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기 위안을 위한 이야기로 본 <만언사>의 특징과 의미

        염은열 ( Yeum Eunyeul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19 No.-

        필자는 계층적 입장이나 시가사적 구도라는 프레임을 잠시 접어두고, 절도 유배라는 극한적인 상황에 놓인 한 인간의 `이야기`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 <만언사>의 특징과 의의를 새롭게 조망하고자 하였다. 유배가사의 일반적인 짜임과는 달리, <만언사>에는 한양에서의 이왕지사를 술회하는 부분이 상당 분량을 차지하고 있고 배소에서의 생활을 이야기할 때도 한양에서의 풍족했던 생활과 대비하여 술회하는 경우가 많다. 한양에서의 생활과 견줌으로써 배소인 추자도의 열악한 생활상이 더욱 부각되고 배소에 적응하려는 자신의 눈물겨운 시도들 또한 실감나게 그려진다. 전체적으로 볼 때 <만언사>는 이질적인 두 공간을 대비하면서, 다소 굴곡이 있는 성장기를 보내기는 했지만 그래도 한양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던 작자 자신이 추자도에 와서 이렇게 모진 고생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나게 이야기하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나`의 이왕지사와 직금의 일을 소상하게 이야기함으로써 안조원은 위안과 동시에 좌절감을 경험했을 것으로 보았다. `나`의 이야기를 하려면 내가 처한 상황과 겪고 있는 고통을 밖으로 드러낼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외현화가 자기를 위로하고 치유하는 첫걸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안조원은 자신의 처지를 일반화하거나 회화화하는 등 적극적으로 외현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절도 유배라는 특별한 상황에서 받은 상처는 말로 위안을 받을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다. 물질적인 조건을 중시하는 안조원에게는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이야기의 후반부에 이르러 한탄과 자조, 하소연과 호소가 늘어나는 것도 이러한 상황의 특수성과 관련된다. 결국 이 연구에서는 안조원이 `만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위로를 받기보다는 유배자로서의 자기정체성을 확인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좌절감이나 체념의식을 또한 내면화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적 정황이 연작가사 창작의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추리하였다. < Maneonsa > is different from other Exile gasa texts in terms of the social status of writer and cause of exile. So the greater part of researches has focused on this difference or uniqueness of < Maneonsa >. We focused on < Maneonsa > in itself, which was a narrative an exile told his life till then. We studied on what story and why a human expelled from one`s home town(Hanyang) to a isolated island(Chujado) told. As a result, We identified two meaningful places in < Maneonsa >, one was Hanyang an exile, Anjowon had lived in for 33 years, the other was Chujado, a place of exile. He had lived a life of abundance, lacking practically nothing in Hanyang, but the situation had completely changed in Chujado. Presenting his desire to go back to Hanyang, he described past history proudly, but described the current state of living miserably. By telling his proud history and current miserable state, he took consoled himself on the one hand, but identified his miserable status as a exile on the other hand. That is two sides of telling about something wounded. Only exposing one`s bad state, wounded pride and hurt, healing or consolation would be started. But holding all the cards like exiled situation, telling a story about himself was rather harmful of teller because of recognizing his unchanged bad state. We found Anjowon had self-consolation and sense of dispair at the same time by telling his story. On this, we could reasoned he made another text for self-consolation like < Maneonsadap >, one of series related with < Maneonsa >.

      • KCI등재

        학교 바깥 고전시가의 변용과 향유에 대한 교육적 성찰 - <가시리>를 예로

        염은열 ( Yeum Eunyeul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3 No.-

        요즘 과거를 배경으로 하는 상품들이 활발하게 창작되고 널리 인기를 끌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고전시가가 학교 바깥에서 변용되고 향유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하여 고전시가 중에서도 가장 활발하게 변용 혹은 재창조되고 있는 <가시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학교 바깥에서 <가시리>가 재창조되는 양상을 살핌으로써 학교 안 <가시리> 교육은 물론이고 고전시가 교육 전반에 유용한 시사점을 발견 하고자 하였다. 고려속요 <가시리>가 현대시와 대중가요로 재창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현대시에 비해 대중가요가 더 많이, 그리고 더 널리 향유되고 있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대중가요 [가시리]에 연구의 초점이 더 놓이게 되었다. 우선 현대시로 변용된 작품의 경우, 대부분의 작품이 <가시리>를 여성 화자의 노래, 이별의 정한을 노래하는 시가로 보는 단일한 해석에 기초해 있었다. 대중가요의 경우에는 <가시리>와 <청산별곡>이 합가된 노래에서 출발하여 <진달래꽃>의 발상과 표현이 더해지면서 현대판 [가시리] 계열의 노래가 대중가요사에서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대부분의 노래들이 전통 정서를 담고 있는 이별 노래라는 시가사적 평가에 기초해 있었다. 결국 대중가요나 현대시 모두 <가시리>를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민족시가 혹은 <진달래꽃>으로 이어지는 전통 시가로 보는 프레임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해석 내용과 해석의 프레임은 그간 교실에서 일관되게 강조해온 교육 내용에 다름 아니다. 교실에서 고려속요 <가시리>는 대개의 경우 <청산별곡> 등과 함께 고려속요라는 장르 혹은 작품군에 속하는 작품이자, 주제나 정서가 <진달래꽃>으로 이어지는 전통시가로 가르쳐왔기 때문이다. 이처럼 학교 안에서 인접성이 강조됨에 따라 <가시리>와 <청산별곡>과 <진달래꽃>이 합쳐진, 현대판 대중가요 [가시리] 각편들이 다수 출현하여 하나의 흐름을 형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시리>의 재창조 양상을 살핌으로써, 우리는 학교 안에서 고전시가를 배운 경험이 학교 바깥에서 고전시가를 운용하고자 할 때 중요하게 개입한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학교 바깥에서의 다양한 변용을 위해서라도 학교 안 교육 경험이 깊이와 폭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사실상 학교 안과 바깥에서의 경험이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우리들의 문화적 감수성이나 해석 역량이 형성된다. 그런 점에서 학교 안과 바깥을 아우르는 관점, 특히 학교 안에 있는 연구자이기에 더욱 학교 바깥의 고전시가를 이해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연구가 모쪼록 학교 안 교육만을 염두에 두고 전개되었던 고전시가교육 연구에 대한 반성을 촉발하고, 교육 방법 찾기에 집중했던 고전시가 교육에서 부족했던 안목과 비전을 재정립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goods or cultural products related `the past` has become widely popular. In this atmosphere of today, we have studied the present situation or trend which Korean old classic poetry had been transformed and enjoyed outside of school. In order to investigate more specially, we has focused on a old poetry < Kasiri >, which had been sung in Koryeo palace and written down in Chosun dynasty.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situation or trend of rebirth of old poetry outside of school, we had tried to get some useful lesson or insight into teaching Korean old poetry including < Kasiri > in school. As a result of research, we found out < Kasiri > had been recreated and transformed as a modern poem or modern popular song. Specially variety of popular songs originated from < Kasiri > had been created and sung actively and today`s people have loved those songs. Interestingly, we had found a tendency of interpretation or approach of < Kasiri > outside of school, which was a kind of frame used for teaching < Kasiri > in school. It was that < Kasiri > was considered to be typical and traditional song related with < Chungsan-byeolgok >(Koryo-gayo) and < Jindallae-flower >(modern poem). As reflecting on the rebirth of old poetry outside of school, we knew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in their class or school were involved in transforming or creating old classic poetry as some kind of goods or cultural products, outside of school. And we proposed the breadth and depth of learning experience in school needs to be expanded, for providing rich resources to outside of school.

      • KCI등재

        교사 문식성 연구의 필요성과 가능성 탐색 ―충북 혁신학교의 변화를 바탕으로

        염은열 ( Yeum Eunyeul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4

        이 연구는 학교 내 요인, 구체적으로 교사의 문식성이 교육 격차 해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 필자가 만난 학교와 수업, 교사에 대한 경험에 대한 성찰로부터 촉발되었는데, 특히 2018년도 충북의 혁신학교, 즉 행복씨앗학교를 참여 관찰하고 평가한 경험이 중심이 되었다. 우선, 충북의 경우 혁신학교가 교육 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변화의 중심에 교사와 교사들로 구성된 전문적 학습 공동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교사 배움의 문식성이라는 개념을 제안함으로써, 문식 활동의 실행자이자 학생 문식성의 후원자이면서 문식성교육의 실천가로서의 교사의 문식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배움의 장으로서의 교사 학습 공동체에서 일어나는 문식 활동 또한 탐구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교사 역시 학습자 혹은 배움의 주체로서 인식 혹은 ‘발견’될 필요가 있으며, 언어적 소통 능력, 즉 배움의 과정에 작용하는 여러 지식과 기능 및 전략 등은 물론이고, 개인과 공동체의 역량 및 실천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성원들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자체가 탐구 대상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emise that factors within the school, specifically the teachers’ literacy, affect educational gaps. Furthermore, this study was inspired by my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of the teachers, lessons, and schools I had encountered, in particular, my experience of observing and evaluating an innovative school in Chungbuk Province in 2018. First, in the case of Chungbuk, the innovative schools have contributed to solving the education gap. Moreover, there have been teacher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posed of teachers at the center of the chang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be perceived or “discovered” as learner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f teachers need to be explored as a learning space wherein the literary and communicative activity takes place.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proposes the concept of teachers’ learning literacy.

      • KCI등재

        초기 문해력 지원을 위한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 연구 : 학술잡지 『초기문해력 교육』을 중심으로

        염은열 ( Yeum Eunyeul ),김미혜 ( Kim Mihye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60

        최근 초기 문해력의 차이가 이후에 더 커다란 문해력 및 학습 격차로 이어진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초기 문해력 교육이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초기 문해력 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가능성을 제안하고 검증해온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읽기에 곤란함을 겪는 아이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 방안 및 초기 문해력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은 한국판 리딩 리커버리 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1-2학년 어린 아이들이 도달해야 할 문해력 수준을 가정하며, 하위 20%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개별 지도를 함으로써 그 아이들을 1-2학년 시기 아이들의 평균 수준에까지 이르도록 지원한다. 읽기 따라잡기 교육의 슬로건은 “아이로부터 출발하라. 그리고 교사를 세워라”이다. 이 슬로건 안에는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의 두 가지 원칙, 즉 ‘개별화된 조기 개입 프로그램’이라는 원칙과 ‘연구에 기반한 균형잡힌 접근법’이라는 원칙이 담겨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술저널 『초기 문해력 교육』에 실려 있는 교사들의 자기비평을 중심으로 읽기 따라잡기 수업의 특성과 초기 문해력 교육 일반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읽기 따라잡기 수업은 문해력과 자존감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며, (2) 읽기 따라잡기 교사들은 끊임없이 아이의 눈높이에서 머무르고자 한다는 것, (3) 교사들은 패턴화된 읽기 따라잡기 수업을 다양하게 재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은 (1) 초기 문해력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을 변화시켰으며, (2) 초기 문해력 시기 교실 밖 문해 환경의 영향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확산시켰고, (3) 실제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이들의 사례를 통해 읽기 따라 잡기 프로그램이 읽기 발달 최하위 학생들이 또래들의 평균적인 수준을 따라잡도록 하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증명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향후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이 지속 가능하면서 보편적인 초기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1) 패턴화된 수업을 넘어서서 다양한 수업 방식을 수용하는 것, (2) 읽기 따라잡기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의 부담을 줄이는 것, (3) 교사의 실천가-연구자로의 성장 과정을 다양화하는 것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Recently, as the perception that the difference in initial literacy leads to a larger literacy and learning gap is spreading, early literacy education has been highlighted. This study examines the “Ilg-gi Ttalajabgi (읽기 따라잡기) program,” which has suggested and verified new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of early literacy education and seeks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reading.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is a Korean version of the Reading Recovery Program, which assumes the level of literacy that young children in grades one and two of elementary school should attain. Furthermore, this program supports the lower 20% students in reaching the average level of children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through individual guidance. The slogan of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is “Start with the child. And set up teachers.” This slogan encompasses the two principles of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an “individualized early intervention program” and a “research-based, balanced approach.”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g-gi Ttalajabgi class and its implications for early literacy education in general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self-criticism of teacher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 “Early Literacy Educa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1) the Ilg-gi Ttalajabgi clas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literacy and self-esteem, and (2) the Ilg-gi Ttalajabgi teacher continuously tried to remain adapted to the child's eye level. Finally, (3) teachers reconstruct the patterned teaching method in various ways.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is program transformed the paradigm for early literacy education. Second, it sprea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influence of the literacy environment outside the classroom during the early literacy period. Moreover, the actual examples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proved that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was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with the lowest reading development reach the average level of their peers. However, for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to develop into a sustainable and universal early literacy education program, it must (1) allow various teaching methods beyond patterned education and (2) reduce the burden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Ilg-gi Ttalajabgi teacher. Finally, (3)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growth process of teachers as practitioner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