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한국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오대혁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2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3 No.2

        Purpose - The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U.S.-China trade dispute affects a highly trade-dependent South Korea. Currently,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have issued a number of conflicting predictions that the trade dispute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ill have a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n South Korea.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analyze using actual data.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ctual import and export data from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actual import and export data from the United States and China from South Korea. The analysis measured the number and amount of imports and exports by year and month, and the rate of increase and decrease. We also looked at trade dispute days, import and export outcomes and what the impact wa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US-China trade dispute, the amount of change in Korea's imports and exports was analyzed. Findings -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South Korea's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ve increa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increased by 5.65% in 2018 and 6.45% in 2019 compared to 2017. Second, exports to China surged 12.34% in 2018 compared to 2017. This increase in South Korea's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and its mass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shows that South Korea has benefited from the trade disput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South Korea, which is highly trade-dependent, has been heavily affected by the U.S.-China trade dispute. Various predictions are made about this. The analysis showed that South Korea's export volume has increased. In the end, the effect of the trade transition to the 3rd country did not occur. Rather, the U.S.-China trade dispute appears to have helped South Korea.

      • KCI등재

        비관세장벽과 한국 수출기업의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특정무역현안과 무역기술장벽을 중심으로

        오대혁,김인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3

        최근 세계 무역통상환경은 관세장벽인 실행관세율은 상당히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비관세장벽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이유는 다자간무역협상으로 인하여 관세부과로 국내산업을 보호하기 어렵게 된 반면에 비관세장벽의 효과가 관세효과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관세장벽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학계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비관세장벽의 특성상 연구가 쉽지 않으며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비관세장벽의 조항분석과 법적 문제 및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여러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비관세장벽중 무역기술장벽(TBT) 및 특정무역현안(STC)과 한국기업의 수출과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대국(중국)이 비관세장벽을 실시할 경우 한국기업 특히 화장품산업의 수출금액과 증감률은 현저히 감소를 하는 등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실증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한국의 무역기술장벽에 대한 샤오미의 체중계는 철저한 현지화로 한국의 비관세장벽을 극복하였다. Recently, the world trade and trade environment have been slowing down tariff rates, which are tariff barriers, but invisible non-tariff barriers are increasing.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multilateral trade negotiations have made it difficult to protect the domestic industry with tariffs, while the effects of non - tariff barriers are greater than those of tariffs and the impact on the target countries is also significant. Due to the importance of these non-tariff barriers, academic research has been actively pursued.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non-tariff barriers, it is not easy to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provisions of non-tariff barriers and studying legal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e technical barriers and specific trade issues among non - tariff barriers and exports of Korean compani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s, when the other country (China) implements the non - tariff barriers, the export amount and the increase rate of the Korean companies, especially the cosmetics industry, decreased remarkably. In order to supplement the empirical analysis, we tried to analyze the Xiaomi 's scales csae for Korea' s trade technical barrier overcome the non - tariff barriers of Korea through thorough localization.

      • KCI등재

        무역기술장벽이 한국기업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 WTO의 TBT협정과 FTA의 TBT협정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오대혁 한국무역통상학회 2020 무역통상학회지 Vol.20 No.3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WTO's trade technology barrier and the free trade agreement's trade technology barrier on Korean compani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orea received many TBT notices before the conclusion of the FTA, but it declined sharply after signing the agreeme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export effect of Korean companies shows that in the case of the Korea-US FTA, after the agreement was concluded, the export volum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creased, and the export volu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 KCI등재후보

        외국기업의 한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와 성과 : 절충이론을 중심으로

        오대혁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5 경영컨설팅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한국에 진출한 외국인 직접투자기업의 성과를 더닝의 절충이론을 중심으로 실증분석하였고 한국네슬레의 사례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절충이론이 한국적 상황에도 부합되며 어떠한 요인들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어느 요인이 중요한 요소인지 알 수 있었다. 즉, 경영성과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절충이론중 입지요인이 중요하며, 내부화요인중 투자비중이 중요하며, 독점적우위요인에서는 종업원수와 자산규모가 중요한 요인임을 말해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종속변수인 경영성과에 사용되는 대용변수의 선택여부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먼저 종속변수가 영업이익인 경우 종업원수와 본사주소는 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매출액을 종속변수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종업원수와 본사의 위치는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제조업과 비제조업간 비교분석에서도 존재하였다. 제조업의 경우 종속변수인 경영성과의 대용변수의 선택 여부에 따라 투자비중 및 금액이 반대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제조업의 경우는 투자금액이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투자비중은 부정적인 음의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리고 제조업의 경우 자산규모가 중요하고, 투자 지분율, 그리고 지방에 위치할수록 경영성과인 매출액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 in Korea by Eclectic Theory. And it was concurrently a case study of Nestle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factors affecting business performance Location specific advantages were important. And this was important investment ratio among the Internalization specific advantages. The number of employees and assets of important factors in Ownership specific advantages. However, this result is contradictory results were obta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application proxy variables used in the dependent variable of management. If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operating profit, number of employees and the head office address is showed a negative a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f the dependent variable is sales , number of employees and the head office address was found to affect positive business performance . These conflicting results are present i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