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gic Spells Decoded: Disparate Thematic Messages of Cinderella Picture Books by Two Different Illustrators

        염은영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4 영미문학교육 Vol.18 No.3

        In picture books, visual images play a paramount role in imparting the author’s and the illustrator’s intended messages. Illustrators often embed certain messages in pictures, thus adding new meanings to the corresponding text. Especially, the embedded ideas within the images can engender different thematic messages from a same story, for example a world-famous fairy tale Cinderella, or the Glass Slipper. This article examines the imagery of the innocent heroine from two picture books; and how differently the ideal virtue of femininity is portrayed depending on illustrator’s intentions, thereby conveying disparate ideal feminine virtues by different illustrators and altering the thematic messages of the story although the verbal contents carry the same Cinderella myth. Innocenti’s Cinderella is described as a unconventional and confident young woman while Brown’s Cinderella embodi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ideal woman who is submissive, fragile and blond young lady. The present study illuminates the understanding of how to read visual images of picture books that picture book reading should be an active process in which readers/viewers attend to visual details; and decode hidden messages and artists’ intentions to complete the whole meaning of a story. The findings are closely related to critical visual literacy, which is vital component to survive in the 21st century and could be developed through critically reading picture books.

      • KCI등재

        현대사회 점복행위의 제도화 -점복인 재생산과정과 지향점을 중심으로-

        염은영 실천민속학회 2022 실천민속학연구 Vol.39 No.-

        2000년대 이후 시민사회가 성숙하고 개인의 욕구가 다원화되면서 시장 중심의 사적 영역의 점복행위가 재구성된다. 이는 점복인의 재생산 영역이 재배열되고 재구조화되면서 하나의 지향점을 가지고 제도화되는 질적 변모이다. 시민사회의 다원화된 욕구는 정보화되고 네트워크화된 우리 사회에서 점복인 교육제도화과정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신자유주의가 전면화됨에 따라 공공적 성격에 사적 시장질서가 편입되는 양상으로 교육시장이 재편된다. 개방형 고등교육체제와 대학확장경향은 평생교육의 제도화를 낳고, 전통적 직업교육은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의 장으로 유입된다. 대중매체 발달에 따른 원격교육시장의 형성, 대학의 사이버교육시스템의 이중적 도입, 백화점․문화원․지자체 등의 다각적인 교육시장 확대 정책 등이 평생교육원의 급속한 발전을 추동하였다. 이 과정은 점복관련학과가 만들어지고 점복관련 평생교육원이 확장되는 사회적 배경이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 점복행위의 현재성에 주목하여, 대학 평생교육원에서 점복관련민간자격증이 발행되고 대학에 점복관련학과가 형성되는 것을 사회변동에 따른 점복인 재생산 제도화과정의 변화로 해석한다. 현재하는 사회현상인 점복행위를 분석하기 위해 변화하는 점복인의 재생산과정과 지향점에 집중한다. 점복인은 물론 점복관련종사자들에 대한 계량적 기초조사가 부재하여 연구자의 현장참여경험과 심층면접을 통해 연구주제에 접근한다. 제도란 지속적으로 구조화된 사회문화적 관습이며, 제도화는 반복적인 행위의 상호연계가 장기 지속되면서 관례화되어 구성된다. 한국사회의 문화적 기저를 이루어 온 점복행위의 제도화에서도 이러한 양상은 표상된다. 점복인 재생산과정은 점복인과 주변산업종사자들이 사회전반의 변화를 인지하고 점복행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도화의 지향점을 담지한 사회적 전형을 구성하려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가 있다. 이를 기초로 한국사회의 전통문화인 점복행위에 관한 지속적 연구가 이어지길 바라면서 아래와 같이 연구내용을 요약한다. 첫째, 점복인 재생산방식이 비도제식교육으로 변화한다. 점복인 교육부문의 전문화 획득과정을 보면 과거 도제식 방식이 중층적으로 온존되고 있지만, 질적으로 변화하면서 현대적 비도제식 교육으로 변모하고 있다. 둘째, 직업인증제도인 점복민간자격증에 관한 점복인들의 역할과 평가는 내용적 전문성 일치 여부와 외화된 전문성의 척도의 필요성에 대해 편차를 가진 해석이 있다. 점복관련 자격증을 이익집단사설교육기관과 대학에서 각기 발행하는데, 내용적․질적인 구분에 의한 평가보다는 자격증이 외형적으로 전문성을 보증할 수 있는 척도가 되느냐의 문제에 관해서는 변별력이 부족하다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이다. 셋째, 점복행위의 전문성을 통한 공공적 교육자격화의 문제는 시장적 제도화의 측면과 맞물려 진행된다. 이는 대학의 시장화라는 맥락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직업교육의 내용적 전문성과 자격인증제도 역시 동일 차원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점복행위 제도화과정에서 역리․신점복인 집단은 내적으로 상이한 지향점을 가진다. 역리점복인들의 학제화 시도는 점복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것으로, 점복행위의 사회적 인정욕구에 기반하고 있다는 행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처럼 한국사회에서 점복문화...

      • KCI등재

        How Visual Thinking Strategies Using Picture Book Images can Improve Korean Secondary EFL Students’ L2 Writing

        염은영 한국영어교육학회 2018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73 No.1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whether guided visual artwork discussions called 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 using picture book images can benefit and enhance Korean EFL secondary students’ L2 writing. Incorporating content analysis, this research examines how carefully guided artwork discussions can enhance visual understanding,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interpretive L2 writing skills. The L2 writing samples of the focal students revealed that they were able to think based on visual clues. The discussions were led by the teacher who pointed out significant visual elements and allowed time for the students to explore diverse ideas. The focal students were able to piece together the jigsaw of the images and articulate their thoughts in English, during which time they learned to take risks and to make mistakes in using a foreign language. Their critical comments and improved L2 writing suggest how critical/aesthetic thinking skills can be developed through continued visual practices in a secondary EFL setting.

      • KCI등재

        불안의 전면화와 현대사회의 점복행위-점복인․점복관련업종사자들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염은영 남도민속학회 2022 남도민속연구 Vol.44 No.-

        For all ages and countries, divination is omnipresent as human finiteness and the desire for prediction coexist. Just as Korean society changes, divination exists, changing along with the society.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ubiquitous divination helps apprehend the aspects of divination in modern society, and gives insight into changes in divination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erpret the transformation and social context of divination. The researcher interprets the trans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lux of diviners, the change in the age of diviners, the tendency of divinatory practice, and the content of divin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diviners. First, the ‘Diviner as the Second Occupation’ type emerges. The resignation of highly educated is accelerated by the flexibility of labo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in neoliberalism. As a result, more people choose the divinatory field as their ‘second occupation’, due to its relatively low entry barriers and the fact that there is no retirement. Second, the educational degree of diviners is appreciated as people born after the 1980s, where the percentage of college graduates is high, flow into the divinatory field. The social treatment of diviners tends to improve as the diviners have higher degrees. Third, due to the influx and migration into the divinatory field with its low entry barriers, the phenomenon of layering in divination appears. The phenomenon appears to be a trendy change on the outside, but internally is an aspect of commercialization. The tendency of existing diviners re-entering the field by learning divination that is relatively easier is growing. Fourth,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anxiety, the age group of people approaching divina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generation. In particular, the age group which uses mass media relatively freely and is highly adaptable to changes is receptive to new types of divination, such as tarot. Fifth, as the mass media develops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diviners has appreciated overall, the entertainment and consolation of divination rather than blind faith in divination is highlighted. The public seeks divination to vent their anxiety and to find consolation. They require divination when facing null option due to the overflow of information of modern society. Therefore, divination has surfaced as a consolation factor.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점복행위는 인간의 유한성과 예견욕구가 결합되면서 편재(遍在)한다. 한국사회 역시 시대의 변화와 함께 점복행위도 변모하면서 현재(現在)한다. 편재된 점복행위의 현재성을 파악하는 것은 현대사회 점복행위의 양상을 이해하고 나아가 향후 점복행위의 변모에 대한 통찰을 준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 점복행위의 현재성에 집중하여 사회적 맥락에 따른 현대사회의 전면화된 불안과 점복행위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 연구목적을 둔다. 신자유주의적 시장질서가 전면화된 2000년 이후 점복인의 유입과정과 문점인의 연령변화 그리고 점복행위 실행성향과 문점내용에서 어떠한 변화와 특성이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점복인과 점복연관업에 대한 계량적 조사와 기초자료들을 대상으로 해야 하나 적절한 성과가 없어 연구자의 현장경험에 입각한 점복인들의 심층면접을 통해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제2의 직업형’ 점복인이 등장한다. 노동유연성이라는 신자유주의의 고용방식의 특성에 의해 고학력자의 퇴사 시기가 빨라진다. 이로 인해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고 은퇴시기가 없는 ‘제2의 직업형 점복인’으로 점복업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둘째, 대졸자의 비율이 높은 1980년대 이후 출생자들이 점복업으로 유입되면서 점복인의 학력이 상승되었다. 점복인의 학력이 상승되고 이로 인해 사회적 대우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셋째, 진입을 쉽게 할 수 있는 점복영역으로 유입과 이동이 많아져서 점복영역의 중층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외형적으로는 트렌디한 변화로 보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상업화의 한 단면이다. 기존 점복인들이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서양 점술을 배워서 진입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넷째, 불안의 전면화로 인해 점복행위로 접근하는 연령이 특정 세대로 국한되지 않고 전연령대에 걸쳐 있다. 특히 대중매체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사용하고 변화에 적응력이 높은 연령층이 타로와 같은 새로운 점복에 수용적이다. 다섯째, 대중매체가 발달하고 문점인들의 학력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점복을 맹신하기보다는 점복의 위락적・위안적 성격이 부각된다. 현대인들은 정보의 범람으로 인해 선택부재의 상황이 되면 불안을 호소하고 위무를 찾고자 점복행위를 하는데, 이는 점복위무적 기능으로 표면화된다.

      • KCI등재

        진오귀 굿 현재성의 사회학적 의미

        염은영(Yeom Eun-yo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3 No.-

        이 논문은 한국 사회의 무속의례(巫俗儀禮)행위인 ‘진오귀 굿’의 사회학적 의미를 연구자의 상담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진오귀 굿은 굿의 의뢰자와 망자 간의 화해와 소통의 시공간을 창출함으로써, 죽음에 따른 사회적 관계의 상실과 와해를 재구성된 상생관계로 복원하고 통합하는 과정이다. 여기에는 유족과 지인들이 예기치 않은 죽음으로 인해 초래된 사회심리적 불안과 단절을 해소하고 일상의 삶으로 복귀하려는 사회적 삶의 에너지가 작동한다. 먼저 진오귀 굿의 현재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진오귀 굿은 생물학적 죽음으로 인해 유족과 단절된 망자를 불러들여 ‘지금 여기에’ 위치시킨다. 전통의 현재성은 진오귀 굿의 토대를 이루는 무속문화의 전통이 과거의 잔재가 아니라 현재 한국인의 원형적(archetypical) 사고방식이 사회문화적으로 공유된 문맥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과도 맞닿아 있다. 다음으로 진오귀 굿의 연행과정은 동시성과 교호성을 띤다. 진오귀 굿은 미리 인식된 목적에 따른 수단으로서의 행위가 지향되는 서구 근대의 이분법적인 인식론과 비가역적 시간관으로 파악될 수 없다. 이 연행은 참가자들의 소통행위가 진행됨과 동시에 연행의 목적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동시적이고 교호적인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진오귀 굿은 사회적 실재를 창조적ㆍ능동적으로 구성하는 행위이다. 진오귀 굿 참가자들은 죽음과 같은 비가역적인 사실의 의미를 망자낙지천도(亡者樂地薦度)라는 가시화된 연행행위를 통해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진오귀 굿에서의 능동적인 의사소통행위는 망자와 산자간의 관계를 재생과 화해를 지향하는 변화가능성의 공간으로 이끌어낸다. 이러한 과정은 서로가 ‘돌아가야 할’ 곳으로 ‘돌아가’는 상생의 과정이 통일적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실재의 창조적 재구성의 행위영역이라는 점을 상담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ociological meaning of Ginogui-Gut, which is a shamanist ritual, on the basis of the interviews with ritual participants. (All Interviewees are researcher's clients.) The feeling of loss and the social relationships broken up by someone's death are healed and recovered in the process of Ginogui-Gut performance, while the performance creates time and space of reconciliation and communication. Ginogui-Gut allows the family members and friends of the dead to remove the socio-psychological anxieties caused by the unanticipated death and to get back to their everyday lives. First, Ginogui-Gut performance is characterized by "simultaneity" and "reciprocity". The performance cannot be understood by the dualistic thought of Western modernism and its irreversible idea of time in which action as means is subordinate to pre-recognized objectives. However, Ginogui-Gut is a simultaneous and reciprocal process between objective and means in that the objective of the performance is crea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performance itself is going on. Secondly, we need to focus on "being present" of Ginogui-Gut. "Here and now" does the performance call and situate the dead which seems to already have been isolated from "here and now" by biological death. This "being present" is closely related with "being present" of shamanist tradition in Korea which has been embedded for a long time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formed archetypical thoughts of Koreans. Third, Ginogui-gut performance is the process of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The participants visualize the irreversible facts such as death through "MangJa RackJi CheonDo"(situating the dead in good place) performance and eventually reconstruct the meaning of the death. The active communication practices in Ginogui-Gut make the space where the dead and the alive c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mprove their relation. The interview cases show that Ginogui-Gut is the process to situate the dead and the alive in their right places through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reality.

      • KCI등재

        논문 : 자기 사진이 신체 이미지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염은영 ( Eun Young Yum ),신수진 ( Sue Jin Shin ) 한국사진학회 2006 AURA Vol.0 No.15

        평소에는 보기 힘든 뒷모습, 옆모습, 앉은 자세 등 다양한 각도의 자기 전신사진을 찍고, 그 결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내용을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신의 신체를 사진으로 찍고 찍힌 모습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대학생들이 경험한 내용은 「인지적 측면-자아재발견」, 「정서적 측면-낮은 만족감과 아쉬움」, 「행동적 측면-개선 의지와 노력」, 「도구적 측면-사진에 대한 새로운 관점수용 및 이해」의 4범주로 분류되었다. 4범주는 다시 12개의 주제군으로 분류되었다. 「자아 재발견」에 따른 주제는 ``놀랍고도 새로운 외적모습의 직면``, ``내면의 감정과 심리세계 이해`` 이며, 「낮은 만족감과 아쉬움」에 대한 주제군은 ``외모에 대한 낮은 만족감``, ``건강과 자세에 대한 낮은 만족감``, ``뒤늦은 확인에의 아쉬움``, 「개선의지와 노력」에 대한 주제는 ``운동이나 다이어트의 필요성 인식``, ``바른 자세로 개선하려는 강한 결심``, ``지속적인 관찰에의 의지``, ``병원내방, 진단과 치료`` 이며, 「사진에 대한 새로운 관점수용 및 이해」에 대한 주제는 ``사진의 도구적 편리성 확인``, ``사진의 높은 객관성 파악``, ``자기이해의 도구로서의 적합성 수용``이였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ole of self-portraits in the understanding on body image and the posture. In this study, the reports were made by 63 students who had taken self-photographs of their standing front, back and side view, and seated postures. The data were separated into 4 categories: 「cognitive aspect - self-rediscovery」, 「emotional aspect - low satisfaction and disappointment」, 「behavioral aspect - improvement motivation and effort」, 「instrumental aspect - accepting and understanding about new point of view of photograph」. The themes belonging to 4 categories were facing of surprising and new external appearance, understanding of internal emotion and mental mind, low satisfaction of appearance, low satisfaction of health and posture, disappointment of late affirmation, recognition of need to exercise or diet, great determination for improvement in good posture, having the will for continuous observation, going to hospita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affirmation of the instrumental convenience of the photograph, catch on the high objectivity of the photograph, understanding on the suitability for the instrument of the self-understanding.

      • KCI등재

        한국사회 점복행위의 시장화에 관한 소고 -점복행위 확산과정과 점복제의영역을 중심으로-

        염은영(Yeom, Eun-young)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8 No.-

        이 논문은 한국사회의 점복행위의 확산과정과 점복제의영역의 변모를 통해 점복행위와 점복주변산업의 시장화의 측면을 탐구하는 데 주된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공동체적 인간관계가 해체되고 사회전반이 시장화되면서 현대사회의 점복행위는 다양한 전형으로 표상된다. 이러한 과정은 점복과 그 주변 역시 상업화되고 시장화되는 양상으로 특징지어지며, 그 결과 점복행위 실행영역이 시장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점복의 현재성을 보다 설득력 있게 논의하기 위해 점복인과 점복관련종사자들을 심층면접하여 점복행위의 실행과정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점복행위의 실행영역이 상업화되고 시장화되는 과정을 본 연구자의 현장경험에 기반하여 해석한다. 점복행위 확산과정에 점복인과 문점인을 넘어선 전문홍보업체라는 제3자가 개입된다. 이 과정은 특히 디지털시대의 대중매체의 발달에 기반하여 확산된다. 점복주변산업은 점복콘텐츠를 제작 · 판매 · 확산하고 점복인을 직간접적으로 고용하는 닷컴운세회사, 점복전문 홍보대행사, 점복행위 관련용품을 유통 · 판매하는 만물사(불교사), 점복의 제례장소인 굿당과 기도터, 일부 제의용품을 점복인 중심으로 고기, 떡, 과일 등을 판매하는 일명 돼지삼촌으로 불리는 도 · 소매업자 등으로 나뉜다. 다양한 점복주변산업은 점복행위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시장을 형성한다. 기존 점복관련연구의 한정성이 점복행위와 그 실행개념의 연구의 부재에 있다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점복을 점복행위의 개념으로 확장하려 한다. 이러한 시도는 첫째, 점복이라는 내용 자체에 한정된 정태적 연구에서 진일보하게 하고, 점복이 실행되는 사회구성적 과정을 포함함으로서 사회현상으로서의 점복행위에 대한 맥락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향후 한국사회에서 현재하는 점복행위에 대한 관습적인 이해를 넘어서 제도화가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는가에 대한 시장적 영역에서의 조망을 가능하게 할 해석적 틀을 형성하게 하는 기반을 마련한다. 나아가 점복인과 점복행위의 재생산과정이 이루어지는 공적 영역에서의 이해기반을 마련하는 연구로 확장되어야 할 과제를 남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rketization of divination and its related field, through the process of divination’s expansion and the transfiguration of The Ritual of Divination in Korean society. Since the human relations is dissolved and society is widely marketized, divination in modern society is symbolized through various paragons. The process shows the aspect of divination being commercialized and marketized, thus resulting in the marketization of divination. To discuss the Being Present of divination more persuasively, the researcher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on diviners and of the divination related fiel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ractice. The researcher interprets the process of divination’s practice being commercialized and marketized, based on the researcher’s field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divination’s expansion, professional publicity enterprises become involved as a third party, aside from the diviner and client. This process is expan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in the digital era. Divination related industries consist of company which produces, sells, spreads division related contents and hires diviners direct/indirectly, professional publicity enterprises for divination, which distributes and sells divination related supplies, Gut-Dang and praying sites, which are the Ritual area of divination, wholesale, retail traders also known as ‘the Pig Uncle’ that sells some of the things such as meat, rice cake, and fruit mostly to diviners. Various divination related industries form a market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divination. The researcher regards that the limitation of former studies on divination lies in the absence of the research on divination and the concept of its practice.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xpand as the concept of ‘Divination-action and practice’ Such an attempt will make the stationary research, which only focused on the content of Divination, take a huge leap forward. Thus, it will allow the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divination to be regarded as a social phenomenon. The study will provide the foundation of frame in the future, which allows overlooking how the institutionalization is socially organized, beyond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divination that is present in Korean society. Furthermore, it addresses the need for the research to be expanded to where it can provide consciousness in how the diviners’ divination is being reproduced in the Public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