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마린드씨검과 에탄올, 폴리올 및 산·염기 반응의 물성 연구를 바탕으로 한 겔 시트 마스크의 개발

        여혜림 ( Hye Lim Yeo ),이효진 ( Hyo Jin Lee ),강해란 ( Hae-ran Kang ),정소영 ( So Young Jung ),이소민 ( So Min Lee ),김형묵 ( Hyung Mook Kim ),곽병문 ( Byeong-mun Kwak ),이미기 ( Mi-gi Lee ),빈범호 ( Bum-ho Bin ) 대한화장품학회 202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는 타마린드씨검(Tamarindus indica seed gum, TG)과 에탄올, 폴리올의 반응성 및 산·염기 반응 실험을 기반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지지체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겔 시트 마스크 개발에 관한 것이다. TG와 특정 알코올류를 각각 일정 혼합 비율로 혼합하는 경우, 각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투명한 겔을 형성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지지체가 없는 겔 시트 마스크를 얻을 수 있었다. 피부 밝기 개선을 극대화하기 위해 산·염기 반응의 탄산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산 원료별 함량 실험을 진행하였고, 분광측색계와 수분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피부 밝기 및 보습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TG와 에탄올, 폴리올의 수소 결합에 의한 겔화 반응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제형으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 소개된 겔 시트 마스크 제형은 우수한 보습력을 부여하므로 향후 새로운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relates to the development of a new gel sheet mask that finally does not require support based on the reactivity and acid/base reaction experiments of Tamarindus indica seed gum (TG), ethanol, and polyols. When TG and a specific alcohol was mixed at a certain mixing ratio, a transparent gel is formed by reaction with each component, and thus a gel sheet mask without support might be obtained using the mixture. In order to maximize skin tone improvement, a carbonation system of acid and base reactions was introduced, and skin brightness and moisturizing power were evaluated using a spectrophotometer and a moisture measuring devic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gelation reaction by hydrogen bonding of TG, ethanol, and polyols can be developed into various types, and the gel sheet mask formulation introduc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develop new products in the future.

      • KCI등재

        라멜라 액정상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

        여혜림 ( Hye Lim Yeo ),이지현 ( Ji Hyun Lee ),김수지 ( Su Ji Kim ),노민주 ( Minjoo Noh ),장지희 ( Ji Hui Jang ),김연준 ( Youn Joon Kim ),윤명석 ( Moung Seok Yoon ),유권종 ( Kweon Jong Yoo ),이준배 ( Jun Bae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3 No.1

        본 연구는 두 개의 편광판 사이에서 홀로그램과 같은 독특한 외관을 갖는 라멜라 액정상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에 관한 것이다. 라멜라 액정상을 갖는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 연구는 오래전부터 많이 시도되어 왔지만, 탁도 증가 및 점도 상승 등의 문제로 실제 상용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면활성제의 알킬 체인에 의한 액정상의 유동성 증가와 음이온 계면활성제 도입에 따른 정전기적 반발력 증가를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액정상의 결정화를 억제하여 안정한 액정상 제형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클렌징력 평가를 위해 형광물질과 in vivo imaging system (IVIS) 장비를 이용하여 in vitro 클렌징력 평가법을 새롭게 도입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클렌징력 평가법을 이용하여 라멜라 액정상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의 우수한 메이크업 클렌징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라멜라 액정상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을 직교 배열된 두 편광판 사이에 두면 홀로그램과 유사한 특이적인 무늬를 관측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액정상 제형을 통과하는 가시광선과 라멜라 구조 사이의 간섭현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클렌징 제형에서의 라멜라 구조는 소각 X선 산란분석(SAXS)을 이용하여 Bragg spacing ratio가 1 : 2의 정수 비로 관찰되는 것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라멜라 액정상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은 우수한 경시 안정성과 클렌징력, 그리고 편광판 사이에서 관찰되는 홀로그램과 유사한 독특한 외관으로 인해 향후 새로운 메이크업 클렌징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related to a lamellar liquid crystal make-up cleansing formulation with a hologram-like unique appearance between two polarizing plates. Make-up cleansing formulations with a lamellar liquid crystal phase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for a long time, but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practical commercialization because of increasing turbidity and viscosity. In this study, to solve this problem, alkyl chains of surfactants were modified to increase the fluidity of the liquid crystal phase, and electrostatic repulsion force was increased by introducing anionic surfactant. The lamellar liquid crystal make-up cleansing formulation which introduced anionic surfactants can easily inhibit crystallization through electrostatic repulsion force, thereby showing excellent stability overtime, maintaining transparent appearance and viscosity. In addition, we have newly introduced an in vitro cleansing evaluation method using fluorescent material and in vivo imaging system (IVIS) for objective and quantitative cleansing ability evaluation. The excellent cleansing ability of lamellar liquid crystal cleansing formulation has been confirmed by newly developed evaluation method. On the other hand, when lamellar liquid crystal make-up cleansing formulation was placed between orthogonally arranged two polarizing plates, a specific pattern like a hologram can be observed. This phenomenon is presumably interpreted a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visibl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formulation and the lamellar structure. The lamellar structure of cleansing formulation was confirmed by SAXS analysis, exhibiting Bragg spacing ratio of 1 : 2. The lamellar liquid crystal make-up cleansing formulation prepared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future application in make-up cleansing due to its excellent stability, cleansing ability, and unique hologram-like pattern placed between two polarizing plates.

      • KCI등재

        쌀겨오일의 안티폴루션 화장품 소재로써의 응용

        강해란,정소영,허효진,차병선,이소민,여혜림,유경완,곽준수,곽병문,이미기,빈범호,Kang, Hae-Ran,Jung, So Young,Heo, Hyojin,Cha, Byungsun,Brito, Sofia,Lee, So Min,Yeo, Hye Lim,Yoo, Kyung Wan,Kwak, Jun Soo,Kwak, Byeong-Mun,Lee, Mi-Gi,Bin, B 대한화장품학회 202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7 No.3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일반적으로 사람 머리카락의 두께에 비하여 각각 1/6 ~ 1/7, 1/20 ~ 1/30 정도로 매우 작은 부유성 먼지를 뜻하며, 다양한 종류의 중금속 이온이 내포되어 있다. 호흡뿐 아니라 피부의 모공 틈새를 통해서 유입된 미세먼지는 체내 조직과 피부 건강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을 막거나 깨끗이 씻어내어 제거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Oryza sativa (Rice) bran oil (OSBO, 쌀겨오일)을 이용하면 중금속 이온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독성 실험을 통해 세포 생존율이 곡물 유래 성분과 비교했을 때에도 월등히 높아 외부 자극원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OL1A1 mRNA의 발현량이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미세먼지 속 중금속 이온에 의해 손실된 수분으로 유발될 수 있는 주름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중금속 제거를 위한 워시-오프 제형의 OSBO 함유 화장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articulate matter and ultra-particle matters generally refer to very small floating dust, such as 1/6 to 1/7 and 1/20 to 1/30,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human hair, and contain various types of heavy metal ions. In addition to breathing, particle matters (PM) that flows in through the gaps in the pores of the skin can induce health problems in the body's tissues and skin, so it must be removed by blocking the inflow or by washing.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heavy metal ions can be adsorbed and removed by using Oryza sativa (Rice) bran oil (OSBO). In addition, the cell viability is much higher than that of grain-derived components through cytotoxicity experiments, and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an external stimulus source can be expec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amount of COL1A1 mRNA increased, and accordingly, it was believed that wrinkles that might be caused by moisture lost by heavy metal ions in fine dust could be allevi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we tried to present a cosmetics containing OSBO, which is a wash-off formulation, in order to finally remove heavy metals.

      • KCI등재

        쑥으로부터 유래된 나노입자의 화장품 제품 응용

        정소영,강해란,유한준,최형,허효진,차병선,이소민,여혜림,강서정,이대엽,곽병문,이미기,빈범호,Jung, So Young,Kang, Hae-Ran,Yoo, Han Jun,Choi, Hyeong,Heo, Hyojin,Cha, Byungsun,Brito, Sofia,Lee, So Min,Yeo, Hye Lim,Kang, Seo Jeong,Lee, Dae Yeop 대한화장품학회 202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7 No.3

        나노입자(nanoparticles)는 그 크기가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보다 작다. 따라서 세포막을 통과하고 약물 또는 유전자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에 매우 적합하며 특정 성분을 피부 속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쑥으로부터 나노입자를 추출하여 dynamic light scattering (DLS)를 통해 100 nm 전후 크기의 입자를 얻었음을 확인하였고, MTT assay를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cell viability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진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quantitative real time PCR 분석법을 통해서 COL1A1 mRNA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IL-6 mRNA 발현량은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세포실험뿐 아니라 화장품 제형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최근 화장품 산업 동향에서 화학 성분을 배제하고 식물 유래 성분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반면, 식물에서 유래된 나노입자의 응용분야를 제시하는 연구 결과가 거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의 화장품 산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견주어 쑥으로부터 유래된 나노입자를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Nanoparticles are substances that are smaller in size and smaller than cells that make up the skin. Therefore, they are very suitable as mediators for transmitting drugs or genes across cell membranes, and also deliver specific ingredients into the skin.In this study, nanoparticles were extracted from mugwort and particles of around 100 nm were obtained through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the results of concentration-dependent enhancement of cell viability in fibroblasts were obtained through MTT assa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1A1 mRNA expression level was increased and the IL-6 mRNA expression level was decreased through the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method. Moreover, as these nanoparticles were confirmed to be stable, they can be applied not only to cell experiments but also to cosmetic formulations. While the demand for plant-derived ingredients continues to increase, excluding chemical ingredients from the recent cosmetics industry tre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re are few research results suggesting the application field of plant-derived nanoparticles.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smetic industry at the present tim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present nanoparticles derived from Artemisia princeps (NDAP) as a highly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 KCI등재

        Swollen Micelle을 이용한 난용성 효능물질의 안정화 연구

        김수지 ( Su Ji Kim ),정유리 ( You Lee Jeong ),남진주 ( Jin Ju Nam ),장지희 ( Ji Hui Jang ),여혜림 ( Hye Lim Yeo ),윤명석 ( Moung Seok Yoon ),유권종 ( Kweon Jong Yoo ),이준배 ( Jun Bae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2 No.1

        마이셀을 이용한 가용화 제형은 화장품 산업에서 스킨 로션, 토너, 미스트 등 다양한 제형으로 이용되고 있다. 마이셀은 입자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효능 물질의 담지체 역할보다는 향을 가용화시키는 정도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능 물질인 β-sitosterol을 담지 할 수 있는 새로운 마이셀을 개발하기 위하여 투명한 외관을 갖는 swollen micelle을 고려하였다. 특히, 효능 성분과의 용해도 계수를 고려하여 swollen micelle을 제조함으로써 난용성 효능 성분이 마이셀 내부에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swollen micelle의 안정도는 동적광산란장치(dynamic light scattering, DLS)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투명한 입자의 외관과 모양은 육안 관찰 및 cryo-TEM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DSC를 이용한 열분석을 통해 난용성 효능 성분인 β-sitosterol이 swollen micelle 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용해도 계수를 고려한 swollen micelle은 난용성 효능 성분의 새로운 담지체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icelles, which are called solubilization formulation, have been widely used in skin lotion, mist or various formulations for the purpose of solubilizing the fragrance rather than the role of the active ingredient carrier because the particles are very small.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wollen micelle having a transparent appearance to deliver β-sitosterol. When preparing the swollen micelle, solubility parameter was considered with active ingredient. This method allowed insoluble active ingredient to be safely entrapped inside the micelles. Stability of micelle was evaluat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The transparency and shape of the micelles were confirmed by cryo-TEM. In addition, through the thermal analysis using DSC, β-sitosterol was found to be stably present in the swollen micel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wollen micelles considered solubility parameter could be used as a new carrier for the insoluble active ingred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