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LND-FDTD 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균열에 의한 전자기 차폐 효과 분석

        오일영(Ilyoung Oh) 한국전자파학회 202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1 No.2

        본 논문은 극저분산 유한차분 시간영역(Extremely Low Numerical-Dispersion Finite-Difference Time-Domain, ELNDFDTD) 기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전자기 특성을 해석하였다. 콘크리트의 정확한 전자기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서 주파수와 콘크리트의 비유전율과 도전율 특성에 맞는 ELND-FDTD의 변수 값(가중값, 비례값)을 계산하였다. 균열이 있는 콘크리트와 균열이 있는 PEC가 겹친 구조에서 콘크리트의 균열(폭, PEC 균열과의 상대적 위치)이 차폐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차폐효과는 균열의 폭과 입사각에 따라서 최대 20 ㏈ 차이가 났다. 그리고 균열의 위치와 입사각에 따라서 차폐효과가 최대 22 ㏈의 차이가 남을 확인하였다. The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concrete using the extremely low numerical dispersion finite-difference time-domain (ELNDFDTD) method have been analyzed. To analyze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concrete accurately, we calculated the weighting factor and scaling factor in the ELND-FDTD according to the frequency, relative permittivity, and conductivity of the concrete. The effects of cracking (width and relative position with perfect electric conductor (PEC) cracking) on shielding effectiveness were analyzed in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the cracked concrete and cracked PEC. The shielding effectiveness had a variation of 20 ㏈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crack and the angle of incidence. Furthermore, the shielding effectiveness was found to differ by up to 22 ㏈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rack and the angle of incidence.

      • KCI등재

        H(2,4) 기법을 기반으로 한 저분산 FDTD 기법의 손실 매질의 광대역 해석을 위한 최적화 방법

        오일영(Ilyoung Oh) 한국전자파학회 201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9 No.3

        본 논문은 H(2,4) 기법을 기반으로 한 저분산 유한차분 시간영역법(Finite-Difference Time-Domain: FDTD)을 이용하여 상수 도전율과 비유전율을 갖는 유전체의 광대역 전자기 특성을 정확하게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수치분산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안한 FDTD 기법에서 이용하는 세 개의 변수의 최적값을 계산하였다. 잘 알려진 정확한 FDTD 기법들과 제안한 FDTD 방법으로 2차원 원형 유전체 실린더의 광대역 산란 문제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이론값과 비교하여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d the optimization method of the extremely low numerical-dispersion finite-difference time-domain (ELND-FDTD) method based on the H(2,4) scheme for wideband and extremely accurate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lossy material, which has a constant conductivity and relative permittivity. The optimized values of three variables are calculated for the minimum numerical dispersion errors of the proposed FDTD method. The excellent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esults of three different FDTD methods and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two-dimensional dielectric cylinder scattering problem.

      • KCI등재

        플라즈마의 특성 분석을 위한 수정된 로렌츠 분산 모형 기반 FDTD 알고리즘

        안욱현(Wookhyun Ahn),김상인(Sangin Kim),조창석(Changseok Cho),오태주(Taejoo Oh),이용식(Yongshik Lee),오일영(Ilyoung Oh),임진우(Jinwoo Yim),하정제(Jungje Ha),배지훈(Gihun Bae),유흥철(Heung Cheol You),육종관(Jong-Gwan Yook) 한국전자파학회 202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2 No.2

        본 논문은 유한 차분 시간 영역법(FDTD: finite-difference time-domain)에 적용 가능한 플라즈마 분산 모형을 제안한다. 주파수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플라즈마의 분산 특성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해 수정된 로렌츠 분산 모형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가중최소제곱법 기반의 복소 곡선 접합법을 적용하여 플라즈마에 대한 수정된 로렌츠 분산 모형의 계수를 추출하였으며, 수정된 로렌츠 분산 모형을 FDTD에 적용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수정된 로렌츠 분산 모형 기반의 플라즈마 모형이 유전체 장벽 방전(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플라즈마 발생기를 유전체 슬래브로 등가 모델링하여 추출한 유전율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광대역 레이다 단면적(RCS: radar cross-section) 측정실험의 결과와 비교를 통해 제안한 수정된 로렌츠 분산 모형 기반의 FDTD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to analyze the dispersive characteristics of plasma, a dispersive model suitable for the finite-difference time-domain (FDTD) method is proposed. The dispersive characteristics of plasma with varying electrical properties according to frequency we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expressed using the modified Lorentz dispersive model. The coefficient of the modified Lorentz dispersive model was extracted by applying complex curve fitting based on the weighted least squares method. The method of applying the modified Lorentz dispersion model to the FDTD is discussed. The plasma model based on the modified Lorentz dispersion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was verified to match the data of th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generator from dielectric slab equivalent modeling.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FDTD algorithm based on the modified Lorentz dispersive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broadband radar cross-section (RCS) measurement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