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는 취업모의 동기와 방과후학교에 대한 만족도

        오아림 ( Ah Rim Oh ),유계숙 ( Gye Sook Yoo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ing moth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on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from 317 working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recommendations from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scale of working moth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and the satisfaction scale with afterschool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dentified six motivation factors of working mothers for sending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afterschool programs; promotion of their children`s development, advice of others on afterschool programs and promotion of children`s academic accomplishment, teachers` caring and guidance, work/child rearing balance, quality and flexible hours of programs, and inexpensive tuition. Second, working mothers reported mid to high levels of motivation for afterschool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Final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working mothers` motivation for afterschool programs significantly affect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 KCI등재

        대학생의 구직관련태도 및 자아존중감과 성역할태도가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

        유계숙(Yoo, Gye-Sook),오아림(Oh, Ah-Rim)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2

        본 연구는 서울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대학생이 가지고 있는 구직태도의 비현실성과 구직포기의도, 자아존중감과 성역할태도가 결혼희망연령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직태도의 비현실성 척도, 구직포기의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성역할태도 척도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이 가지고 있는 구직태도의 비현실성과 구직포기의도, 자아존중감과 성역할태도, 결혼희망연령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구직태도는 비교적 현실적이고 구직포기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전반적으로 높고, 성역할태도는 비교적 양성평등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평균 결혼희망연령은 평균 29.98세이며,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결혼희망연령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보다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혼 남녀대학생의 결혼희망연령을 예측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본 결과, 여성보다 남성이, 가족의 소득수준과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구직태도가 현실적일수록 늦은 연령에 결혼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unreality of job search attitudes, intention to give up searching for jobs, self-esteem, and gender-role attitudes on their expected marriage age. Data were collected from 243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six colleges located in Seoul. The questionnaire measurements were based on recommendation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unreality of job search attitudes scales, intention to give up searching for jobs scales, self-esteem scales, and gender-role attitudes sca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llege students showed realistic job search attitudes and low levels of intention to give up searching for jobs. They also reported high levels of self-esteem, egalitarian gender-role attitudes and the mean expected marriage age at 29.98. They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gender-role attitudes and expected marriage age. Male students had more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s and higher expected marriage age compare with female students. Finally, serial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tudents' gender, family income, self-esteem, and unreality of job search attitudes significantly predicted one's expected marriage age.

      • 한국과 미국의 유연근무제도 비교 및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유계숙(Gye Sook Yoo),한지숙(Ji Sook Han),오아림(Ah Rim Oh)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09 창조와 혁신 Vol.2 No.2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한국과 미국의 유연근무제도 도입배경 및 현황, 제도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국내의 유연근무제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미국과 한국 모두 유연근무제도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보이는데 반해 제도 시행율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은 한국에 비해 유연근무제도의 유형이 좀 더 다양하고, 비교적 단기간에 유연근무제도의 도입비율을 증가시킨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한국은 저출산 문제해결과 국가 경쟁력을 위한 여성인력 활용 방안의 일환으로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우수인력 확보 뿐 아니라 고령화하는 노동인구의 적극적인 요구에 부응하여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 모두 제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정부차원의 법제화가 지속되고 있으나, 한국은 아직 기업의 유연근무제도 도입율이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반면, 미국은 법제화 외에도 정부차원에서‘Flex-Option Projects’를 개발·배포하여 기업이 유연근무제도를 성공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유연근무제도 활성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향후 한국에서도 유연근무제도를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유연근무제도의 성과 및 도입성공사례에 관련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업주나 경영자, 인사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연근무 관련 프로그램이나 사업 등을 홍보하고 교육하여 기업들의 자발적인 제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compares policies and practice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reviewing existing research and laws, we compare the grounds for adoption and status of policies and programs of workplace flexibility by governments and employers in both countries. The background of introducing policies for workplace flexibility in Korea is not only to support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but also to react to the extremely low birth rate by the Korean government.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s of employees for flexible work arrangements, there has been less than 10% of implementa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 Korean companies. On the contrary, flexible work arrangements are viewed as desirable by not just women and employed mothers but the entire workforce.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flexibility in the US companies has increased from 68% to 79% in spite of economic instability in the past ten yea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national studies, the US employers can benefit from flexible work arrangements, having more engaged employees, higher retention and potentially lower care costs. The nationwide initiatives on workplace flexibility such as 'Flex-Options Guide' and 'When Work Works' by the US government and several nonprofit research institutes are designed to disseminate research results, best cases, and guidelines on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 the U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workplace flexibility as strategies to enhance businesses'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global economy, and to help both employers and employees succeed. This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olicies and practice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