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골프장에서 등얼룩풍뎅이(Blitopertha orientalis)의 계절 및 지리적 발생

        이동운,김재호,신종창,염주립,전재찬,신홍균,추호렬,Lee, Dong-Woon,Kim, Jae-Ho,Shin, Jong-Chang,Yeom, Ju-Rip,Jeon, Jae-Chan,Shin, Hong-Kun,Choo, Ho-Yul 한국잔디학회 2008 한국잔디학회지 Vol.22 No.1

        Seasonal and regional occurrence of oriental beetle, Blitopertha (=Exomala) orientalis was investigated using pheromone traps and soil sampling at three golf clubs in Busan, Gunpo, and Gimpo from 2004 to 2007. Adults of Blitopertha orientalis were found from early June to late August, but peak tim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year. Peak day of adult occurrence of B. orientalis was 25 June,2006 and 22 June 2007 in Busan, but 30 June,2006 and 29 June,2007 in Gunpo. Mean numbers of B. orientalis adults attracted to pheromone trap varied with locations. Larval development was faster in Busan than in Gunpo. The 2nd instars of B. orientalis was found on 27 August, 2004 in Gunpo whereas 3rd instars were found in Busan in the same period. In Busan, overwintered 3rd instars pupated from early May to mid-June and emerged from early June. Eggs laid at this time were hatched from late June Most 3rd instars were found at middle August and started to overwinter. The peak time of mating was 20:00 to 22:00 hour of the day. 골프장 잔디의 주요 해충의 하나인 등얼룩풍뎅이의 발생상창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과 군포, 김포 지역의 골프장에서 토양 내에서의 발육경과와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성충의 발생경과를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조사하였다. 등얼룩풍뎅이 성충의 발생은 6월 초순에서 8월 하순까지였는데, 성충의 발생 peak는 조사지역과 년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부산지역에서는 2006년 6월 25일에 발생 peak를 보였고, 2007년에는 6월 22일에 발생 peak를 보였는데 군포지역에서는 각각 6월 30일과 29일에 peak를 보였다. 페로몬트랩에 유인된 등 얼룩풍뎅이의 개체수는 조사 골프장별로 차이를 보였다. 등얼룩풍뎅이 유충의 발육경과도 부산지역이 군포지역에 비하여 빨랐는데 군포에서는 2004년 8월 27일 조사에서 2령충만 발견된데 비하여 부산지역에서는 같은 해 8월 26일에 조사한 것에서 2령충과 3령충이 함께 발견되었다. 부산지역에서 등얼룩풍뎅이의 발생경과는 월동한 3령 유충이 5월 초순에서 6월 중순까지 용화하였고, 6월 초순부터 우화하였다. 그리고 6월 하순부터 부화하였다. 8월 중순부터는 3령충이 되어 월동에 들어갔다. 등얼룩풍뎅이 성충의 교미 peak 시간은 20:00부터 22:00였다.

      • 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골프장 잔디해충 녹색콩풍뎅이의 방제가능성

        김재호,이재필,함선규,김두환,염주립,이동운,Kim, Jae-Ho,Lee, Jae-Pil,Ham, Suon-Kyu,Kim, Doo-Hwan,Yeom, Ju-Rip,Lee, Dong-Woon 한국잔디학회 2009 한국잔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골프장의 주요 문제 해충의 하나인 녹색콩풍뎅이의 발생생태와 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대량유살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김포의 김포 Seaside 골프장과 경남 진해의 용원골프장, 부산 금정의 동래베네스트골프장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김포 Seaside 골프장에서 왜콩풍뎅이 페로몬 트캘을 이용하여 녹색콩풍뎅이의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발생의 피크는 6월 하순에서 7월 초순이었다. 2006년 진해 용원골프장에서 녹색콩풍뎅이의 발생최성기는 7월 초순에서 중순이었으며 김포의 Seaside골프장에서 최초 발생시기는 6월 20일이었고, 9월 10일까지 유인되었다. 녹색콩풍뎅이 발생 최성기의 일 평균 트랩에 유인된 성충의 수는 2005년 18.2마리, 2006년 25.7마리, 2007년 29.0마리에서 2008년에는 15.7마리로 감소하였다. 페로몬트랩에 유인된 녹색콩풍뎅이의 수는 페어웨이나 러프 지역이 그린이나 티 지역에 비해 많았다. 페로몬 트랩과 농약 살포를 통한 풍뎅이의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 동래베네스트골프장에서 등얼룩풍뎅이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Fenitrothion EC 살포 후 등얼룩풍뎅이 페로몬 트랩을 설치한 그린에서 fenttrothion만 단독 살포한 곳에 비하여 2.9배의 높은 성충 치사효과를 보였다. Occurrence ecology and possibility of mass trapping of Popillia quadriguttata, one of the most serious turfgrass insect pest in domestic golf courses was investigated using pheromone traps in Gimpo and Jinhae. Peak period of adult occurrence of P. quadriguttata was late June and early July in Gimpo Seaside Country Club from 2006 to 2008. It was early and middle July in Youngwon Country Club in 2006. The first catched day of P. quadriguttata adult was 20 June, while the last day was 10 September in Gimpo Seaside Country Club, 2006. Mean catched number of P. quadriguttata adult in Japanese beetle pheromone trap per day in peak period of occurrence were 18.2, 25.7, 29.0, and 15.7 at 2005, 2006, 2007 and 2008 respectively. Mean catched number of P. quadriguttata adult in Japanese beetle pheromone trap were more in fairways or roughs than tees or greens. Possibility of control of scarab beetle using pheromone trap with pesticide treatment was investigated against oriental beetle, Blitopertha orientalis in Dongrae Benest Golf Club. Mean number of dead oriental beetle adult were more higher(2.9 folds) in fenitrothion EC treatment than fenitrothion EC treatment after set oriental beetle pheromone trap.

      • KCI등재

        한국잔디에 발생한 달라스팟 병의 주요 원인균인 Sclerotinia homoeocarpa의 동정 및 특성

        박대섭(Dae-Sup Park),김경덕(Kyong-Duck Kim),염주립(Ju-Rip Yeom),오병석(Byung-Seog Oh),박병선(Byoung-Sun Park)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5 Weed & Turfgrass Science Vol.19 No.2

        A fungal isolate was newly collected from Zoysiagrass 'Anyang-Joongji' in small circular patches on a fairway ofa golf course in Korea, which seriously occurred during the early summer period of 2005. The isolate presented on PDAmedium, named Scz1, was closely identical to Sclerotinia homoeocarpa, a casual fungus of dollar spot disease, in cool season turf grasses such as creeping bentgrass. Hereby,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characterize the isolate and compare it with the fungus, named Scb1, isolated from dollar spot-infected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cv Penncross). On PDAmedium, individual mycelial appearance of three isolates was very similar except for the pigment. Mycelial pigments of Scz1 and Scz2 (another analogous isolate collected) were light pinkish on the reverse side of PDA medium but that of Scb1 was dark brownish. In a microscopic study, three isolates were barely distinguishable in the appearance of mycelia. As expected, in the temperaturesensitivity assay, all pathogens were very delicate to 32℃ above but not to 30℃ below, in which was explained to be one of typical characteristics in S. homoeocarpa. In an artificial inoculation assay, disease symptoms including leaf spots in Zoysiagrass were appeared within 6-7 days after inoculation through the hand inoculation method with the isolate-infested soil. Then the fungus was re-identified from the infected leaf tissues. Interestingly, inoculation of isolate Scz1 gave rise to distinct symptoms in only Zoysiagrass but not in creeping bentgrass 'Penncross' and Kentucky bluegrass 'Midnight'. The observation might be involved in host specific pathogenecity of S. homoeocarpa Scz1 to Zoysiagrass. In a chemical sensitivity assay for the isolate, Scz1, showed a high mycelial inhibition against two fungicides, iprodione and propiconazole. All results described above suggest that S. homoeocarpa Scz1 is a primary pathogen of Zoysia dollar spot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