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Non-Woven Geotextile Reinforcement on Mechanical Behavior of Sand

        김유성(Kim You-Seong),오수환(Oh Su-Whan),조대성(Cho Dae-Seong) 한국토목섬유학회 2010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9 No.4

        부직포에 의한 보강이 모래의 역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검토를 위해 보강모래와 무보강모래에 대한 일련의 삼축압축시험이 수행되었다. 표준사인 주문진사가 사용되었고, 부직포 보강재가 모래시료 속에 최대 3층 배치되었다. 분석결과 모래속의 부직포 배치는 모래의 전단강도를 크게 증가시켰고, 보강모래는 파괴시의 변형률도 증가하였다. 또한, 보강층수가 증가할수록 보강재에 의한 시료내 전단층의 확신 방지효과의 증가로 보다 연성화하고, 모래시료의 체적팽창 경향은 부직포 배치에 의해 억제됨이 밝혀졌다. 보강층수 증가에 의한 효과는 간극비 감소로 인한 효과와 같다. The effects of non-woven geotextiles on mechanical behavior of sand were investigated. A comprehensive series of triaxial compression rests were performed for these investigation on unreinforced and reinforced sand with geotextiles. The Joomunjin standard sand was used and non-woven geotextiles were included into sand specimen with three layers. The inclusion of non-woven geotexrile reinforcement into sand increased the peak strength of sand significantly and the reinforced samples exhibited a greater axial strain at failure. Also the effect on number of reinforcement layers was studied and found as increasing the number of reinforcement layers resulting in more ductility by clogging developed in the shear band within the specimens. It was also found that the tendency of samples to dilate is restricted by non-woven georextile inclusion. The effect of nunber of reinforcement layer increasing is just same to the effect of decreasing void ratio of sand in this case.

      • KCI등재

        히터팬 처리가 저온기 하우스 참외의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신용습(Yong Seub Shin),이지은(Ji Eun Lee),오수환(Su Whan Oh),정종도(Joung Do Cheung),손형락(Hyoung Rac Sohn),도한우(Han Woo Do),김미경(Mi Kyung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6 No.3

        본 연구는 히터팬 처리에 의한 시설환경 개선 및 참외의 품질 및 수량성을 검정코자 수행하였다. 히터팬 처리에 따른 2017년 1월 1일부터 31일간 터널내부의 일평균 온도는 무처리구의 17.8℃에 비하여 히터팬 처리구에서는 18.7℃로 히터팬 처리구에서 0.9℃ 더 높았다. 작물이 자라고 있는 지상 20㎝ 부위의 풍속은 무처리구의 0.05m·s<SUP>-1</SUP>에 비해 히터팬 처리구에서 0.24m·s<SUP>-1</SUP>로 4.8배 높았고 온도는 무처리구의 35.3℃에 비해 히터팬 처리구에서는 40.9℃로 히터팬 처리구에서 5.6℃ 더 높았으나 습도는 무처리구의 39.1%에 비해 8.1%P 더 낮았다. 정식 51일후 개화율 조사에서 무처리구의 91%에 비하여 히터팬 처리구에서는 96%로 5%P 더 높았고, 첫 수확소요일수도 무처리구의 86일에 비해 4일 단축되었다. 과중은 무처리구의 339.7g에 비하여 히터팬 처리구에서 15.1g 더 무거웠고 상품과율도 90.4%에 비하여 3.4%P 더 많았으며 10a당 상품수량도 142.9㎏에 비하여 38% 더 증가하여 95%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하면 히터팬 처리로 시설내 온도상승은 물론 공기의 유동이 활발하여 작물생육에 유리하고 수확시기가 단축되고 품질이 향상되고 수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quality and yield of melon fruit by heat fan operation in greenhouses at winter season. The average daily temperature inside the tunnels during January 1 to 31, 2017 was 0.9℃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17.8℃. The air flow rate of heater fan treatment was 4.8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untreated 0.05 m·s<SUP>-1</SUP>) at 20㎝ above the ground where the korean melon grew.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pan was 5.6℃ high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at 35.3℃ and the relative humidity was 8.1% low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at 39.1%. The flowering rate of the heater fan treatment was 96%, 5% higher than the control. The number of first harvest days of heater fan treatment was shortened by 4 days than that of untreated treatment. Fruit quality and marketable fruit yield increased by 3.4% and 38% compared to untreated respectively, the heater fan treatment increased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and air flow rete, which were beneficial for growing the korean melon in greenhouses at winter s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