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

        김성완(Seong Wan Kim),염진섭(Jin S. Yeom),권윤주(Yoon Ju Kwon),유승민(Seung Min You),안영희(Young Hee An),박건우(Kun-Woo Park),장봉순(Bong-Soon Chang),이춘기(Choon-Ki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와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 삽입 시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을 CT를 이용한 나사 삽입 시뮬레이션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166명의 환자의 1 ㎜ 간격 CT 영상과 나사 삽입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두 나사의 삽입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하여, 나사에 의한 제 2 경추 척추동맥구 침범의 발생율을 비교하였다. 이 중 상위 척추동맥에서의 척추동맥구 침범의 발생률을 다시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166명에 두 가지 나사를 각각 삽입한 결과,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는 9.9% (33/332),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는 5.7% (19/332)의 척추동맥구 침범을 일으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McNemar test). 상위 척추동맥 48개만을 분리하여 분석해 본 결과,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는 62.5% (30/48),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는 37.5% (18/48)의 척추동맥구 침범을 일으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McNemar test). 결론: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는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보다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이 낮았으며, 상위 척추동맥의 경우에도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이 낮았다. Purpose: We compared the risk of vertebral artery injury associated with the insertion of C1-2 transarticular screws and C2 subarticular segmental screws using a computer simulation of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Materials and Methods: We simulated the placement of C1-2 transarticular screws and C2 subarticular segmental screws using 1-mm interval CT scan images in 166 patients, along with simulation software. We then determined the incidence of violation of the C2 vertebral artery groove. The same determination was performed for high-riding vertebral arteries found among those patients. Results: Among the 332 C2 vertebral artery grooves (166 patients), C1-2 transarticular screws violated the groove in 33 (9.9%) instances, while C2 subarticular segmental screws violated the groove in 19 (5.7%) instances. The difference in incidence between the two screw typ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McNemar test). In the 48 high-riding vertebral arteries, C1-2 transarticular screws led to violation of the C2 vertebral artery groove in 30 (62.5%) instances, while C2 subarticular segmental screws led to violation of the groove in 18 (37.5%) instances. The difference in incidence between the two screw typ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2, McNemar test). Conclusion: Use of C2 subarticular segmental screws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vertebral artery injury than is the use of C1-2 transarticular screws, even for high-riding vertebral arteries.

      • KCI등재

        컴퓨터 지원 척추 수술

        강성식(Sung Shik Kang),이동봉(Dong-Bong Lee),김호중(Ho-Joong Kim),염진섭(Jin S. Yeo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6

        컴퓨터 지원 척추 수술은 척추외과학과 컴퓨터 공학, 기계 공학이 융합되어 탄생된 새로운 학문의 분야이다. 수술 전 지원 방법으로는 수술 모사가 대표적이며, 수술 중 지원 방법으로는 수술장 내 항법장치와 수술용 로봇이 대표적인 예이다. 수술 모사는 임상과 기초 연구 분야의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현재 척추 분야에서의 항법장치는 척추나사 삽입 지원에 사용되고 있으나, 정확도의 한계와 고가의 장비 구매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널리 이용되지는 않고 있다. 향후 컴퓨터 지원 척추 수술은 최소침습 척추 수술과 결합된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향후 실제 임상 적용의 정확도, 임상 결과, 비용 편익 분석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Computer-assisted spine surgery (CASS) is a new discipline involving application of computer engineering and mechanical engineering to spine surgery. The tools used most commonly include preoperative surgical simulation, intraoperative navigation, and robot-assisted surgery. Surgical simulation has been utilized for both clinical and basic research. Navigation in spine surgery has focused on guidance of screw placement, however, due to limited accuracy and high cost, its use is somewhat sparse. CASS may be combined with minimal invasive spine surgery in the near future. Further validation of clinical accuracy issues and surgical outcomes as well as cost-benefit analysis is required.

      • KCI등재

        제2경추 반측 후궁 일괄 절제술 및 후궁 나사를 이용한 재부착술

        이근우(Gun Woo Lee),강성식(Sung Shik Kang),Mary Ruth Alfonso Padua(Mary Ruth Alfonso Padua),김호중(Ho-Joong Kim),장봉순(Bong-Soon Chang),이춘기(Choon-Ki Lee),염진섭(Jin S. Yeo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6

        제2경추 부위의 경막내 종양을 제거하기 위한 고식적인 후방 접근법은 제2경추 극돌기에 부착되는 신전근들을 분리(detach)하고 후궁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제2경추의 극돌기에 부착된 신전근은 경추에서 가장 중요한 신전근이기 때문에, 수술중에 이 신전근을 분리하게 되면 술 후 경부 통증, 운동 제한, 후만 변형 및 불안정증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제2경추 신전근을 보존하면서 제2경추 부위에 발생한 경막내 종양을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및 재건 술기를 보고하는 바이다. 제2경추 신전근을 세심하게 보존하면서 반측 후궁 일괄 절제술을 시행하여 제2경추부의 경막을 적절히 노출시켜서 종양을 제거하고, 2개의 제2경추 후궁 나사를 이용하여 후궁을 재부착하였다. Conventional posterior approach for resection of an intradural tumor at C2 involves C2 lamincectomy and detachment of extensor muscles from C2 spinous process. Being major extensors of the cervical spine, the destruction of C2-attached muscles may lead to detrimental consequences, namely, neck pain, limited neck motion, progressive kyphosis, and instability. We report a new technique on exposing and reconstructing the C2 level while preserving C2 extensors for resection of an intradural tumor at C2 level. We performed an en bloc hemilaminectomy of C2 while carefully preserving C2 extensor muscles to adequately expose the dura mater at the C2 level. After removal of the tumor, we proceeded with the reconstruction by recapping the C2 hemilamina using 2 laminar screws.

      • KCI등재

        구상돌기 전절제술의 재발견

        홍완기(Wan Kee Hong),강성식(Sung Shik Kang),이동봉(Dong Bong Lee),김호중(Ho-Joong Kim),이제민(Jemin Yi),조현국(Hyeon Guk Cho),장봉순(Bong-Soon Chang),이춘기(Choon-Ki Lee),염진섭(Jin S. Yeo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5

        추간공 절제술 없이 제5-6-7 경추간 전방 경추간판 절제술 및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후 지속되는 방사통과 악화되는 위약감에 대해, 이미 삽입된 케이지의 제거 없이 제7 경추의 일괄 구상돌기 전절제술만을 시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이 술식은 전방 경추간 유합술 후 골유합된 상태에서 잔존하는 추간공 협착증에 의해서 지속되거나 재발된 신경근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선택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이 술식의 새로운 적응증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We report on a case involving total en bloc uncinatectomy of C7 without removal of the previously inserted cage, performed on a patient with a history of previous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without uncoforaminotomy at C5-6-7 who had persistent pain radiating to the upper extremity along with progressive weakness. Satisfactory results were achieved. This procedure should be regarded as an effective option for surgical treatment of persistent or recurrent radiculopathy caused by remaining foraminal stenosis following anterior cervical fusion, and we suggest it as a new indication for this proced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