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비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의 장애인스포츠인식 요인구조 비교 및 잠재평균분석

        서은철(Eun-chulSeo),오아라(Ah-raOh)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5

        이 연구는 비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장애인스포츠인식 척도가 지체장애인들에게도 재현이 되는지 요인구조를 비교하고, 비장애인과 지체장애인에 따라 장애인스포츠인식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충남 지역에 거주하는 비장애인과 지체장애인으로 한정하여 목적표집으로 진행하였으며, 비장애인 397명, 지체장애인 258명으로 총 655명의 응답자료를 수집하였다. 서은철(2015)이 개발한 장애인스포츠인식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탐색적 구조방정식모형과 잠재평균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스포츠인식의 요인구조를 비교한 결과, 장애인스포츠인식 척도는 비장애인과 지체장애인 모두 동일한 요인구조를 형성하였다. 둘째, 비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의 장애인스포츠인식의 차이를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 비장애인과 지체장애인에 따라 장애인스포츠인식은 평균 차이가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인손상차원은 지체장애인 집단이, 개인심리차원과 사회문화차원은 비장애인 집단이 평균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with regard to whether the disability sports awareness scale developed for people without disabilities is reproducible to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verify latent mean differences in how different the disability sports awareness by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Chungnam areas, and this study collected data of 655 respondents with 397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258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disability sports awareness scale developed by Seo(2015) was used, and the results analyzed by applying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latent mean analysis method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mpared the disabled sports awareness factor structure by applying ESEM to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scale was found to be valid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s well to measure disability sports awareness. Second, from the analysis of comparing latent mean of the difference of disability sports awareness betwee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eople without disabilities in disability sports awareness. Specifically, the level of individual injury dimension was perceived to be higher i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group, and the individual psychology dimension and social culture dimension were perceived to be higher in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