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고등학생의 정서행동요인 및 인터넷 과의존의 잠재적 유형 간 관계

        오수경,구혜완,김서현,정익중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6 No.0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서행동요인과 인터넷 과의존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정서행동요인 잠재계층과 인터넷 과의존 잠재계층 간의 전이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16차(2021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고등학생 32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에는, 정서행동요인 및 인터넷 과의존에 대해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후, 두 잠재계층 간의 전이확률분석 방법을 적용했다. 분석 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정서행동요인은 2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고, ‘낮은 정서·높은 학업스트레스군’, ‘높은 정서행동요인군’으로 명명하였다. 인터넷 과의존은 3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고, ‘낮은 인터넷 과의존군’, ‘중간 인터넷 과의존군’, ‘높은 인터넷 과의존군’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낮은 정서·높은 학업스트레스군’은 ‘낮은 인터넷 과의존군’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가장 높았고, ‘중간 인터넷 과의존군’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았다. 그러나 낮은 정서행동의 점수를 가졌음에도 ‘높은 인터넷 과의존군’으로 전이될 조건부 확률은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목해봐야 할 집단이었다. 또한 ‘높은 정서행동요인군’은 ‘낮은 인터넷 과의존군’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중간 인터넷 과의존군’이나 ‘높은 인터넷 과의존군’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고등학생의 정서행동요인에 따라 인터넷 과의존 잠재적 위험 집단을 선별하여 그 대상에 따른 효과적인 개입 및 접근을 고려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고용기업의 사회적 책임 인식과 고용비용 인식이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식개선교육의 조절효과

        오수경 한국직업재활학회 2023 職業再活硏究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ompany’s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mployment cost on employment satisfaction in companies employ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education fo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workplace. Using data from a total of 4,969 companies employ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extracted from ‘2021 Survey on Employment Status of the Disabled in Compani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control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employment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as relatively higher in compani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those with 100 or more full-time workers. Second. the stronger the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e higher the employment satisfaction, and the more negative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cost, the lower the employment satisfaction. Third, the employment satisfaction level of companies that provided awareness improvement training for the disabled in the workplace was higher than that of companies that did no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employment cost and employment satisfaction, there was the moderating effects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 the workpl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ere made which includes promotion strategies to strengthen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reinforcing education contents to improve positive awareness of employment costs,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rate of education fo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workplace, and developing education performance indicators.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기업의 사회적 책임 인식과 고용비용 인식이 장애인근로자에 대한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장 내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의 조절효과를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21년 기업체장애인고용실태 자료 중 장애인고용기업체 총4,969곳의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통제변수의 영향력 분석에서는 수도권지역과 장애인 고용의무 및 고용부담금 적용 대상 기업인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 기업의 고용만족도가 더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고용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만족도가 높고, 장애인고용비용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만족도는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장 내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을 실시한 기업의 고용만족도가 실시하지 않은 기업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용비용 인식이고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인식개선교육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 고용비용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내용의 강화, 그리고 직장 내 인식개선교육의 참여률 증진과 교육성과지표 개발 등의 개선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관광시장 세분화 변수들의 효용성 비교 연구 : 사회인구학적, 싸이코그래픽, 추구편익세분변수를 중심으로

        오수경 관광품질시스템학회 1996 관광품질시스템연구 Vol.2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utility of sociodemographic, psychographics and benefits variables for Japanese tourist visiting Korea. In other word, the research attempts to offer an alternative for product development and publicity for Japanese tourist by studying to find the most useful variable among above three variables in segmenting the charateristics of target market and the destination choice behavior. In conclusion, the result of research confirmed that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more useful in segmenting low involvement group to tourist destination with tourist characteristics and paychographic variables were more explainable in segmenting high involvement group to tourist destination. In addition, benefit variables were more useful than other two variables in segmenting tourist destination choice behavior.

      • 편익세분화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오수경 관광품질시스템학회 1995 관광품질시스템연구 Vol.1 No.1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tility of benefit segmenta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based on main articles published in 1977 to 1993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is results show benefit segmentation is more useful method than other variables for segmenting tourism market and identified the fact that it becomes a valid metnod to deciding the market segmentation of pleasure vacation travel. Ⅰ expect that further studies about the relative utility of variables for segmenting pleasure vacation travel through empirical stud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es and tourism destination attributes deeply associated with benefit segmentation should be made.

      • KCI등재

        18세기《팔의기八義記》공연본 연구

        오수경,김수경 한국공연문화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본고에서는 『철백구』본을 통해 청대 무대에서 공연되던《팔의기》의 공연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철백구』본을 통해 에피소드 중심의 옴니버스 공연으로 특징적인 장면들을 엮어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절자희 공연의 규범이 확립되었음을 볼 수 있다. 재자가인극才子佳人劇이 절대적인 수적 우위를 보이던 명청 극목 가운데서 정淨과 말末, 외外, 생生 등 남성적인 배역이 골고루 등장하여 다양한 인물 형상을 보여준 작품이다. 절자희 공연을 통해 다양한 각색의 연기가 균형적 발전을 보이게 된다. 『철백구』본《팔의기》는 곤곡으로 연창되는 판본이다. 명 중엽 이후 곤곡 연창의 전승이 규범화되면서 여러 텍스트들이 비교적 일치된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당시 최대의 통행본이었던 『육십종곡』본과 차이를 보이기도 해서, 다른 성강에 비해 규범화된 곤곡도 시기적으로 변화를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출본으로서 절자희 공연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철백구』본의 경우, 고른 배역 운용과 생동감 있는 대사와 지문, 그리고 축의 골계 연기가 장엄한 비극을 장엄하지만은 않은 놀이로의 연극으로 만들어가는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e Orphan of Zhao family(Zhaoshi-Guer)’is one of the famous Chinese drama constant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from Yuan Dynasty to Qing Dynasty. The plot of the play in the transmitting process has not been changed much, but added new characters or episodes. The Kunqu, one of the Chinese drama styles was characterized by graceful music and refined literature, being very popular among the gentry of Ming and Qing Dynasty. The ‘Zhaoshi-Guer’ play in ‘chuanqi’ style of the ‘The Sixty Plays’ collection, is called ‘Ba-yi-ji’, which was sung in Kunqu崑曲 stage. Because ‘The Sixty Plays’ collection was widely read throughout the late Ming and Qing Dynasty, the ‘The Sixty Plays’ version became the model of Kunqu lineage example and so it was in the case of “Ba-yi-ji”. In the end of the Ming, new performing type of drama that is called as Zhe-zi-xi(折子戱) was appeared. Zhe-zi-xi refers to make only some pieces, not the whole. With the new form of performance appeared many of the selected texts of plays have come out including ‘Zui-bai-qiu’.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ices of two Kunqu version, ‘The Sixty Plays’ and ‘Zui-bai-qiu’, I tried to observe the charisteristics of the Ba-Yi-ji performance of Qing dynasty. The latter succeded the former, but more performance oriented, such as using lively and easy word with the acting direction intensified and comic characters.

      • 초·중·고 아동의 방과후 자기보호시간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 : 빈곤과 비빈곤 비교

        오수경,김서현,양은별,정익중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5 No.-

        본 연구는 초·중·고 아동의 방과후 자기보호시간 및 빈곤여부에 따라 주관적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 또한 자기보호시간과 빈곤여부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관적 행복감이 달라지는지 이원공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10차(2015), 13차(2018), 16차(2021)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각 차수별로 초등학생 4~6학년 443명, 중학생 1~3학년 380명, 고등학생 1~3학년 29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의 자기보호시간 및 빈곤여부에 따라 주관적 행복감은 차이가 있었고, 자기보호시간과 빈곤여부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관적 행복감도 달라졌다. 주관적 행복감은 비빈곤아동보다 빈곤아동이 낮았고, 자기보호시간이 3시간 이상일 때 빈곤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은 크게 낮아졌으나 비빈곤아동은 비교적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중·고등학생 대상이었을 때는 자기보호시간 및 빈곤여부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와 두 독립변수의 상호작용항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중·고 아동의 발달단계 특성을 고려한 자기보호시간에 대한 차별적 개입의 필요성과 빈곤여부에 따른 자기보호시간의 맞춤형 지원에 대한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