independence underneath career maturity(Attitude area)of students from a school in G region, implementing free learning semester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s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students from schools from Y regions and C city where the free learning semester is not implemented. Secondly, the perceptivity of self-understanding, searching information, rational decision making and career knowledge underneath career maturity(Ability area) of students from a school in G region, implementing free learning semester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s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students from schools from Y regions and C city where the free learning semester is not implemented. Thirdly, the perceptivity of career exploration, career preparation underneath career maturity(Action area) of students from a school in G region, implementing free learning semester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s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students from schools from Y regions and C city where the free learning semester is not implemented. Therefore, the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areer maturity.

      • KCI등재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임신과 출산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연구

        남부현 ( Bu Hyun Nam ),오정아 ( Jung A Oh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8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and understand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of marriage immigrant Vietnamese women during their pregnancy and childbirth. Eigh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ir experiences were considered and their experiences were illuminat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re were discovered five main themes and twenty small themes within two main categories: pregnancy and childbirth. During their pregnancy, the participants felt they were accepted within their Korean family. However, after childbirth they felt they were still outsiders. The main point was that the relationships with Korean husbands were essential to overcome the difficult time. After childbirth, their relationships with mother-in-laws were not good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during postnatal care. Childbirth was seen as giving a great gift to participants` husbands, but was stressful to the participants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child caring and concerns about child`s education. The participants` relationships of other family members had positive or negative inclinations depending on their family members` interests or conditions. The participants wanted to work quickly and did not plan for another chil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to childbirth, some policies and practices were proposed in education, social welfare, and counseling fiel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