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캐나다의 보건·복지·사회보장 행정 데이터 및 공공 데이터 연계

        오미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국제사회보장리뷰 Vol.14 No.-

        4차 산업혁명에서는 데이터가 자산인 만큼 데이터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국가 경쟁력 확보의 중요한 요소이다. 데이터 기반 정책 지원을 위해 각국은 데이터 경제를 선도하고자 범국가적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데, 이를 위해서는 행정 데이터 및 공공 데이터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캐나다의 경우, 통계청이 범캐나다사회경제적 통계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사회적 데이터연계 환경(SDLE: Social Data Linkage Environment)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는 인구 데이터(PopData: Population Data BC)를 통해 의료서비스, 인구 건강 및 여러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민에 대한 개인 수준의 익명화된 종단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이 데이터 세트는 주로 행정 데이터이지만 조사 데이터 및 지역사회, 환경을 나타내는 데이터도 포함된다. 온타리오주는 지역 기반의 건강서비스 분석, 보건 정책,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데이터 과학 등의 연구를 위해 온타리오주에 거주하는 1340만 명의 정보를 포함한 임상평가과학연구소(ICES: Institute for Clinical Evaluative Sciences)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의미 있는 데이터 분석 및 연구 결과를 위해 행정 데이터 및 공공 데이터의 연계와 활용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행정 데이터 및 공공 데이터 연계는 데이터 기반의 가치 창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연계 데이터의 활용 및 데이터 제공 프로세스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 보건복지 분야 매크로데이터 현황과 매크로데이터 비밀보호방법 제언

        오미애,진재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보건복지포럼 Vol.222 No.-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 분야 매크로데이터 현황을 살펴보고 매크로데이터의 비밀보호방법 중 노출위험을 측정하여 민감한 셀을 결정하는 방법론에 대한 소개와 보건복지 분야 매크로데이터 비밀보호방법 적용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그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정책 수립 및 평가에서는 데이터의 매우 세분화된 정보까지 필요하므로 매크로데이터에서도 개별정보의 비밀보호라는 제약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매크로데이터 내 개인 및 기업체 등의 정보를 보호하면서 데이터 이용자의 요구에 맞게 데이터가 분석·활용될 수 있도록 매크로데이터의 통계적 비밀보호방법에 대한 관심과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 - 전남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오미애,정난희,김수경,전은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and dietary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food allergy symptoms, they responded ‘skin trouble’ 63.6% the most. For the causing foods of allergies, they responded, ‘I don't know the causing foods’ 33.5%, ‘I was diagnosed’ 51.0%, ‘I was treated’ 63.9%, and therefore ‘I restricted foods’ 53.5%, due to ‘I restricted foods through hospital diagnosis’ 40.5% the most. For family history, 67.9% responded the family history matters. 70.3% responded the seasons would not affect to the symptoms. 64.1% responded the cause of food allergy is specific foods. For allergy solution, they responded, ‘I don't use any treatment’ 42.8% the most. For effective treatment, they responded, ‘I restricted causing foods’ 45.1% the most.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by food allergy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s such as ‘have heard or known about food allergies’(p<.001), ‘whether participated in consultation and training’(p<.001), ‘problems of growing children when putting limits on causing foods’(p<.001), ‘interests in getting information about food allergy’(p<.001), ‘feeling the needs of allergy education about careful foods’(p<.01), ‘wish for schools to be educated’(p<.01). Dietary attitudes by food allergy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son of unbalanced diet(p<.001). 본 연구는 전남 나주지역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특성을 알아보고,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을 비교하여 학교급식에서 알레르기 학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 증상으로는 ‘피부’가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 원인 음식으로는 ‘원인 식품을 모른다’가 33.5%이었으며, 의사의 진단을 받은 경우는 51.0%이었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는 63.9%이었으며, 이로 인해 식품을 제한하고 있는 경우는 53.5%, 식품을 제한하게 된 동기는 병원진단을 통해서가 40.5%로 가장 많았다. 식품 알레르기 가족력은 ‘없다’가 가장 많았고, 식품 알레르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계절은 ‘계절과 상관없다’가 가장 많았다. 알레르기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특정 식품이나 음식이 64.1%로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에 대처하는 방법은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품 알레르기 예방 치료 방법으로 ‘원인 식품을 제한한다’가 45.1%로 가장 많았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품 알레르기 인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에 대하여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지 유무’, ‘식품 알레르기 상담 및 교육 참여 여부’, ‘알레르기 원인 식품을 제한해서 나타나는 성장기 아동의 문제점’,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학교급식 알림판 정보 제공 관심 여부’, ‘알레르기 주의 식품에 대한 교육 필요 여부’,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학교에 바라는 점’ 항목에서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생활 특성은 편식하는 이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하루 식사, 특정 식품 편식, 주된 간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노인빈곤율 완화를 위한 노인복지지출과 정책과제

        오미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보건복지포럼 Vol.196 No.-

        저출산·고령화 사회로 바뀌면서 노인수의 증가와 그에 따른 사회 전반적인 이슈가 큰 화제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에 초점을 맞추어 노인빈곤율과 노인복지지출을 분석하고 이 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노인복지지출 자료와 관련하여서는 SOCX(Social Expenditure database: 공공사회복지지출) 데이터를, 노인빈곤율 자료와 관련하여서는 OECD(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경제협력개발기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데이터 분석과정에서 상관분석, 주성분 분석 및 군집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노인빈곤율 완화를 위해서 노인복지지출의 현금 지원 확대는 필수적이고 노인복지지출의 서비스 지원 부분에서는 제도적 확충이 요구되며 이용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독거노인을 위한 다차원적이고 집중적인 정책적 대안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고령화와 관련된 추정 가능한 세부적인 사회보장 지표를 개발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보건복지분야 데이터 연계 필요성 및 활용방안

        오미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보건복지포럼 Vol.227 No.-

        빅데이터의 3요소는 데이터의 양, 데이터의 증가속도, 데이터의 다양성이며, 이 중 다양성은 제4요소인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연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빅데이터 분석의 핵심이며, 정부 3.0 구현을 통해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데이터 연계는 데이터의 질을 높이고 효율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다양한 학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 연계에 대한 정의와 데이터 연계 방법론을 살펴보고, 보건복지분야 활용사례를 통해 그 필요성과 활용가치, 활용방안에 대한 함의를 찾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Two Pediatric Cases of Dengue Fever Imported from Philippines

        오미애,심재원,김덕수,정혜림,박문수,심정연,Oh, Mi Ae,Shim, Jae Won,Kim, Duk Soo,Jung, Hye Lim,Park, Moon Soo,Shim, Jung Yeon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2013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0 No.2

        뎅기열은 아시아, 남태평양 지역,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지방에 걸쳐 널리 발생하며, 이러한 유행지역으로부터 돌아온 여행자들에게 중요한 감염 질환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풍토지역을 방문하는 여행자의 점차적인 증가로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의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해외에서 유입되는 뎅기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뎅기열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내며, 종종 예측할 수 없는 임상 증상과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감염자들은 저절로 회복되거나 경한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뎅기 출혈열이나 뎅기 쇼크와 같은 심각한 경과를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뎅기열 유행지역 방문자가 발열을 보이는 경우 뎅기열을 의심하는 것은 중요하며, 일단 의심이 되면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뎅기열 유행지역을 여행한 소아에서 발열, 두통, 구역, 발진 등이 발생하여 시행한 혈청검사에서 뎅기열로 진단된 2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Dengue fever is an important health problem for international travelers to all endemic areas. The steadily increasing numbers of tourists visiting endemic areas raise the risk of exposure, and imported dengue cases are increasingly observed in nonendemic area. Dengue has a wide spectrum of clinical presentations, often with unpredictable clinical evolution and outcome. While most patients recover following a self-limiting, non-severe clinical course, a small proportion progress to severe disease such as dengue hemorrhagic fever or dengue shock syndro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uspect dengue fever in every febrile patient returning from the tropics. Whenever it is suspected, a quick diagnosis and adequate managements are essential to avoid complications. We report two cases of imported dengue fever in Korean children presenting with fever, headache, nausea, and ra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