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탑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문화예술콘텐츠 창·제작 연구 - 수제 막걸리를 중심으로 -

        송선미 ( Song Seon-mi ),여예강 ( Yeu Ye-kang ),우정표 ( Woo Jung-pyo ),정진경 ( Jeong Jin-kyoung ),홍빛나 ( Hong Bit-na ),변현진 ( Byun Trina Hyunji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을 비롯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화예술 콘텐츠에 다양한 미래형 미디어 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고전적 방식으로 음악·미술·공연 분야에서 활동하는 많은 예술가들은 본인의 새로운 창작물에 AI 기술 등 신기술을 접목하고 싶으나, AI의 특성이 무엇인지, 어디에서부터 시작하여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접근 자체부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미디어아트 분야의 전문 아티스트가 아닌 예술계 종사자들이 AI기술이 융합된 창·제작을 위여 효과적이며, 지속적인 작품 활동을 독려할 수 있는 기술 결합 조건 및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AI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창·제작 활동 과정 및 결과를 고찰한 실증적 연구이다. 8인의 참여자들은 6주간 수제 막걸리를 소재로 한 창·제작 활동에 참여하였다. 10가지의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단편 영상 2편과 음원 4곡을 창작하였다. AI소프트웨어를 활용해본 결과 참여자들이 AI기술에 대한 이해를 비교적 쉽게 할 수 있었다. 결과물이 완성된 후, 참여자들에게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였다. 참여자 대부분은 본 창·제작 진행 과정에 AI 소프트웨어의 기술을 실현해 봄으로써 AI기술의 특성인 창의성, 유희성, 편리성, 가변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 활동 시작 시, 주제와 소재 선택 과정에 있어 수제 막걸리라는 친숙한 소재를 활용한 덕분에 AI기술적 접근에 대한 두려움이 일정 정도 해소되는 효과를 얻었다. 활동 중에는 AI의 문제 해결 지점과 인간이 문제 해결하는 관점의 차이를 발견하여, 각 주체의 장점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보완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활동 후에는 참여자들이 AI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한 인지도가 향상되었다. 나아가 참여자가 융복합 창·제작을 앞으로 더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AI기술 멘토링이 요구된다는 점, AI소프트웨어 이외에 다양한 미디어 기술의 활용에 대한 요구한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AI기술을 비롯한 창작 결과물에 만족도가 높은 것과 지속 가능한 참여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예술과 기술 융합 워크숍 등을 구성하거나 본 연구를 규모를 확장한 후속 연구 진행 시 이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examines the process and results of creat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using actual AI software. Eight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based on handmade Makgeolli for 6 weeks. Using 10 kin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they created 2 short videos and 4 sound sources. Using AI software, understanding and access to AI technology were relatively easy. After the results were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FGI were conducted to the participants. Most of the participants proved and experienced the characteristics of AI technology, such as creativity, playability, convenience, and variability, by realizing the technology of AI software during this creation and production process. In addition, at the beginning of the activity, the use of familiar materials called handmade Makgeolli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subject and material has the effect of alleviating the fear of the AI technology approach to some extent. During the course of the activity, it was discover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AI's problem-solving point and the perspective of human problem-solving was discovered, and the process of supplementing the content by utilizing the strengths of each subject became important. After the activity, it was proved that the participants' awareness of AI software technology improved.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mentoring of AI technologies is required for more efficient execution of convergence creation and production for the public in the future. There is also a high demand for the use of various media technologies other than AI software. It appear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high satisfaction and sustainable participation in creative outcomes, including AI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is in future research that expands the scale of this research or other organizes art and technology worksh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