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형 노인친화병원 모델 및 인증기준 개발

        오두남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7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25 No.1

        국내외적으로 노인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노인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모델들이 등장하면서 노인친화병원을 포함한 보건의료 전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 노인친화병원에 대한 개념이 명문화되어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으므로 노인친화병원의 개념 및 구축의 기준에 대해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외에서 실제 적용되고 있는 병원 사례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노인친화병원 유사개념 및 관련 요인들을 추출한 후 한국형 노인친화병원의 개념을 정의하였으며, 이후 노인친화병원 관련 항목을 1차 선정하여 노인전문가 자문을 통해 한국형 노인친화병원 인증기준 항목들을 최종 확정하였다. 노인친화병원 인증기준 항목들은 정의된 개념에 따라 기관 지원, 의료서비스 과정, 환경 및 서비스, 윤리 및 연구의 4가지 분야로 구분되었고, 기관 지원 분야에서는 정책, 기관, 교육의 3가지 하부항목으로, 윤리 및 연구 분야에서는 물리적 환경, 정서적 및 행동적 환경, 이동의 3가지 하부항목으로 다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념과 기준 항목들은 증가하는 노인인구들을 위해 의료기관에서 적절한 의료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간호사의 이직의도, 소진,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오두남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5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23 No.1

        간호사의 이직과 소진은 간호서비스 저하와 간호 전문성을 감소시키고 의료자원의 낭비를 초래 하므로 , 임상 간호현장에서 있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이직의도와 소진, 회복탄력성을 측정하여 이들 요소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파악해보고자 시도 되었다 . 본 연구는 2014 년 9 월에서 12월까지 자료가 수집 되었으며, 연구참여 에 대해 서면으로 동의한 5 년 이내 임상 경력간호사 382 명 중 부적절한 응답지 42 개를 제외한 최종 340 개의 설문이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 본 연구 결과 간호사가 인지하고 있는 이직의도는 15.69(±3.33) 점 , 소진 66.09(±11.11) 점, 희복탄력성은 92.86(±9.97 )점으로 나타났다 . 회복탄력성 하위요소 중 ‘ 관계성 ’이 12.31 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 , ‘ 생활 만족도 ’가 9.40 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 여 주었다 . 회복탄력성은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 (F=3.43, p=.033 )를 나타내었으며 ,학사졸업의 경우 (96.81점)가 전문학사 (1.9 )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또한 현재 근무병원희망 여부에 따라 이직의도 (F=10.77 , p<.001), 소진 (F=5.54 , p=.004), 회 복 탄력성 (F=4.97, p=.007 ) 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소진 (F=77.85, p<.001 ) 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 회복탄력성 이 한 단위 증가할 때마다 소진은 -.433 만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결과를 통해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기초로 간호사들의 이직과 소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 간호사들의 역할 수행 시 어려움을 감소하기 위한 중재전략 수립과 업무환경 개선 및 긍정적인 대처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선택 • 최적화 • 보상 전략 수준 및 성공 노화 수준의 차이

        오두남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1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19 No.1

        노화에 따른 손실에도 불구하고 선택적 보상을 통해 잔존 능력을 최적화함으로서 성공 노화에 이를 수 있음을 설명하려는 노력이 시도되면서 , 노인의 성공 노화 구조 모형 구축 이전에,노인의 성공 노화 관련요인을 확인하고 노인의 특성에 따른 S0C 전략과 성공 노화를 규명하는 선행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Baltes와 Baltes의 S0C 모델을 기초로 하여 노인의 성공 노화와 관련된 인구사회학 적인 특성에 따른 S0C 전략과 성공 노화 수준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성별,연령 , 종교,학력 , 결혼상태 , 동거가족형태 , 경제상태,거주지역, 현재 보유질환 수 등 9개 문항을 측정하였다 . S0C 전략은 총 48문항으로 구성된 SOC 척도를,성공노화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3개 하부 영역에서 성공노화정도를 측정하는 11문항 성공 노화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2010 년 1월부터 2월까지 2개월간 서울과 경기 지역의 노인복지관,종합병원 외래 , 노인거주시설을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 201부를 PASW 18.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SOC 전략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는 항목은 성별 , 학력,동거가 족형태,경제상태,현재 보유질환 수이었고,성공 노화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준 항목은 학력,동거가족형태, 경제상태,현재 보유질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변수들은 노인의 성공 노화를 위한 영향요인이 되는 근거를 제공하여,구체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 KCI등재

        요양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종별 직무스트레스 차이

        오두남,김정재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요양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종별 스트레스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3월 22일에서 4월 25일까지 충청남도와 경기도 지역의 요양시설 종사자들 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20부의 설문지 중 206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자료는 t-test, One way ANOVA, chi-square test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서 요양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무 스트레스 하부영역 차이를 보면 간호사는 직무요구(t=-3.90, p<.001), 직무불안정(t=-3.30, p=.002)에서 간호조무사는 직무요구(t=-2.45, p=.018), 요양보호사는 직무자율(t=-3.3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코로나 19 시기에 요양시설 종사자의 직종별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종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을 알맞게 제공해야 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tress by occupation before and after responding to COVID-19 among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in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from March 22 to April 25, 2021. Of a total of 220 questionnaires, 206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one way ANOVA, and chi-square tes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sub-areas of job stres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response of nursing home workers shows that nurses have job demands(t=-3.90, p<.001), job instablity(t=-3.30, p=.002), the nursing assistant has job demands(t=-2.45, p=.018), nursing care workers have job autonomy(t=-3.34, p=.0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job stress according to the occupation of workers in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the COVID-19 era, stress relief programs for each occupation must be customiz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 회복탄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오두남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5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explore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of clinical practice and resilience on professional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1, for 142 nursing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Satisfaction of maj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 identity (F=19.97, p<.001). Professional ident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silience (r=.30, p<.001)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labor (r=-.35,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satisfaction of major and emotional lab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β=-.268, p<.001) in predicting professional identity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29.3%. To enhance professional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of major and to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for coping skill in managing their emotional labor in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회복탄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각각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2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대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2021년 9월에서 12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진로정체감은 일반적 특성 중 전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19.97, p<.001). 감정노동과 진로정체감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35, p<.001), 회복탄력성과 진로정체감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30, p<.001).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와 감정노동으로 나타났고(β=-.268, p<.001), 이 요인들의 진로정체감에 대한 설명력은 29.3%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전공만족도 향상 전략과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감정노동 대처능력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전반적으로 개발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병동간호사의 간호업무중단이 업무부담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오두남,이예원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22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28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work interruption that influenced workload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ward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84 ward nurses, with more than 12 months of work experience, from two tertiary hospitals in S city.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ia SPSS version 27.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general wards nurses had a higher degree of work interruption (t=5.632, <i>p</i><.001) and workload (t=3.603, <i>p</i><.001) compared to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More interruption in nursing work caused more burden on work (γ=.440, <i>p</i><.001) and led to lesser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γ=-.199, <i>p</i>=.007). Finally,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ork interrup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on nurses' workload (F=20.582, <i>p</i><.001)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F=8.792, <i>p</i><.001). Conclusion: To alleviate ward nurses’ work interruption and decrease the negative effect on workload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t is necessary to mediate nurse staffing level and the number of assistants and utilize the environment.

      • KCI등재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노인의 우울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도움요청의도

        오두남,이지윤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2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levels of both mental health literacy of depression and intention of help-seeking, and the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m in Korean older adult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cross-sectional survey were 395 persons over 65 years old receiving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at Chungnam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by visiting nurses in 2011. Results: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ith depression was 61.8% (6.7±3.6). 78.2% of subjects appeared to have help-seeking intention for solving depression. The proportions of participants with ability to recognize depression was 69.1%. Although the level about knowledge and belief in self-help interventions were varied according to questionnaires,subjects understood self-help intervention of smoking accurately (86.3%) and physical activity (85.5%). Ability to recognize depression, knowledge and belief about self-help managements, and opinion of medication for treatment among health literacy variable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related to help-seeking intention. In addition,women, visual impairment, and lower depression scores were related to help-seeking intention. Conclusion:Results demonstrate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depression health literacy to manage effectively depression of vulnerable elderly in communitie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in developing mental health literacy programs.

      • 노인의 삶의 질 관련 특성 및 기능적 건강상태에 따른 우울의 차이

        오두남 湖西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12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20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삶의 질 관련 특성 및 기능적 건강상태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 조사 대상자들은 방문건강관리 대상자로 도시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총 395 명이다 . 자료수집은 2011 년 10 월 중 조사에 대해 훈련받은 방문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각 문항에 대해 인터뷰를 하여 조사지에 결과를 기록하여 이루어졌다 .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 x2검정 등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 일반적 특성 중에는 직업유무가 우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삶의 질 관련 특성 중 운동능력제한 유무 , 일상활동제한 유무,통증 및 불편감 특성 , 불안 및 우울 특성이 노인 우울 유병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 또한 기능적 건강상태에서는 시력기능 및 청력기능 장애, 치매선별검사에서의 정상군과 위험군간에 우울 유병율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노인 우울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 KCI등재

        생체지표를 이용한 지하수 오염의 건강 영향 평가: 일개 지역을 중심으로

        오두남,임경춘,박승미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2

        충남 보령 대천해수욕장 공군사격지원대 주변지역(G마을 포함) 주민들은 상수도가 공급되기 전 지하수를 과거 수십 년 동안 식수로 사용하였는데, 지하수는 유기용제 등 유류에 의해 기준치 이상으로 오염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현재 15년 이상 이 마을에 거주해 온 20가구 37명 중 37.8%인 14명이 암에 걸렸다고 보도되었다(KBS, 2010; SBS, 2009). 이는 한국인 남성 3명 중 1명, 여성 4명 중 1명인 평균 암 발생률(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2; Statistics Korea, 2007)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유류 오염과 관련된 G마을 주민의 불편 호소와 피해 민원 사례는 계속되고 있어, 한국농어촌공사(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09)에서 공군사격지원대 내 유류고 주변 및 인근마을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유류로 인한 토양의 오염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지하수 분석에서 유류성분인 Perchloroethylene (PCE), Trichlorethylene (TCE), Methyl tertiary butylether (MTBE) 등이 검출되었다. 조사를 시행한 지하수 5군데 중 1곳에서 PCE가 수질 기준의 약 13배인 0.1258 mg/L, TCE는 수질 기준을 약간 상회하는 0.0166 mg/L가 검출되었으나, 다른 4곳은 수질 기준 이하 혹은 검출이 되지 않았다. 또한 MTBE도 지하수 2곳에서 미국 환경청의 수질 권고치인 0.02-0.04 mg/L보다는 낮게 검출되었다. 그러나 국제암연구소가 인정한 발암불질인 PCE와 TCE나 인체 유해 독성물질인 MTBE의 오염 개연성을 나타내는 지하수를 장기간에 걸쳐 이용한 경우에는 주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KRC, 2009).

      • KCI등재

        치매 가족돌봄제공자의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치매관리지원프로그램 이용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기초하여

        오두남,황정해,정성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22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39 No.5

        Objectives: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using dementia management programs for patients with dementia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Method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family caregivers who enrolled in this study.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s they were spoken, and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was employ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confusion about dementia care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a sense of transition because of dementia support programs, and wishes for further care. In addition, 7 clusters of themes and 14 themes were identifi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not only experienced the burden of dementia but also frustration caused by social isolation. By participating in various support programs, these families re-recognized dementia, gained empathy through exchanges on dementia management, and embraced their identity as dementia managers. Moreover, the families suggested that the current dementia family support programs requir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s and customized diversification by level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a limit exists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family caregivers who receive services. Further, developing the need for dementia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isease stage or care needs of patients with dementia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