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통화국제화: 평가와 전망

        백승관 ( Seung Gwan Baek ),오용협 ( Yong Hyup Oh ) 한국금융연구원 2010 韓國經濟의 分析 Vol.16 No.3

        본 연구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화폐들이 국제통화 또는 지역통화가 되기 위한 선결조건들을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국제 거래에서 사용되는 엔화 비중이 줄어드는 것은 일본의 금융시장에 규제가 존재하고 금융부문이 국제화되지 못했으며, 일본경제의 상대적 규모가 줄어드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둘째, 호주달러화가 국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던 것은 호주의 금융 시장규모가 크고 잘 발달되었으며 금융규제가 철폐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호주달러화가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호주의 경제규모가 작고, 호주달러화 가치의 변동성이 크며, 순 해외채무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홍콩과 싱가포르의 금융부문이 국제통화국들만큼 국제화된다면 홍콩달러화와 싱가포르 달러화는 스위스프랑화와 같이 국제통화로서의 역할을 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넷째, 중국 위안화가 국제적으로 사용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자본이동이 철저하게 통제되어 있고, 금융규제가 있고 금융시장들이 발달되지 못했으며, 정치 위험도가 높기 때문이다. 다섯째, 원화의 국제화 여건도 초기 단계에 있다. 한국은 통화국제화의 지위에 영향을 주는 선결조건들의 대부분에서 기존의 국제통화국들, 홍콩 그리고 싱가포르에 뒤지고 있다. 단, 주식시장의 역동성과 효율성, 국가위험도와 외환보유고에서는 이들 나라들에 뒤지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인도 루피화의 국제 화도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인도는 주식시장의 규모가 크다는 것을 제외하면 모든 면에서 주요 아태지역국들에 한참 뒤떨어져 있다. 한 가지 희망은 인도의 경제규모가 매우 빨리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skepticism about the role of the US dollar as a key international currency has come to the fore again. The Chinese government officially announce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Chinese renminbi. Many other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are seeking the international use of their currencies. This paper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currencies of twelve Asia-Pacific countries meet the preconditions for international and regional currency status. What we find is, first, that the decline in the Japanese yen share in official foreign exchange reserves and in denominating international debt securitie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act that Japan`s financial markets are regulated and not internationalized, and that the relative size of the Japanese economy is decreasing. Second, the international use of the Australian dollar owes much to its financial markets that are unregulated, large and well-developed. But its limited use is mainly due to its small economic size, volatile currency values and deteriorating its net external debtor position. Third, the Hong Kong dollar and the Singapore dollar have the potential to be an international and/or regional currency. Their only weaknesses are that economic sizes are small and debt securities market and banking sector are not relatively internationalized. Fourth, it is premature for the Chinese renminbi to be internationally used. The main reason is that capital is tightly controlled, financial markets are regulated and under-developed, and political risk is high. Fifth, the international use of the Korean won is in its primitive stages and may not be feasible for a while. Korea lags behind international currency countries, Hong Kong and Singapore in all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currency status except for the activity and efficiency of stock market, country risk and foreign reserve holdings. Finally, it may take a few decades for the international use of the Indian rupee. India`s only advantage is that stock market is large. Otherwise India is far behind major Asia-Pacific countries. One hope is that its economic sizes are rapidly increasing.

      • KCI등재
      • KCI등재

        무역구조가 국제 노동분업, 노동수요구조 및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 한중 산업내무역을 중심으로 / 지정토론 / 일반토론

        옥우석 ( Woo Seok Ok ),정세은 ( Se Eun Jeong ),오용협 ( Yong Hyup Oh ),유경준,마재신,신관호,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2007 韓國經濟의 分析 Vol.13 No.3

        본고는 국제무역, 특히 한중무역에서 무역구조가 고용 및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논문은 먼저 기존의 이론에 바탕하여 무역을 산업간무역, 수직적 산업내무역, 수평적 산업내무역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임금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 후, 무역구조가 고용 및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중국 무역에서 수직적 산업내무역과 수평적 산업내무역 양자모두가 고용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업 내에서의 노동수요의 숙련구성의 변화는 수입침투율보다는 수직적 및 수평적 산업 내 무역이 더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직적 산업내무역은 정보통신기술의 확산과는 독립적인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의 노동수요의 숙련구조가 대기업보다 대 중국 수직적 산업내무역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만, 수평적 산업내무역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로 하여금 숙련집약적 생산방식을 채택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었다. This paper is an empirical analysis about the impact of international trade on employment and wages, with a focus on the Korea-China trade. We decompose the international trade flows into their three sub-components, inter-industry (IIT), vertical intra-industry (VIIT) and horizontal intra-industry trades (HIIT). Then we discuss their theoretical implications on employment and the skill-demand structure. Our results for the case of Korea-China show that (i) both the VIIT and HIIT affect negatively the number of the employed, (ii) the within-industry changes in skill composition is better explained by the VIIT and HIIT than the import penetration ratio, and (iii) the VIIT has an independent explanatory power, vis-a-vis the ICT expenditure, for the skill composition. The skill-demand structure reacts more sensitively to the VIIT for smaller firms than larger firms, whereas the HIIT has equally strong impacts on the skill demand both in smaller and larger fi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