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8세기 말 화성부(華城府) 수리시설 축조와 둔전(屯田) 경영

        염정섭 ( Jeong Sup Yeom )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1

        1794년 화성성역이 진행되면서 화성에 도시 기반 시설로서 수로(水路)를 정비하는 작업이 실행되었다. 그리고 화성의 수리시설 축조에서 보다 주목할 수 있는 것은 만석거(萬石渠)등의 제언이었다. 만석거는 정조가 내려준 내하전 가운데 일부로 1795년(정조 19년)봄에 축조되었다. 만석거에 내부 수위(水位)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수구(水口)와 관개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수갑(水閘)이 설치되었다. 이후 1797년과 1798년 현륭원(顯隆園)동구(洞口)에 자리하고 있던 만년제(萬年堤)의 대대적인 보수 소준(疏濬) 작업이 수행되었다. 지금의 서호(西湖)인 축만제(祝萬堤)는 1799년(정조 23) 화성부의 서쪽 5리에 축조되었다. 1799년 2월 20일 이전 아마도 2월 초순 경에 제언 축조 공사를 시작하여 5월 9일 이전에 완료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축만제도 만석거에서 설치한 수구(水口)와 동일한 성격의 구조물이 있었고, 또한 수갑을 설치되어 있었다. 정조는 화성의 수리시설 축조 경험을 통하여 농업기술과 농업여건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수리(水利)에 있음을 절감하였고, 1798년 `권농정구농서윤음(勸農政求農書綸音)`에서 수리시설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리기술의 발전을 도모하려고 하였다. 정조는 화성둔전의 설치와 경영에 대하여 높은 관심은 화성성역 과정에서 표명하였다. 1795년 만석거를 축조하면서 함께 이루어진 대유둔전의 설치는 11월에 완성을 보았다. 대유둔전은 화성부의 북쪽 장안문 바깥 일용면(日用面)일대에 자리하였다. 대유둔전을 설치하기 위해 상당한 비용이 투입되었다. 대유둔전은 일반 백성에게 매입한 토지와 새로운 개간으로 확보한 토지로 구성되어 있었다. 화성둔전의 경영은 화성부가 둔전의 소유권을 가진 지주(地主) 즉 전주(田主)가 되고, 성내(城內)의 민인(民人)을 작자(作者)로 하는 이른바 지주전호제(地主佃戶制)로 이루어졌다. 화성부가 둔답(屯畓)의 소유권을 매입을 통해서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화성부는 둔전답(屯田畓)의 크기와 작인(作人)을 파악하기 위하여 따로 이 양안(量案)을 만들어 둔소(屯所)에 비치해 두었고, 작인이 바뀔 때에는 표를 붙여서 변동사항을 파악하였다. 둔전 작인(作人)의 원활한 재생산 조건을 갖추어 주기 위하여 소를 분급하기도 하였다. 화성둔전을 경영하고 관리할 직임을 맡는 여러 사람이 임명되어 있었는데, 이들 중간관리자에게는 매달 지불하는 삭료와 더불어 사경(私耕)으로 생계(生計)와 의자(衣資)를 해결해 주기 위하여 토지(土地)를 분급(分給)하였다. 중간관리인이 둔전 작인(作人)을 침탈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었다. 화성둔전의 설치는 구휼(救恤) 대책(對策)의 일환이었고, 장용영 운영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화성 수성(修城)의 재력을 조달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유둔전의 설치가 수성(修城) 물력의 확보를 위한 것이었다는 점은 축만제둔(祝萬堤屯)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서둔(西屯)이라고도 불린 축만제둔(祝萬堤屯)에서 거둔 수입은 대유둔전에서 나오는 수입 합해져 수성고에 이속되어 수성(修城)의 물력으로 충당되었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construction of irrigation facilities in Hwaseong-bu and to point out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of Dunjeon in the late 18th century. At 1794 castellation of a castle, named Hwaseong, was begun under Jeong-jo`s direction. There were construction of irrigation facilities also. We can two important irrigation facilities, the one is Manseokgeo(萬石渠), the second is Chukmanje(祝萬堤). Manseokgeo was built in spring of 1795 owing to Jeong-jo` finances. At the same time, Daeyudunjeon set up in the north of Hwaseong castle. He had got good experience, overcoming severe drought with support of Manseokgeo. Manseokgeo provided farmland of Daeyudunjeon(大有屯田) with a lot of water. Past name Chukmanje, Seoho present name, was constructed in the west of Hwaseong castle at 1799. Floodgate was installed at Chukmanje because of preventing flood and supplying water. At the same time, Seodunjeon(西屯田) set up in the bottom of Chukmanje. Jeong-jo had stressed over the of irrigation facilities repeatedly. The method of management of Hwaseong-bu Dunjeon was the relationship of landowner and tenant. Hwaseong-bu, as a landowner, laid tribute on the tenant. A lot of income from tribute had been consumed to protect Hwaseong castle, maintain Hwaseong-bu, and operate Jangyong-young(壯勇營). There were many problems about management of Dunjeon, especially surrounding middle manager. The middle manager of Daeyudunjeon was provided with a mount of land, named Sagyeong(私耕). This way of Dunjeon management could decrease embezzlement and exploitation of middle manager. All things taken together, we can conclude that Jeon-jo constructed irrigation facilities in order to overcoming drought and managed Hwaseong-bu Dunjeon in the way of solving problems of meddle manager.

      • KCI등재

        18세기 말 우하영의 『千一錄』 편찬과 農法 정리

        염정섭(Yeom Jeong-Sup)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6 No.-

        18세기 말에 편찬된 우하영의 『千一錄』은 방대한 문헌자료 조사와 면밀한 현지조사의 성과를 바탕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우하영은 조선 각 지역의 농법의 특색을 파악하고, 또한 자신의 농사경험을 보태었다. 그가 『千一錄』을 편찬한 목적은 民, 小農에 해당하는 同胞를 구제한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兼濟同胞’라는 4글자로 요약할 수 있다. 『千一錄』은 農書로서 『農家集成』을 뛰어넘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 각 지역의 土性과 民俗에 내재한 차이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 시급한 농정개선 방안으로 改量 실시와 農官 설치를 주장한 점에 특징이 있다. 우하영은 『農家總攬』에서 구체적인 현실 농법을 정리하고 있는데 먼저 穀品에 대한 소개를 생략하면서도 漬種法 즉 糞種法을 소개하고 있어 穀種에 대한 관심을 알 수 있다. 水稻경작법에서 深耕과 施肥를 특히 강조하여, 秧基에 대한 追肥의 중요성을 지적하였고, 시비재료를 획득하여 시비하는 일반적인 방식 이외에 ‘埋陽法’을 소개하였다. 旱田작물의 경작법에서는 小豆와 水荏(또는 黍 또는 粟)을 섞어서 경작하는 雜種法, 牟麥田에 豆太를 間種으로 경작하면서 호미를 이용하는 代?法 등을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이런 점에서 18세기 후반 1年 2作式 한전 작부체계의 고도화를 찾아볼 수 있다. Wu Ha-Young compiled a agricultural manual named Cheonilrok, which based on thorough investigations into a lot of reference book and minute field surveys about a number of area in the late 18th century. First of all he found out characteristics of regional agricultural technic respectively, and he added his practical farming experience. His purpose of this compilation was to succor the poors or peasants at that times, in his points succoring compatriot was very urgent. There were some characteristics in the Cheonilrok as a agricultural manual, containing meaningful contents surpassing Nonggajipsung, paying attention to soil and folklore of each region, and insisting new land register and establishing a office charging agriculture. He arranged a specific agricultural technic at that times in Cheonilrok. First of all he introduced method of fertilizing varieties of crops. Secondly he focused on fertilization and deep plowing, also the importance of additional fertilizer to seedbed. In terms of method of dry-field farming, he explained crop-mix seeding method, and daewoobeop which meaned intercropping wheat and bean at the same time. Therefore we can explain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ic in the late 18th century from Wu Ha-Young`s Cheonilrok.

      • KCI등재

        18세기 중반 강화부(江華府) 유수(留守)의 목민(牧民)에 관한 연구

        염정섭(Yeom, Jeong-Sup)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3 인천학연구 Vol.2 No.1

        This study`s purpose is to examine special features of the administration of GangHwa YuSoo from GangDoGyeRok in the middle 18th century. Kim,Gwang-Se was the GangHwa YuSoo, we believe, who edited GangDoGyeRok in the middle 18th century. GangHwa YuSoo was a specific governor by comparision with other governors. His rank in the King`s court was higher than other sovernors. And he ruled his district by means of the power originated from and delegated to King. We can regard GangHwa YuSoo as the special governor who charged ordinary tasks and military missions. GangHwa YuSoo supervised the state examination named GwaGeo, opened in GangHwaBu. And he managed the distribution of HwanGok and the acquisition of it. HwanGok was a lot of grain accumulated by state and regional government and other government office on the purpose of bad forest and provision. GangHwa YuSoo managed 10,000Seok rice of provision and used to demend more grain to King. He accomplished lots of duties on governing GangHwaBu. But the duty on agriculture was most important, so he paid much more attention to agricultural duty. He reported the state of cereal`s growth, and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rainfall. This report used an principal evidence to judge good or bad forest of this year. There had been many boat sinking accident around GangHwa Island. Therefore he salvage sunken boats and rescued her crew and her burden. At last he demand pointing dangerous spot on the map of GangHwa Island. In 1750, GyunYeokBeob put on operation, therefore GangHwaBu was taken away the taxes from fishing boat and salt. We could investigate the way of distribution of HwanGok in GangHwaBu. In principle only one-half of HwanGok in grain warehouse could be distributed to people, but all of HwanGok distributed in GangHwaBu in the middle of 18th century HwanGok. GangHwa YuSoo relieved to the poor people from many unfavorable situations. And he execute religious ceremonies in JangRyeongJeon and ManRyeongJeon. This execution means the fulfillment of rule of etiquette. In a same way he recommand some fine character to King.

      • 18세기말 박지원(朴趾源)의 『과농소초(課農小抄)』 편찬과 농업개혁론

        염정섭 ( Jeong Sup Yeom ) 한국농업사학회 2012 농업사연구 Vol.11 No.2

        朴趾源은 1777년 금천 연암협에 은거하게 된 뒤에 여러 농서에서 뽑아낸 抄錄을 만들었다. 1798년 正祖가 「권농정구농서윤음」을 내려 전국 각지에서 응지농서를 구하자 박지원은 앞서 연암협 은거 이후에 작성한 농서 초록을 바탕으로 삼고, 서광계의 『농정전서』를 발췌 인용하는 방식으로 『과농소초』 초본을 만들었다. 또한 『課農小抄』에 註釋이나 按說로 들어가 있는 자신의 주장 등도 정리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된 『과농소초』 정본을 정조에게 올렸다. 박지원이 『과농소초』를 짓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士의 實學을 다하기 위함이었다. 그는 士가 農本에 유념하고 農理에 달통한 聖於農者가 되어 농민들이 力田에 나서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士의 實學을 제시하였다. 박지원은 평양에 남아 있는 箕子田의유적을 바탕으로 井田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法田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淸의 농기구를 조선에 들여오자는 중국 농기구 수입론을 펼쳤다. 박지원은 「限民名田議」에서 토지소유의 상한선을 설정하고 그 이상의 소유를 금지하여 점차 균등한 토지소유를 성립시키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Park Ji-Won had extracted data of agricultural techniques from Chinese and Korean agricultural manuals since 1777. King Jeongjo distributed king`s command for encouragement of farming and seeking agricultural manuals(勸農政求農書綸音) in the 30th November 1798, to compile new grand synthetic agricultural manual. Park Ji-Won as Myeoncheon(沔川) district governor, submitted agricultural manual namely Gwanongsocho( 課農小抄) to cope with Jungjo`s Command(Eungjinongseo : 應旨農書). He supported Jeongjo`s effort of compiling new agricultural manural. Also he suggested reform argument for agricultural policy. Park Ji-Won compiled Gwanongsocho(課農小抄) in order to do best as a classical scholar(士). He made an assertion that classical scholar(士) should research the principle of agriculture and conduct peasant to work hard in farming. Also Park purposed foundation of Beopjeon(法田), which consisted of agricultural land and agricultural office,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Park insisted import of Chinese agricultural implements too. In Hanminmyeongjeoneui(限民名田議), a dissertation of reform argument about land ownership, he suggested the upper-limit of land ownership. He prospected the realization of equality of land ownership gradually.

      • 18∼19세기 조선의 `절음식(節飮食)` 담론과 `포식일거(飽食逸居)`의 실제

        염정섭 ( Yeom Jeong Sup ) 한국농업사학회 2016 농업사연구 Vol.15 No.1

        18∼19세기 조선의 飮食에 관련된 담론은 조선 전기와 마찬가지로 節飮食 또는 節食에 대한 강조가 중심이었다. 飮食의 절제라는 의미로 節飮食 논의가 주로 전개되었다. 절음식이 갖고 있는 질병의 방비라는 점이 강조되기도 하였지만, 節飮食의 가장 정형화된 표출양상은 거친 음식 즉 惡食을 즐겨 먹는 것이었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節飮食`의 논거를 『周易』에서 찾고 있었다. 그리고 `節飮食`의 의미에 `음식을 과도하게 먹는 것의 방지`와 `음식 먹는 것의 적당한 한도 유지`의 뜻을 함께 부여하고 있었다. 또한 節飮食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너무나 당연하게 `養生`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節飮食의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 揀食하는 습성을 고쳐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었다. 18세기 한성부의 소비도시로서의 발달의 배경으로 나타난 `飽食逸居` 양상의 대표적인 정경으로 煖爐會, 煖會를 지적할 수 있다. 난로회의 유행은 金弘道의 풍속화 8폭병풍 가운데 `雪後野宴`이라 이름붙은 그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난로회의 유행은 한성부의 사족들 사이라는 경계를 뛰어넘어 궁중으로 지방으로 확산되기까지 하였다. 또한 18세기 후반 무렵 당시 사람들은 복어독에 중독될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복어가 다른 어떤 음식보다 맛있다고 경쟁적으로 품평하고 있었다. 이러한 음식에 대한 태도는 節飮食보다는 飽食에 힘쓰는 것이었고, 음식에 대한 절제, 절도라는 틀을 벗어나 飽食과 逸居를 당연한 것으로 파악하는 양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Discourse about food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was emphasis on food abstinence. And food discourse was mainly developed in the sense of food abstinence. The most formal expression pattern of food abstinence was intaking and enjoying of coarse food. Korean neo-confucians scholar-officer prefer life-extention as the reason of food abstinence. We can point out Stove Feast as the most representative scene, in Hanseongbu which developed rapidly to well commercialized city during 18th century. We guess that Stove Feast symbolized social conditions pursuing predation and comfort. The trend of Stove Feast spreaded to regional society beyond the range of Capital. Also at that time rich people were fond of blowfish, despite addicting poison of blowfish to death. From these aspects, we can understand that the preference of people at that time changed from predation and comfort to food abstinence and coarse f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