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지역 조선어(한국어)학과 교과과정 개선 방안 연구: 흑룡강성 내 3개 대학을 중심으로

        옌솨이(Yanshuai)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9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1

        1992년부터 중국은 한국과의 수교를 계기로 여러 분야에 걸쳐 활발하게 교류해 왔으며, 중국의 한국어 교육도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한류의 열풍은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었고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전례 없이 빠르게 여러 대학에서 한국어 관련 전공이 개설되었다. 그러나 중국 지역의 한국어 교육은 아직도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의 역사가 길지 않아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역시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은 중국 지역의 조선어(한국어)학과가 발전해 나가는 데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여 중국 흑룡강성을 중심으로 하얼빈사범대학, 치치하얼대학, 무단장사범대학의 조선어(한국어)학과의 교과과정 현황에 대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각 학교의 ‘인재 양성 방안 (人才培养方案)’에 따라 조선어(한국어) 전공의 개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지역의 조선어(한국어)전공 교과 과목의 개설에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체계적인 교과과정으로 개편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Since 1992, China has been actively engaged in exchanges in various fields with diplomatic ties with Korea,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is at its peak. The Korean Wave enthusiastically created an environment in whic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could continue to develop. Based on this background, Korean language courses were opened at various universities at an unprecedented rate. Howe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still has many problems. Since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not been long,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has not been conducted in depth and diversity. These problems are also having a nega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ourses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curriculum of Harbin Teachers College, Qiqihar University, and Mudanjiang Teachers Universi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lan of each school,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major was analyzed.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propose a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curriculum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major courses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