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시민성 및 글로벌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영어 수업운영 사례연구

        오은주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2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내용언어통합학습(Content Language Integrated Learning)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세계시민성 및 글로벌역량 함양과 영어학습을 통합하는 교양영어 수업모델을 운영한 사례연구이다. McTighe & Wiggins(1999)의 백워드 디자인을 활용하여 설계된 수업모델(오은주, 2021)은 교양영어 수업의 바라는 결과(세계화와 세계시민 이해하기, 글로벌역량 이해하기, 테크놀로지 도구 이해하기, 영어 의사소통 이해하기)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아태교육원 세계시민교육 온라인 캠퍼스의 GCED101자료를 활용하여 세계시민성 개발을 위한 학습경험을 제공하였고, PISA 글로벌역량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글로벌역량 함양을 위한 미디어 기사읽기를 수행하였다. 또한 어려운 영어자료의 접근성을 높여 원활한 내용습득을 돕기 위해 다양한 비계(e.g., 기계번역기, 한국어, 협력학습)를 제공하였다. 한 학기 동안 운영된 수업에 대한 바라는 결과 성취여부에 대한 학습자인식 조사에서 네 개의 바라는 결과는 모두 달성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PISA 글로벌역량의 사전사후 검사결과 수업과 연계된 다섯 개의 하위구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진보를 보였고, 영어 자기효능감 검사의 사전사후 결과에서는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다. 연구 결과의 함의는 세계시민성 및 글로벌역량을 함양하는 교양영어 수업이 언어 학습의 본질적 기능 뿐 아니라 21세기 대학의 교양교육이 지향하는 가치 지향적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초필수 교과목으로서의 잠재성을 탐색한 점이다.

      • KCI등재

        팀 역학과 팀 프로젝트 기반 수업설계

        오은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팀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하여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창의적 성향과 팀 학습 능력을 향상되었는지 알아보고 아울러 팀 역동성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의식 수업과 팀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실시한 후 창의적 성향과 팀 학습에 대한 자기평가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여 팀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 및 팀워크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팀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팀 별로 팀 활동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여 팀의 역동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활동 시 팀의 규칙을 정하지 않거나 팀원들 끼리 서로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지 않는 팀은 팀 평가 점수가 낮았고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려고 노력하는 팀은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팀으로 일할 때 과제시간 더 소요되기 때문에 팀 과제를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유형별로 팀 활동 및 창의적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두 그룹의 전체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eam students' creative tendency and team learning abilities were improved through team project - based instruction, and how team dynamics affected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types of classes(lecture class and team project-based class) were examined. The creative tendency and self-evaluation of the classes were analyzed to find out whether team project based class affects students' creativity and teamwork improvement. The team dynamics were also analyzed to find out how the evaluation of the team activities of the lecture class differs from the team project-based class. Overall, it seems that they do not prefer team tasks because it takes more time to work as a team. According to the T-test, the average of the team evaluations by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eams that did not set the rules of the team at the time of activity or who did not try to help each other among the team members had a low team score.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team project based instruction model was designed and suggested.

      • KCI등재

        Time Management Strategie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오은주,유호정,박인성,한수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6

        This paper examines the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s and strategie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Recently, the number of online classes have increased due to the social changes brought by COVID-19, and students need to adjust to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without any preparations. Students' time management skills are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to lead successful online classe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s and skills. In particular, it focused on students' time management habits and skill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47 students who took online classes at K University in 202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8 program. Technical analysis examined the means and the tendencies of data distribution. ANOVA was used to explore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by gender, academic areas, and grade. This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did not have experience with time management in their learning and did not use time management tools or strategies. Furthermore, the results revealed that mobile applic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ool in the case of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s with using the time management tools.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y were not efficiently managing time in general and in online classes. When they took online classes, they were not using weekends to take classes, and they did not fix any specific time to take classes. Most learners preferred online classes because they could use their time regarding the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However, they did not perceive that online classes are more effective than offline classes. Based on the findings, developing the LMS with a time management matrix was suggested.

      • KCI등재

        자율전공학과 현황분석과 운영방안 연구

        오은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In this study, current situations of the Liberal Arts Department were investigate and the cases of two universities that have operated the Liberal Arts Major were analyzed. Literature analysis and cases studies were used. For the Literature, the papers and the information in the career net and Alimi were analyzed an cases of the two universities that haver operated the major for about 10 yea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 study results, the students stayed in the Liberal Arts Department for the entire school years in the case of A university. They had to take the required classes in order to have ideas and knowledge about diverse study areas before they choose their owen study areas for 2 semesters. After taking classes some classes, they can design their own majors or choose one of the majors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However, the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Department while taking classes in the other departments. In the case of B University, there is not required classes in the first year. The students could freely explore other study areas on their own for one year and move to the major department in the second year.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ain purpose of the Liberal Art Department was to give students with enough time to choose their major study areas, but it was different in the ways of managing the departments and the curriculum.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effective ways of managing the department was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자율전공학과 현황을 고찰해 보고 자율전공학과를 운영해 온 국내대학의 2개 대학의 운영사례를 비교하여 학과의 운영 실태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이 실시되었으며, 문헌분석은 대학알리미 사이트의 자료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공하는 학과정보 자료를 분석하였다. 알리미 사이트에서 우리나라 대학 중 자율전공학과 혹은 자유전공학과의 개설 현황과 폐과 현황을 조사하였고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공하는 커리어넷 학과정보 사이트에서는 자율전공학과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은 자유전공학부를 10년 이상 운영해 온 대학 중 서울에 위치한 A대학과 지방에 B대학의 학과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대학의 경우 자유전공학부에 입학한 학생들은 4년 동안 같은 학부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다양한 전공영역을 탐색하여 자신의 전공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수강하도록 되어있었다. B대학의 경우 자율전공학부를 학부제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하고 있었고, 자율전공학부에 입학한 학생들은 1년 동안 학부에 소속되어 있다가 1학년 2학기에 전공을 결정하고 2학년부터 자신이 원하는 전공학과로 배정되었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전공 신청학과는 몇 개의 특정 학과에 편중되어 있었다. 자율전공학부의 설립 취지는 전공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자유로운 탐구와 고민을 통한 자신의 의사표현의 실현이다. 두 개 대학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그 목적과 운영방법이 다르게 나타났다.

      • KCI등재

        K-pop 댄스 동영상을 활용한 온라인 실기수업 모형 개발 연구

        오은주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YouTube online videos, a form of informal education, focusing on practical education in the K-pop dance acquisition process, and to develop an online practical class model by analyzing how learners acquire dance exercise functions through processes in an online environment. Currently, various learning models and methods are studied so that theoretical education can be provided online at any time, but practical education is limited to providing it online due to limitation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individual guidance on accurate motion performance and feedback and evaluation. However, considering YouTube content, which currently has a diverse learner base, there is no content of education that cannot be provided online, and it is considered only a matter of method and strategy. The reason why K-pop dance was us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the current online K-pop dance choreography video is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shows the fastest learning process and is an online education form with the most diverse and broad-spectrum learn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an online practical class model that emphasizes modeling and feedback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practice was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K-pop 댄스 습득 과정 실기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비형식 교육의 형태인 쇼트 온라인 동영상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해 보고, 온라인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어떻게 과정을 통해 댄스 운동기능을 습득하는지 분석하여 온라인 실기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현재 이론 교육은 언제든지 온라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모델과 방법들이 연구되어 있지만, 실기교육의 경우 정확한 동작의 수행에 대한 개별적인 지도, 수업 과정에 대한 피드백과 평가의 문제 등 교육환경의 한계 때문에 온라인 형태로 제공하기에는 제한이 많은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다양한 학습자층을 확보하고 있는 유투브 콘텐츠를 고려해 보았을 때, 온라인 형태로 제공될 수 없는 교육의 내용은 없으며, 단지 방법과 전략의 문제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K-pop 댄스를 주제로 사용한 이유는 현재 온라인 K-pop 댄스 안무 영상은 가장 빠른 학습의 과정을 보이는 교육 콘텐츠이며 가장 다양하고 스펙트럼이 넓은 학습자를 보유하는 온라인교육 형태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연습의 기회가 제공되는 모델과 피드백이 강조된 온라인 실기수업 모형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Tension and Meaning-Making in the Borders: Marginalia and Intermediality in MS Paris, BnF fr. 122, fol. 1

        오은주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20 중세근세영문학 Vol.3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first folio of BnF fr. 122 to envision an intermedial approach to marginalia in medieval manuscripts. Previous scholarship has rarely treated marginalia as intermedial phenomena, despite the fact that marginalia lie at the juncture of visual and textual media. As an intermedial case study of medieval marginalia, this paper revolves around three themes: marginalia invading text (designated as “image/text”); marginalia in conflict with other images (“image/image”); and the unique meaning-making processes of marginalia. I argue that the marginalia in fr. 122, fol. 1 are not semiotically but semantically invasive of the manuscript’s text. I also hold that they resist the imperatives of the folio’s miniature—thus manifesting tensions within the same, visual medium—and that those selfsame marginalia operate according to their own logic of proliferative meaning-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