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임 학교장의 학교공동체 구성원 간 갈등 관리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윤호상(Yoon, Ho-Sang),연지연(Yeon, Jiyeon)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의 초임 학교장들이 학교에서 겪게 되는 학교공동체 구성원 간의 다양한 갈등을 어떻게 인식하고 관리하며 리더십을 발휘하는지에 관해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초임 학교장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현장관찰, 전화 면담, 이메일, 학교 경영 자료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edford와 Landry(2010)가 제시한 내러티브 분석과정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하나의 이야기로 삼아 내러티브의 삼차원적 공간 안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급과 각자의 교육현장에서의 삶은 달랐지만 초임 학교장으로서 겪은 학교공동체 구성원 간 갈등에 대한 경험은 유의미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 조직 내 갈등을 위험으로 판단하지 않고 긍정적 측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리더십 실천을 통해 갈등 상황을 기회로 전환할 수 있었으며, 비록 초임 학교장이었지만 갈등 관리 리더십 실천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갈등 관리 리더십 실천을 통해 반성과 성찰을 환류하면서 새로운 갈등 관리 리더십을 실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학교 공동체 구성원 간의 갈등 주체가 다양해지고 있고 양상이 복잡해지고 있으므로 학교장의 갈등 관리 리더십 실천에서는 학교공동체 구성원 간 갈등간리에서는 학교 구성원들이 학교공동체라는 인식을 가지고 협력하는 것과 교사, 학부모가 서로의 관계를 존중하고 상호 협력하는 관계를 발전시켜나가는 노력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newly appointed school principal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perceive, manage, and exercise leadership in various conflicts among school community members. As a research method,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was appli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ield observations, telephone interviews, e-mails, and school management data for three first-time princip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depth with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of the narrative, using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s a story according to the narrative analysis process suggested by Bedford and Landry (2010). The research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did not judge conflict within the school organization as a risk, but perceived it as a positive aspect.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ble to turn conflict situations into opportunities through leadership practice, and although they were the first principals, there was no great difficulty in practicing conflict management leadership. Third, the study participants practiced new conflict management leadership while giving back reflection and reflection through conflict management leadership practice. Through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subjects of conflicts among members of the school community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complex. Therefore, in the conflict management leadership practice of the principal, in the conflict between members of the school community, cooperating with the recognition that school members are a school community, teachers, The importance of parents efforts to respect each other s relationship and develop a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was discussed.

      • KCI등재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체제 분석

        주민재(Joo, Minjae),연지연(Yeon, Jiyeon),이현주(Lee, Hyunju)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의 현황과 교수자 및 행정 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하여, 성인학습자에게 적합한 의사소통 교육 방법과 교수학습 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 참여 대학이 운영하고 있는 의사소통교육 현황에 대한 기초설문조사와 교수자, 행정 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 운영 현황 및 담당자 인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은 대부분 학령기 학습자 대상으로 운영되는 의사소통교육체제를 준용하고 있었다. 일부 대학에서만 의사소통 교과목을 미래융합대학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운용하고 있었다. 각 대학의 의사소통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현재 성인학습자 의사소통교육은 학부 교육과정과의 차별화 미흡과 특성화 부족으로 요약된다.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성인학습자 대상의 별도 지원체계 역시 미흡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학사 운영 등으로 학습자들의 실제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 형태로 의사소통교육이 운영되고 있으며 성인학습자 맞춤형 커리큘럼 및 콘텐츠가 시급히 개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성인학습자 요구 맞춤형 운영이 가능한 트랙제 교육과정과 성인학습자의 수준 및 경험을 고려한 교육 내용과 자료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성인학습자의 의사소통교육을 전담하는 전임교원의 확보가 핵심적인 과제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t each university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to secure data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education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itable for adult learner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basic survey on the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perated by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LiFE project> in Korea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t each univers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person in charg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most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of each university applied the communication education system operated for school-age learners mutatis mutandis. According to an in-depth inter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peration at each university,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was insufficiently differentiated from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nd lacked specialization. In addition, a separate support system for adult learners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y is insufficien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communication education was being operated in a form that did not meet the actual needs of learners due to academic operation that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nd that curriculum and contents customized for adult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urgently.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argued that, in order to substantiat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a track-based curriculum that can be operated tailored to the needs of adult learner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that consider the level and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each university proposes as a core task to secure a full-time faculty in charge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