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문화의 시각문화교육적 이해와 접근

        연혜경(Yeon, Hye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대중문화는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핵심어로서 대중매체에 의해서 대량생산, 유통, 소비되는 현대의 문화적 환경이다. 대중문화는 우리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스며들어있어 우리의 정서와 사고, 행위 양식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대중문화의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시각문화 교육에서의 대중문화 교육을 미술교육의 전환적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에 있는 청소년에게 대중문화는 정서적 교감으로 생활의 변화를 주는 오락거리인 동신에 자신을 돌아보고 또래와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매개체이다. 시각문화교육에서 대중문화 교육의 목적은 청소년이 대중문화의 수동적 소비자가 능동적 의미 해석자가 됨으로서 자신의 삶에서 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이론탐색으로서 연구자는 대중문화의 특성과 이해를 학습자로서 청소년과 미적체험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래서 청소년은 대중문화의 능동적 의미해석자로 제시하고 대중문화의 미적체험은 일상적 삶의 예술화라는 듀이의 관점과 정서적 체험으로서 소비행위와 놀이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대중문화 교육의 방향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Popular culture is the mas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the art of the mass through the popular media, and is a key to understanding the modern society. It permeates through our everyday lives, governing our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 This study, by focusing on these factors of popular culture, aims to discuss a revolutionary approach in art education through popular culture education. To adolescents during their phase of self-identity development, popular culture serves both as a means of entertainment that brings about transformation through emotional interaction and a channel to develop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o reflect upon and express self. The direction that popular culture education should take from the standpoint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s to assist adolescents to make the transformation from a passive consumer of popular culture to an active interpreter of the implication of popular culture. In a theoretical search to this end, this study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as replicable, everyday, commercial,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provides the understanding of popular culture from a critical, receptive, and cultural research standpoint. The study also explores the prospect of adolescents as an active interpreter of popular culture from the art education perspective by observing consumer behavior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popular culture education in visual culture education.

      • KCI등재

        미술학습 체험의 시간성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연혜경(Yeon, Hye-Gye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2

        미술수업은 교사의 설명에 의한 객관적 지식의 전달이나 원리의 습득보다 학습자의 개별적이고 직접적인 활동이 학습의 중추가 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사고와 신체적 감각과 정서가 어우러 지면서 학습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미술학습의 이러한 성격을 ‘체험’으로 규정하여 체험의 의미를 시간의 지평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체험은 직접적이고 개별적이며 고유한 전체성의 차원에서 지속적인 의미를 산출하는 창조행위이다. 근대의 객관적 시간이해는 시간이 누구에게나 동일한 속도로 균질하게 흐른다고 본다. 그러나 체험의 지평에서 인간이 생생하게 경험하는 의식에서의 시간은 과거와 현재, 미래가 객관적으로 선형적이지 않다.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의미를 ‘마음씀’(sorge)으로 간주하여 그 존재의미가 시간성임을 해명하였다. 들뢰즈는 베르그송의 지속을 세 겹의 시간으로 이해하여 시간의 반복에 의해 발생하는 차이가 변화를 만드는 생성의 시간임을 주장하였다. 미술학습의 체험은 이러한 존재의 시간성, 반복과 차이의 생성의 시간성으로 주어진다. 존재와 생성의 관점에서 이해된 미술학습의 체험은 학습자의 구체적인 삶이 미술 교육의 중핵임을 드러낸다. 따라서 체험은 미술학습의 존재론적 의미를 담고 있는 학습양식임을 알 수 있다. In art learning, the pillar of art class is the students’ individual and first-hand activities rather than the teachers’ delivery of objective knowledge and principles. In such a process, the students make inputs with their own thinking, senses, and sentiments, thus contributing to study. This article set out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s in the aspect of time by defining those features of art learning as “experiences.” Experiences generate constant meanings in direct, individual, and unique wholeness. In modern days, it is accepted that time flies at the same speed for all people. In the dimension of experiences, however, the timeline of past, present, and future is not objectively linear. Heidegger saw the ontological meaning of current being as “caring” and explained that its ontological meaning is temporal. Deleuze understood the continuity concept by Bergson as three layers of time and argued that differences by repeating time cause changes. Experiences with art learning are given in the temporality of such beings and that of repetitions and differences. Experiences with art learning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ontology and generation demonstrate that the lives of students are the core of art education, which indicates that Experiences are a learning form containing the ontological meanings of art learning.

      • KCI등재

        중학생의 미술표현학습에서의 몰입경험 과정과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연혜경(Yeon Hye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7 美術敎育論叢 Vol.31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미술표현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몰입경험을 근거이론의 연구방법으로 탐구한 것이다. 몰입경험을 연구과제로 설정한 이유는 미적체험에 의한 학생의 변화와 성장이라는 미술학습의 내재적 가치와 의미들을 학생들의 몰입경험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중학생은 미술표현학습에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 몰입을 경험하는가? 둘째, 중학생의 미술표현학습에서 몰입경험을 이끌어가는 핵심은 무엇인가?이다. 실제연구는 중학생 20명과의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 결과 191개의 개념과 52개의 하위범주, 18개의 상위범주가 구성되었다. 몰입과정은 혼란단계-모색단계-문제해결단계-성취단계로 나타났다. 중학생은 미술표현학습에서 표현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몰입하였다. 학생들은 표현의 어려움에서 벗어나 몰입하여 작품을 완성함으로써 만족과 뿌듯함을 느낀다. 중학생의 표현학습에서 몰입경험을 이끌어가는 핵심은 ‘자유로움과 재미’로 표현의 어려움에서 벗어나 몰입으로 빠져들기’로 나타났다. 자유로움과 재미는 표현학습의 전과정에 걸쳐서 몰입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자유로움과 재미는 학생들의 내적동기와 자발성을 유발하여 표현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 결과 미술표현학습 과정에서의 몰입경험은 학생이 미적체험을 하도록 함으로써 학생의 변화와 성장을 이끌어낸다. 미술표현수업에서 학생의 자유로움의 조절과 개별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지도방법을 적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to the flow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rt expression learning. Flow experience is selected due to the investigator’s firm belief in realizing it by letting out students’ inherent valu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rough what process do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flow in art expression learning? Second, what is the core factor of motivating students to focus on flow experience? The research involved in-depth interviews with 20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divided into 191 concepts, 52 subcategories, and 18 upper categories. The result i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flow process found to be developed from confusion, discovery, problem-solving to achievement stages. They immersed themselves in the stage of solving difficulties. Students’ satisfaction realized by overcoming difficulties by themselves through undisturbed freedom and fun. Freedom and fun were the elements to influence their flow experience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expression learning. Freedom and fun induced intrinsic motivation and spontaneity in the entire process of expression, playing a positive role in their resolution of difficulties with express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flow experiences the students have in the process of art expression learning help them to have aesthetic experiences and thus undergo positive changes and growth.

      • KCI등재

        놀이로서의 예술경험에 대한 미술교육적 이해

        연혜경(Yeon Hye-gye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1

        본 연구는 놀이로서의 예술경험을 해석학적 존재론의 지평에서 논의하고 미술교육의 지평에서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놀이는 재미, 자발성, 참여, 자기목적성이라는 특성이 있으며, 표현이라는 점에서 예술과 문화의 근거로서 해석되어 왔다. 놀이와 미술교육은 표현으로 인해 예술경험이라는 지평에서 만나 그 의미를 공유한다. 근대 이후 놀이 개념은 과학주의와 이성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주로 문화적 관점, 주관주의 미학의 관점, 삶의 예술해석학적 관점, 해석학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이해되어 왔다. 가다머는 놀이가 예술경험과 동일한 존재양식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그 특성을 중간태, 표현, 형성체, 미메시스, 시간성으로 제시하였다. 예술경험으로서의 놀이는 미술교육의 지평에서 몰입, 상상력, 변화의 준거로서 그 의미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놀이의 존재론과 함께 진리의 드러냄이라는 예술의 존재론적 차원을 그 뿌리에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ets out to discuss play as artistic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and understandes its meaning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 ontology. Play is characterized by fun, spontaneity, participation and self-purpose and has been interpreted as a ground for art and culture in that it is a form of expression. Play and art education meet at the horizon of art and share meanings through expression. The concept of play has been understood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subjective aesthetics, artistic analytics of life, and analytic ontology. Recognizing that play has the same ontological style as artistic experiences, Gadamer proposed intermediates, expressions, organizers, and mimesis as its characteristics. Play as artistic experiences can be interpreted with the principles of commitment, imagination, and 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Thus it can be said that art education, just like play, has its root in the dimension of artistic ontology that is the display of truth.

      • KCI등재
      • KCI등재

        교과와 미술 통합 수업에서의 예술적 특성

        김정선,박남정,박정유,연혜경,이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09 造形敎育 Vol.0 No.35

        The initiative of the research was to discover a way of instruction that teaches educational materials in artistic methods. Researchers studied the possibilities of integrating art into each educational subject through pre-education. Using the previous theoretical structure basis, researching instructors searched for models of art integrated educational instruction methods that can be executed within the limited class room perimeters,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rt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the instructional methods. Such method allows learning to take place as cohesion between intuition and reasoning, feeling and sensibility with knowledge occurs reciprocally; therefore when such knowledge expands to new horizons and education continuously deepens, it can be stated that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habe finally been attained. So, it has been deducted that for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art-education incorporated instruction, that it should include processes of imagination, individuality, experiencing sense of the media, communication and sympathy, reconsideration processes, and questioning processes. All curriculum was designed to apply the above qualities. Classes were recorded by instructors and later analyzed based on the artistic qualiti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more detailed methodology would be necessary to realize the artistic qualities within the course and to engage the student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has discovered the educational effect and meaning of artistic activities as a method of teaching-learning through empir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