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자동차 산업의 생산성 변화 비교분석

        오대원 ( Daewon Oh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3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1 No.3

        In analyzing the factors that have led China to move up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ing industry, a number of studies have focused on its trade dimension. Contrary to these stud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role of the Chines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in China`s upward shift in the TFP. This study measures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Chines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by adopt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odel, which uses the relative distance function in the production possibility frontier. The data used is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firms from Data Stream DB from the sample period of 2005 to 2011 for 9 countries (G7+Korea and China). The sample period is divided into two eras of 2005 to 2008 and 2008 to 2011, since Global financial crisis occurred in 2008. This study finds that the efficiency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has substantially improved after 2008. The Change of TFP is about 14% per year before 2008, and its major factor is catch-up effect. However major factor of improvement in the Chines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s TFP appears to have changed from catch-up effect to technical progress effec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 KCI등재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 동아시아 경제협력을 위한 새로운 한걸음

        오대원 ( Oh Daewon ),은종서 ( Eun Jongseo ) 현대중국학회 2016 現代中國硏究 Vol.18 No.3

        본 논문은 일대일로 프로젝트가 시작됨에 따라 중국의 ODA가 증가 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 거대한 중국의 전략적 청사진은 중국이 유라시아 대륙과 북미를 둘러싼 대륙들 간에 새로운 국제적 이해관계를 만들고자 함을 나타낸다. 이 장기적인 정책의 주춧돌에 초점을 맞춰 본 논문은 동아시아 개발협력을 집중 조명한다. 이 구상의 핵심은 AIIB를 통해 중국은 해당 지역에 외교적 그리고 경제적인 위상을 재고한다. 한국의 입장에서 볼 때, 중국의 계획은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의 기회라고 볼 수 있다. 한 중간의 긴밀한 관계는 한국이 다음 몇 십년간 동아시아 개발협력에 참여 할 수 있게 도와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위의 내용을 함축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가 한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의 기회임을 증명하는 수치적 자료가 부족하다. 중국과 한국의 긴밀한 관계와 일대일로에 포함되어있는 몇몇의 연결고리들을 제시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통계학적인 증거자료의 부족은 논지를 강화하는데 결핍될 수 없다. 둘째, 본 논문의 목적이 한국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점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한 예를 통한 제시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를 고려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위의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현재 논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잡을 것임을 밝힌다. This paper issues that the China`s ODA has been growing rapidly since the OBOR project. The big blueprint of China`s strategic movement indicates that China is attempting to establish a new global setting in Eurasia continent and other part of the world surrounding north America. To focus on the foundation stone of this long-run policy, this paper highlights the East Asian Development Cooperation. Putting AIIB on the heart of this design, China is consolidating both diplomatic and economic reputation over this region. From Korea`s point of view, China`s plan might be the chance to a new growth engine. Korea`s intimate relation with China would guide Korea`s role in next few decades participating in the East Asian Development Cooperation. There are still many parts to be complemented. First this paper lacks clues to support Korea`s chance and new engine in China`s OBOR project. Although the paper described a number of linkages of China and Korea, there needs to be a more data based evidences to strengthen the reasoning. Second, sinc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Korea, more concrete and detailed examples and suggestions should be provided. Both shortages will be redeemed in the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