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간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체간 근지구력, 조절능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용섭,우영근 대한치료과학회 2012 대한치료과학회지 Vol.4 No.1

        Objective: Learning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the trunk muscle endurance, control ability and balance with stroke patient. Method: 59-year-old man with left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Muscle endurance, back performance scale(BPS), trunk impairment scale(TIS),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MFRT), one leg stand test(OLS) and Berg balance scale(BBS) were measured. Results: Muscle endurance, BPS, TIS, MFRT, OLS and BBS are increased in order to trunk muscle endurance, control ability and balance.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ed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the trunk muscle, endurance, control ability and balance with stroke patient.

      • KCI등재

        조선전기 간행의 의옥집

        오용섭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연구 Vol.36 No.-

        Euiokjib(疑獄集) was compiled by Hwa Ung in the Five Dynasties Period in China(五代) and supplemented by his son Hwa Mong. This book first included 29 criminal cases since the Han Dynasty, but later it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by other people so that its content and structure became gradually changed. It is not known when Euiokjib was first imported into Korea, but it was published in the first year of King Munjong's reign(1059) in the Goryeo Period, and later in the 18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1418) and the 14th year of King Ssongjong's reign(1487) in the Joseon Period. It means that this books was considered important in governing the nation. East Asian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currently holds a volume with three chapters of Euiokjib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It was printed with woodblocks first carved in 1418. This edition of Euiokjib, while published in the later period, is still the oldest existing copy, and shows such valuabl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an original preface by Hwa Ung still remains only in this book. Second, the original titles of criminal cases included in the book can be confirmed. Third, the original 29 cases included in the first edition and the cases omitted in the later period can be identified. Fourth, this particular edition shows the best and complete text without wrong words or errors. Fifth, this book was printed with woodblocks carved on the edition published in 1059 in the Goryeo Period. Sixth, this edition carved in 1418 could include a version complemented in the later period, but not the original version. 「의옥집」은 오대시대 때 화응이 처음 한나라 이후의 의옥사안 29건을 편찬한 뒤에 그의 아들인 화몽이 계속 이어 완성한 책이다. 주로 형법에 해당되는 사안들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원래의 「의옥집」이 망실된 상태에서 후대인들이 계속 증보 또는 개찬하면서 내용과 체재가 점차 바뀌기 시작했다. 「의옥집」이 우리나라에 처음 입수된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국가의 형벌문제에 대해 큰 관심을 두었던 고려 문종 13(1059)년에 이미 개판된 일이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도 태종 18(1418)년과 성종 14(1483)년에 간행하는 등 국가통치에 필요한 책으로 인식되어왔다. 현재 미국의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캠퍼스 동아시아도서관에는 조선전기에 간행된 고본 「의옥집」 3권1책이 전하고 있다. 이 책은 태종 18년에 개판된 판본으로 추정된다. 비록 후쇄본이기는 하나 현재까지 공개된 「의옥집」 중에서 가장 오래된 선본으로 그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저자 화응의 서문이 남아 있는 유일본이다. 둘째, 원래의 의옥사안의 제목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화응이 편찬한 상권 29건의 의옥사안과 후대본에서 탈락된 의옥사안 등을 알 수 있다. 넷째, 오자가 거의 없는 선본이다. 다섯째, 이 판본의 저본으로는 고려 문종 13(1059)년 2월에 간행한 판본이다. 여섯째, 이 판본도 원래의 「의옥집」이 아니라 후대에 의옥사안이 보충된 것일 수도 있다.

      • KCI등재

        11-12세기 교장류 불서의 한중일 교류

        오용섭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8

        『Gyojang(敎藏)』 were published by the Daegakguksa Uicheon of Goryeo(高麗) in the end of the 11th century. So He have collected a lot of Buddhist literature belong to types of Gyojang, both at home and abroad. In particular, He had been obtained over 4 thousand Buddhist literature and woodblocks from Sung(宋). However, since then these Buddhist literatures were rather re-export from Goryeo to Sung. Like this, The two countries make Buddhist literatures exchange. Through exchange of Buddhist literatures, Goryeo acquired the best result that is publishing of 『Gyojang』. Also Sung acquired the revival of Hwaom Idealism. Buddhist literatures were published by Sung is housed in the Kosanji(高山寺) of Japan at present. These shows that the good versions of Buddhist literatures were published in Goryeo re-published at Sung, and Sung exported to Japan these again. We know that exchange of Buddhist literatures had begun by Uicheon in the end of the 11th century, became very important opportunity for Buddhist culture and thought of three country. 11세기 말기에 고려의 대각국사 의천은 『교장』의 간행을 시작하였다. 그래서 국내에 유통되던 교장류 불서를 취합하는 한편 송을 포함한 외국에서도 이 계통의 불서들을 수집하였다. 특히 송에서 입수한 불서는 4,000여권이나 되었고, 심지어 목판을 직접 수입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는 이 계통의 불서들이 오히려 고려에서 송으로 역수출되었다. 곧 고려와 송의 불서 교류는 쌍방향으로 이루어졌던 것이다. 양국의 이러한 교류를 통해서 고려는 『교장』의 완성이라는 최고의 성과를 얻게 되었고, 송은 화엄학의 중흥이라는 큰 수확을 얻었던 것이다. 현재 일본 고산사에 소장 중인 송판 불서 중에는 의천이 전해주었던 고려본을 송에서 중간한 판본이 여럿 있다. 이들은 고려의 선본 불서가 송에서 중간되고, 다시 일본으로 전해지는 삼국간의 불서 교류의 실례를 보여준다. 이렇게 11세기 말기에 의천이 『교장』의 간행을 위해 시작한 불서의 교류는 이후 삼국의 불교문화와 사상까지 발전시킨 매우 중요한 기회가 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혜순이 간행한 용복사 불서

        오용섭 한국서지학회 2015 서지학연구 Vol.63 No.-

        Yongboksa was a temple located in Sakryoung, Gyeonggi-do Province. More than 26 kinds of Buddhist books were published in the temple from 1628 to 1636.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a prolific example. It was an effort to revive Buddhism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ut around 1643, publishing work at the Yongboksa temple mostly came to an end, and Yongboksa has become a ruined temple since then.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hands-on workers of the publication process based on the “offering list.” Based on this research, I was able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books. The leader of the publication project at Yongboksa temple was the Buddhist monk Hyesun. He declared Sangjeong and Jimuk to be in charge of the most important work, and nominated several engravers and “skilled workers of woodblock”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he job. In case of sharing publications, he announced a person in charge so that the publication work could be efficiently fin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Some Buddhist books show characteristics of revisions and improvements. Because of the proofreading, we cannot overlook the accuracy of the content. 경기도 삭령에 있었던 용복사는 국가의 경제상태가 매우 열악하였던 1628년부터 1636년까지 8년간에 걸쳐 26종 이상의 불서를 간행하였다. 이렇게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불서를 간행한 사례는 찾기가 쉽지 않다. 임진왜란 이후 불교계의 세력이 결집되면서 불교계의 중흥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생각된다. 1643년경에는 간행사업이 거의 종료되었고, 이후 18세기 중기에는 폐사되어 현재는 그 흔적마저도 찾기가 쉽지 않다. 이 글에서는 간행사실과 함께 시주질 등에 수록된 간행실무자들을 살펴 용복사에서 간행한 불서들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간행사업의 주도자는 용복사의 승려인 혜순이었다. 그는 대시주에 상정, 별좌에 지묵을 전담토록 하였고, 각수와 연판담당자 등 다른 실무자들도 지속적으로 참여시켰다. 또 분담하여 각판할 경우에는 양쪽의 업무를 조정하는 담당자까지 둠으로써 단기간에 이 일을 성취할 수 있었던 것이다. 용복사에서 간행된 일부 불서의 특징은 새로운 내용이 보완되었고, 교정을 통해 내용이 정확해졌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 KCI등재

        「治腫秘方附」의 서지적 연구

        오용섭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1 No.-

        Eon-Gook Yim, a boil specialist during the mid-16th century, wrote Chijongbibang. Chijongbibangbu was published in Geumgu-hyeon, Jeolla-do in 1707. The book was based on Chijongbibang, but it was supplemented with its Korean translation and the 4 items from Chimgugoungheombang. “Bu” of the title indicates that something has been added to Chijongbibang. The C. V. Starr East Asian Library of UC Berkeley possesses this printed book, and it seems to be the only copy that has been made public. Currently, in Korea, there are two similar manuscripts, both called Chijongbang. They were found to be the transferring manuscript of Chijongbibangbu,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the item's order. Therefore, the fact that they are similar manuscripts of the rare Chijongbibangbu makes them very valuable. Hereafter,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t is recommended to classify the books into Chijongbibang, Chijongbibangbu, the manuscript Chijongbang, and the Chijongbang included in Uihwi. 16세기 중기까지 활동한 치종 전문의인 임언국은 「치종비방」이라는 저술을 남겼다. 이 저술은 1559년(명종 14)에 간행되었다. 「치종비방부」는 「치종비방」에다 「침구경험방」 등에서 선별한 4항목과 한글을 보충하여 전라도 금구현에서 1707년경에 간행되었다. 서명의 “부”자는 「치종비방」에다 약간을 덧붙였다는 의미이다. 이 판본은 미국의 버클리대학 동아시아도서관에 소장 중인데 현재까지 공개된 것으로는 유일하다. 현재 국내에는 이와 유사한 두 종류의 사본이 전한다. 이 사본들의 항목 배열과 내용을 보면 「치종비방부」의 전사본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가치는 드물게 전하는 「치종비방부」의 사본이라는 점에 있다. 아울러 향후에는 「치종비방」, 「치종비방부」, 사본 「치종방」, 「의휘」 수록 「치종방」 등으로 구분하여 유사 전본간의 혼란을 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Effect of lower extremity resistance exercise on gait performance in a patient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with cerebral infarction and lower extremity vasculitis: a case study

        오용섭,우영근 물리치료재활과학회 2016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Vol.5 No.2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istant exercise on the gait performance of a patient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patient. Design: A case study. Methods: A 30-year-old male adult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ystemic lupus erythmatosus (SLE) in April 2013,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and with left hemiplegia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case study. Patient was unable to walk due to being affected with adynamia. Due to developing necrotizing vasculitis on the left lower extremity, patient underwent a myotomy on the left thigh. The patient was trained with a progressive resistant exercise program for 8 weeks. An intensity of 15 RM was used for the resistant exercises and the resistance level was increased progressively in order to improve the muscle power of the patient. Methods used to increase resistance included changing positions, providing mechanical resistance instead of manual resistance, transitioning from open kinetic chain to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and changing the colors of the theraband to those with increase level of resistance.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5-repetition sit-to- stand test (5RSST), Timed Up & Go (TUG), and 10-meter walk test (10MWT). In addition, the GAITRite was used to assess the spatio-temporal gait variables, including gait speed, cadence, stride length of the left side, and double limb support pre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The patient was able to perform sit-to- stand after two weeks of performing the resistant exercises. The patient was able to walk after 4 weeks, and the patient’s overall gait performance had improved after 8 weeks. All of the variables had improved after each week.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may be used to enhance future efforts to objectively evaluate resistant exercises during gait performance in persons affected by SLE.

      • KCI등재

        「청장관전서」 定稿本의 서지적 연구

        오용섭 한국서지학회 2008 서지학연구 Vol.39 No.-

        Cheong-Jang-Gwan-Jeon-Seo is the compilation of several works by Yi Deok- Moo(1741-1793), one of the intellectuals in the mid-eighteenth century. Cheong- Jang-Gwan-Jeon-Seo was first compiled by his son, Yi Gwang-Gyou. It was later corrected and completed by Yi Won-Soo whose fatehr Lee Han-Sool was assumed to be a friend of Yi Deok-Moo.Cheong-Jang-Gwan-Jeon-Seo consists of 71 volumes in 32 books. This book was first transcribed by about twenty people since spring in 1809 through next summer. They were relatives or acqaintances, including followers of Yi Won-Soo. The Asami Collection of C.V. Starr East Asian Library at UC Berkeley has the original manuscript of Cheong-Jang-Gwan-Jeon-Seo. corrected and first completed by Yi Won-soo. Cheong-Jang-Gwan-Jeon-Seo was so far reproduced three times in Korea, but none of the manuscripts was a complete version. Cheong-Jang-Gwan-Jeon-Seo held at Jongyoung-Gak library in Sungkyunkwan University includes Cheong-Ryoung-Guk-Ji completely transcribed from the original manuscript. Therefore, by using the copy held in UC Berkeley as the base, and then the copy held in Sungkyunkwan University as the complement to the missing parts, it is necessary to publish a complete edition of Cheong-Jang-Gwan-Jeon-Seo. 「청장관전서」는 18세기 중기 지식인의 한 사람이었던 이덕무(1741-1793)의 여러 저작을 모은 것이다. 처음 이 책은 저자의 아들인 이광규가 편집하고, 이원수가 교정을 하여 완성하였다. 당시 이원수가 교정책임자로 참여한 것은 그의 아버지인 이한술과 저자인 이덕무의 친분이 바탕이 되었을 것이다.「청장관전서」는 모두 71권 32책이나 되는 많은 분량이다. 최초로 이 책은 1809년 봄부터 이듬해 여름까지 약 20여명의 사람들이 필사하였다. 이들은 교정자인 이원수의 친인척이거나 부하직원 등의 지인들이었다.현재 UC Berkeley의 동아시아도서관에는 당시 이원수가 교정하여 최초로 완성한 「청장관전서」, 곧 정고본이 소장되어 있다. 지금까지 「청장관전서」는 국내에서 3차례 영인 발행되었으나 그 대본이 된 책들은 정고본을 완전하게 전사하지 못한 것이었다. 또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에 소장된 「청장관전서」는 정고본을 전사한 「청령국지」를 수록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에는 UC Berkeley 소장의 정고본을 대본으로 하고, 결락된 부분은 존경각 소장본 등을 수록하여 보다 완전한 「청장관전서」를 간행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