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립분 함유율에 따른 중간토의 컨시스턴시 분석

        오세욱(Sewook Oh),배우석(Wooseok Bae),방성택(Seongtaek Ba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2 No.6

        일반적으로 각종 구조물 등의 침하 또는 안정성 검토 등에 사용하는 지반조사 및 결과분석은 사질토와 점성토에 따라 다르며, 세립토의 경우 주로 흙의 컨시스턴시를 이용하여 지반의 물리적 특성과 흙 분류, 공학적 거동을 평가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액성한계를 분석하는 방법은 Casagrande로 비교적 간단하게 액성한계를 구할 수 있으나 사질토를 함유한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 흙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의 액·소성한계를 가지고 압축지수를 추정할 때 세립분 함유율에 따라 액성한계치를 수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질토를 함유한 중간토의 특성을 고려하여 양산, 광양, 부산지역의 점토와 사질토를 혼합한 중간토를 제작하여 컨시스턴시 한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컨시스턴시 보정 제안식을 활용하여 적용성 평가를 하였다. 중간토는 점토와 사질토의 혼합시료로써 중간토 제작을 위해 세립토 함유율(Fc)을 50%, 75%, 100%를 적용하였다. 중간토는 자연 상태의 점토 특성을 재현하기 위해 벤토나이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시료를 성형 한 다음 물리적 특성 시험 및 컨시스턴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컨시스턴시 보정식과 실험에 의한 컨시스턴시 결과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의 컨시스턴시와 보정 제안식에 의해 수정된 컨시스턴시를 비교・분석하고, 보정된 컨시스턴시 값을 적용하여 사질토가 함유된 중간토의 압축지수 등 공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제안식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Ground investigation and result analysis generally used to examine all sorts of structures’ subsidence or stability can be classified into sandy soil and cohesive soil, and analysis on the liquid limit of soil is utilized to evalu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ground and types or technical behavior of soil. The most widely used method to analyze liquid limit is Casagrande with which liquid limit can be calculated relatively easily; however, it is fairly difficult to apply it to soil equipped with intermediate properties. Therefore, concerning the properties of soil having the intermediate properties of sedimentary ground, this researcher mixed the clay from Yangsan, Gwangyang, and Busan with sandy soil to make intermediate soil and then carried out the test of consistency limit and also evaluated applicability by using the suggested formula of consistency revision. The sample of intermediate soil was the mixture of clay and sandy soil, and to produce intermediate soil, the content (Fc) of fine soil was applied as 50%, 75%, or 100%. Regar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ntermediate soil, to maintain the properties of clay in the natural state, bentonite was added at a fixed rate for controlling the properties of clay, and then, consistency was analyzed. By adopting the formula of consistency revision suggested in advanced research, this author analyzed consistency based on the experiment and consistency based on the suggested formula of revision. Also, about intermediate soil collected at the site, consistency based on the experiment and consistency based on the suggested formula of revision were analyzed comparatively, and about intermediate soil collected, this researcher analyzed particle size and calculated the content (Fc) of fine soil to analyze intermediate soil in diverse conditions. Moreover, about intermediate soil collected at the site, the suggested formula of consistency revision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compression index, and the compression index based on the experiment and the compression index based on the suggested formula were analyzed comparatively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formula.

      • KCI등재

        비다짐 성토지반의 합리적 토량평가를 위한 토량환산계수 추정

        오세욱(Sewook Oh),이봉직(Bongjik Lee),김홍석(Hongseok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7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8 No.11

        단지조성을 위한 성토과정에서 비다짐 시공은 별도의 다짐을 수행하지 않고 장비하중에 의해 다져지게 하는 공법으로 대부분의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시공지침이나 시방에 명시되지 않아 토공량 평가에 불명확한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지조성을 위한 지반조성을 수행함에 있어 비다짐 성토지반에 대한 설계 토량환산계수와 실제 토량환산계수 값을 비교하여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고 실내시험 및 현장시험, 하중-침하시험 등을 수행하여 합리적인 토량환산계수를 제안함으로써 현장에서의 토공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비다짐 시 토량환산계수 C값은 1.0으로 설계하고 있으나, 현장실험결과 0.86으로 설계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 성토량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시공결과 실제로 성토량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비다짐 성토의 경우 현장여건 및 성토고의 자중을 고려하여 현장조건에 적합한 C값을 실험을 통하여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a banking process for construction of a complex, non-compaction construction has been applied in most sites, which is a method that soils are compacted by the equipment load without being compacted separately.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descriptions in the construction manual or specifications, so it is unclear to evaluate the excavation volume. Hence,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compare the soil conversion factor at a design stage and the actual soil conversion factor of a banking ground under a non-compaction con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feasibility in constructing the ground for construction of the complex and to examine appropriateness of the earth work in the site by conducting an indoor, field, and load-settlement test and proposing a reasonable soil conversion factor. Under the non-compaction condition, the soil conversion factor C is set to be 1.0 at the design stage, but the result of the field test was 0.86 which is smaller than the value at the design stage. It was expected that this result would increase the banking volume, and the construction result actually showed a difference in the banking volume. Therefore, for the baking ground under the non-compaction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value C suitable for the site condition after performing test by considering the site’s condition and the banking height.

      • KCI등재

        준설토와 친토양 경화재 혼합지반의 일축강도특성

        오세욱(Sewook Oh),연용흠(Yonghum Yeon),권영철(Youngcheul Kwo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6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7 No.10

        선진국에서는 준설토의 고함수비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고화제를 이용하는 공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 중 점토에 시멘트를 혼합하는 방법은 주로 심층혼합공법 등 연약지반의 개량공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에 관련된 연구는 고화제가 10% 전후의 혼합률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혼합점토의 단기적인 특성에 대한 실험적 구명에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의 개량공법 적용 시 준설점토를 시멘트와 친토양 경화재로 고결시켜 장비의 주행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시멘트와 친토양 경화재(NSS)를 혼합교반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원지반의 건조중량 대비 시멘트, NSS의 혼합비 및 양생기간(7일, 14일, 28일)에 따른 개량토의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준설토 재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을 위하여 경량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시멘트혼합처리 방법과 친토양 경화재인 NSS를 혼합한 지반의 강도특성을 제공함으로써 차후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장비의 주행성을 확보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In the construction on low strength and high compressible soft ground, the many problems have been occurred in recent construction project. therefore, the soil improvement have been developed to obtain high strength in relatively short period of curing time. Based on the laboratory tests using undisturbed marine clay, the effect of improvement on soft ground was estimated. Deep mixing method by cement have been virtually used for decades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oft ground. However, previous researches set the focus on the short term strength the about 10% of cement treated clay. In this paper, cement and Natural Soil Stabilizer (NSS) were used as the stabilizing agent to obtain traffic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of the soft clay. Based on the several laboratory tests, optimum condition was proposed to ensure the mechanical strength and compressibility as the foundation soil using cement and NSS mixed soil. Finally, research data was proposed about the applicability of NSS as the stabilizing agent to soft clay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soil.

      • KCI등재

        삼축압축시험을 이용한 NSS 혼합토의 강도정수 평가

        오세욱(Sewook Oh),이길호(Gilho Lee),권혁기(Hyekkee Kwon),권영철(Youngcheul Kwo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11

        흙 포장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흙 자체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고화재로 시멘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점 등이 개선되지 않아 활발한 사용에 저해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최근 중금속 확산 등을 막고 소정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친환경 고화재가 개발되어 실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법은 현장에서의 경험 등에 의해 배합을 결정하는 것이 현재까지의 상황이며, 좀더 체계적인 강도 파악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혼합토에 대한 삼축압축시험을 혼합토의 혼합비율과 전단강도 특성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혼합토에 대한 삼축압축시험 결과로부터 준설점토와 모래, 그리고 화강풍화토와 유기질토의 네 가지의 흙 종류별로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의 변화를 양생 기간에 따라 관찰하였다. 4가지의 연구 대상 지반중 준설점토와 화강풍화토의 점착력은 양생 기간이 늘어날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뚜렷하게 보였다. 반면, 준설 모래와 유기질토는 양생 기간에 따른 증가가 적게 나타났으며, 점착력도 작았다. 내부마찰각의 경우에는 모든 원지반 재료에서 양생일수와 고화재의종류에 상관없이 일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Despite of the various merits of soil pavement, it has not been widely adapted because portland cement was conventionally used as soil stabilizer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strength parameters. Recently, natural soil stabilizer(NSS) were developed and virtually adopted to several case of soil pavement construction under control of heavy metal pollution compared to cement-used cases. However, the application of natural soil stabilizer is not settled yet, and empirical design have been widely adopted. In this study, therefore, the strength parameter of soil-NSS mixture was estimated by some triaxial compression tests, CU-test. From the t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curing period and strength parameter such as internal friction and effective cohesion was examined. As a result, effective cohesion of dredged clay and granite soil increased as curing time is increased. However, internal friction is almost same result in all soil type us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