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었다가’의 文法 記述

        오경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9 No.2

        This thesis is focus on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of ‘-eottaga'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KFL. Despite ‘-eottaga' is composed of past tense semifinal ending ‘-eot-' and conjunctive ending ‘-taga', ‘-eottaga' has a lot of constrictions in comparison to ‘-taga'. This is why the Korean learners make many errors in using ‘-eottaga'. But dictionaries and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don't give enough informations of structures and meanings to help the learner acquire the usage of ‘-eottaga'. So we tried to examine thoroughly the restrictions of form and meaning of ‘-eottaga' in this paper. The usage of ‘-eottaga' is divided to 4 depending on firstly whether the preceding situation influences the raising of the following situation and secondly the relationship of two situations: Change of Situations, Background, Condition, Cause. With this in mind, we described the constrictions of phonology, morphology, syntax and semantics of the each sub-usages of ‘-eottaga' in detail. 이 논문은 한국어 교육을 위한 內容學的 硏究의 一環으로 ‘-었다가’의 문법을 기술하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었다가’는 連結語尾 ‘-다가’에 선어말어미 ‘-었-’이 결합한 형식으로, 正確한 사용이 쉽지 않아 외국인 학습자의 誤謬가 頻繁하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용 사전과 교재를 검토한 결과, 각각 提示하는 정보의 類型과 分量에서 차이를 보이고 학습자의 誤謬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문법적, 의미적 세부 기술이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었다가’는 기본적으로 先行 狀況이 完了된 이후에 다른 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나 앞의 상황이 완료된 후에 뒤의 상황에 影響을 미치는지 與否에 따라, 그리고 어떠한 方式으로 영향을 주는지에 따라 모두 4가지의 下位 用法을 나타내는 것으로 分類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着眼하여 본고는 ‘-었다가’의 하위 용법을 ‘轉換’, ‘背景’, ‘條件’, ‘原因’으로 나누고 각각의 形式的 特徵과 意味的 特徵을 자세히 고찰하였다.

      • KCI등재

        중국의 외국인 투자환경 변화에 따른 대중국 투자진출 전략

        오경숙 한국동북아학회 2007 한국동북아논총 Vol.12 No.2

        Investment to China by Korean corporations has actively increasing, showing continuous expansion of trade rapidly sinc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As China joined WTO, was designated to hold Olympic games in 2008 and established the 11th national five-year plan, we have to identify its changing status to deal appropriately with it. China's change in investment environment for foreigners wa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aftermath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growth and necessity to implement international norms. Under such condition,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investment environment for foreigners and investment motives toward China, and analyse the current status of investment to China by Korean corporations and influences of investment to China on Korean econom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s to present several plans for investment toward China. China's investment environment has brought rapid change to policies of Chinese government such as changes in growth methods by Chinese government, political promotion to advanced industrial structures and service industry, regul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inforcement of resources saving, recognition of infringement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tensified competition of products and brands due to the 11th plan established on March 2006. Therefore, Korean corporations which are preparing for advance toward China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various policies planned by Chinese government and prepare investment strategies which use such trend well. 한국기업들의 대중국 투자는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지속적으로 교역이 확대되는 가운데 현재까지 빠른 속도의 증가추이를 보이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은 WTO 가입과 2008년 올림픽 유치, 제11차 5개년 계획 확정 등으로 외국인투자를 중심으로 투자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이러한 변화내용을 신속히 파악하여 적절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외국인 투자환경 변화는 대내적으로 고도성장의 후유증과 대외적으로 국제규범 이행 필요성 등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나타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상황들을 고려하여 그 동안 성장위주의 경제발전정책에서 지속 가능한 경제발전정책으로 방향을 선회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환경도 많은 변화를 맞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논문은 중국의 외국인 투자환경 변화와 대중국 투자동기를 파악하고,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와 수출입 동향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대중국 투자진출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논문이다. 중국의 외국인 투자환경은 특히 2006년 3월 제11차 5개년 계획의 확정으로 중국 정부의 성장방식의 전환, 산업구조의 고도화 추진, 서비스산업의 발전 도모 방향으로의 정책 추진, 환경오염 규제와 자원절약 강화, 지적재산권 침해 인정, 제품 및 브랜드 경쟁이 격화되는 방향으로 빠르게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중국 진출을 준비하는 한국기업들은 향후에도 제11차 5개년 계획 외에 중국 정부가 실시하는 각종 정책에 더욱 관심을 갖고, 그 흐름을 잘 이용하는 투자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 분류에서 ‘표현’ 범주 설정의 타당성 재고

        오경숙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8 언어와 문화 Vol.14 No.3

        This paper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tems in terms of grammar functions. Among the Korean grammar items, there are many types of complex forms that are not handled well in Korean linguistics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These complex forms have been categorized as ‘expression’ categories and distinct from other grammatical items.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ems having the same grammatical function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types. However,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expression’ items are not different from other grammatical items. On the contrary, there are more advantages in classifying all types of grammar education items, focusing on grammatical functions. Classification of grammatical items should be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Korean grammar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classification according to grammatical functions is more valid than classification based on differences in formal composition.

      • 한국어 이동 동사 ‘오다’와 ‘가다’ 교육을 위한 문법 기술

        오경숙 시학과언어학회 2009 시학과 언어학 Vol.0 No.17

        이 논문은 한국어 이동 동사 ‘오다’와 ‘가다’의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두 동사의 용법을 자세히 기술한 것이다. ‘오다’와 ‘가다’는 발화 장면 의존적 범주이므로 이동 사건을 표현하고자 할 때는 먼저 두 동사 선택에 관여하는 발화 맥락 조건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우리는 그 맥락 조건을 이동 사건 내부 조건과 외부 조건으로 나누고, 내부 조건으로서 이동의 주체, 이동의 목적지, 이동의 시간이 관여한다고 보았고 외부 조건으로서 이동 사건의 기술 장소, 이동 사건의 시점(視點)이 이동 동사 선택에 관계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맥락 조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동 사건과 이동 사건을 둘러싼 발화 맥락을 구성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발화 맥락에 따라 ‘오다’와 ‘가다’가 어떻게 선택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 인쇄업의 지리구조와 그 입지변동에 대한 고찰

        오경숙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1986 地理敎育論集 Vol.17 No.1

        This paper examines regional structures and locational changes of the printing industry in Korea, during the period between 1883 and 1984. The study investigates at both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The regional level includes the four largest cities in the country: Seoul, Pusan, Taegu, and Incheon. A number of employees and establishments are used for analyses of the regional structures and the locational changes in the industry. The regional structure is examined by measuring the location quotients, indexes of employee concentr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inting and publishing industries. The locational change of printing is measured by analyses of the localization curves, comparative changes, weighted mean centers, and weighted standard distances of the industr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dern printing industry in Korea started in Ulchiro 2Ka, Chung Gu, Seoul in 1883 and expanded to other parts of the city, but was largely concentrated in the CBD of the capital city. The industry also spread to other regional centers such as Pusan, Pyungyang, and Taegu where many Japanese were concentrated.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the industry in major urban areas shows that it was highly concentrated in the CBD where demands and accessibility are high. This pattern indicates that the most important locational factor in the printing industry is accessibility to customers. During the 1970's, however, the number of printing establishments and their scale production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dustry experienced decentralization to the suburbs and sub-central urban areas. As a result of such decentralization the industry grew rapidly in Kyunggi and Chungnam provinces. On the other hand, growth of the industry in major cities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ity. The decentralization of the industry in Seoul and Pusan, which are the two largest cities in the nation, proceeded rapidly. In the process of the locational changes small-scale establishments tended to remain in the CBD with the benefit of external economies, while large-scale establishments were moved out to the suburbs. In the city of Taegu the industry agglomerated around the CBD. By Contrast the industry experienced the least locational change in Incheon over the same period. The reasons for this decentralization in large urban centers are insufficient space, high land value, the Government's industrial decentralization policy, and improvements in accessibility in the subu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