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술변화와 혁신정책 방향성 재정립: 창조적 학습사회 전환을 중심으로

        여영준,Yeo, Yeongj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20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8 No.4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통적 정형화된 업무는 지능화된 기계와 온라인 플랫폼 등 디지털 기술에 의해 대체되고, 디지털 전환 기술과 고숙련 근로자 및 비정형 업무 간 강한 상호 보완관계를 바탕으로 고용 없는 경기회복이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우리나라 산업 내 직무 구성을 살펴보면, 반복업무 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따른 노동시장에 대한 부작용 및 파급효과가 우리나라 경제체제 내 고착화될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하, 본 연구에서는 우리 경제사회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디지털 전환의 내재적 속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잠재적 위기 극복 및 문제해결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기술발전과 학습 간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혁신체제의 구조적 전환을 통한 새로운 균형점으로의 이행을 위한 혁신정책의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나라 혁신체제가 미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제도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이라는 기술변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혁신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routinized tasks in the post-COVID era are to be replaced by digital technologies, whi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and non-routinized tasks have strong complementarity. In particular, looking at the job composition within Korea's industries, the intensities of routinized works appear to be continuously rising. It suggests that the potential sid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caused by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ost-COVID era will be greater within Korean innovation system.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aling with potential crises such as, job polarization and widening gaps between workers in terms of economic earnings,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inherent propertie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will lead to structural changes in our economic and social system.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y and learning in the post-COVID era, this study attempts to redefine the role of the innovation policy for making a successful transition to a new equilibrium stat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of the Korean innovation system which affect the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of economic actor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future-oriented innovation policy. Based on these approach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evolution between the skills demand and skills supply to spur inclusiveness of Korean innovation system in the post-COVID era.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술변화와 혁신정책 방향성 재정립: 창조적 학습사회 전환을 중심으로

        여영준,Yeo, Yeongj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20 기술혁신연구 Vol.28 No.4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통적 정형화된 업무는 지능화된 기계와 온라인 플랫폼 등 디지털 기술에 의해 대체되고, 디지털 전환 기술과 고숙련 근로자 및 비정형 업무 간 강한 상호 보완관계를 바탕으로 고용 없는 경기회복이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우리나라 산업 내 직무 구성을 살펴보면, 반복업무 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따른 노동시장에 대한 부작용 및 파급효과가 우리나라 경제체제 내 고착화될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하, 본 연구에서는 우리 경제사회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디지털 전환의 내재적 속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잠재적 위기 극복 및 문제해결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기술발전과 학습 간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혁신체제의 구조적 전환을 통한 새로운 균형점으로의 이행을 위한 혁신정책의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나라 혁신체제가 미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제도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이라는 기술변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혁신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routinized tasks in the post-COVID era are to be replaced by digital technologies, whi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and non-routinized tasks have strong complementarity. In particular, looking at the job composition within Korea's industries, the intensities of routinized works appear to be continuously rising. It suggests that the potential sid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caused by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ost-COVID era will be greater within Korean innovation system.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aling with potential crises such as, job polarization and widening gaps between workers in terms of economic earnings,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inherent propertie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will lead to structural changes in our economic and social system.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y and learning in the post-COVID era, this study attempts to redefine the role of the innovation policy for making a successful transition to a new equilibrium stat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of the Korean innovation system which affect the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of economic actor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future-oriented innovation policy. Based on these approach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evolution between the skills demand and skills supply to spur inclusiveness of Korean innovation system in the post-COVID era.

      • KCI등재

        연산일반균형모형을 활용한 인적자본 투자 수익률 추정

        여영준 ( Yeongjun Yeo ),김세준 ( Sejun Kim ),정성문 ( Sungmoon Jung ),이정동 ( Jeong-dong Lee ) 한국생산성학회 2018 生産性論集 Vol.32 No.2

        Investments to human capital have important roles in securing human resources with enhanced skill-sets to create new knowledge, and boosting innovative capacity of the knowledge-based economy, However, since it is not possible to expand the investments to human capital indefinitely due to tight budgets of individuals and the government, it is crucial to think about how to effectively generate rates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from the economy-wide perspective. In this study, we use a knowledge-based CGE model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macroeconomic effects of the investments in education focusing on Korea, in order to estimate returns to investments in education in accordance of policy scenarios which cover quantitative expansion of investments in education, as well as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terms of the wave of rapid technological innovation.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returns to investments in education of Korea can be achieved ranging from 5.39% to 7.29%, depending on the designed policy scenario. In addition, by comparing macroeconomic effects by scenarios, it is found that it is important for Korea economy to establish lifelong education systems that promotes active accumulation and improvement of workers' skills, strengthen on-the-job training and workplace-bas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and make reforms of educational system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 KCI등재

        디지털전환 시대 기술진보 편향성과 거시경제적 효과 파급경로에 대한 고찰

        여영준(Yeo Yeongjun),정성문(Jung Sungmoon),신기윤(Shin Kiyoon),정현민(Jung Hyunmin)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4

        디지털 전환에 의한 지능형 자동화는 노동시장 붕괴와 소득 불평등 확대 등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과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숙련 및 자본편향적 기술진보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른 임금 격차 및 소득 불평등이 발생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전환은 여기에 더해 반복업무 편향적 기술진보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술적 실업 증가와 일자리 구조 양극화 등 악영향이 우려된다. 반면, 디지털전환 등 기술혁신에 따른 제품 수요 및 생산 확대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긍정적 효과 분석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하,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전환 시대의 숙련도 및 업무 형태 변화 등에 따른 기술진보 편향성에 의한 경제사회시스템 내 다양한 영향을 구조화하여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혁신에 따른 거시경제적 파급효과의 영향 경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전환의 직접적 노동시장 효과 뿐 아니라, 생산현장 및 소득구조와 연계되는 간접적 효과를 포착함으로써 디지털전환 시대의 포용성 강화를 위한 정책처방 발굴과정을 뒷받침하는 개념적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Digital transformation has risk factors including the collapse of the labor market and income inequality caused by intelligent automation. Innovation has an intrinsic property of factor-biased technological change and its impact on the labor market originates from this property. This can be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skill and capital-biased technological progress has occurr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resulting wage gap and income inequality have arisen. In addition, digital transform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routine-biased technological change, and there are concerns about adverse effects of an increase in technological unemployment and polarization of the job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ffects of innovation including expansion of product demand and production, and creation of new jobs have not been analyzed much. This study structures and understands the major impacts of technological progress in economic system regarding the skill level and work type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with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s the analytic framework including the economy-wide impact paths of digital transformation with not only its direct effect on labor market but also the indirect effects mediating production process and income distribution. The analytic framework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conceptual system that supports the process of discovering policy prescriptions to promote inclusivenes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 KCI등재

        과학기술 부문 중장기계획 수립 및 집행체계의 제도적 경로 의존성과 혁신과제

        여영준(Yeongjun Yeo),정다운(Dawoon Jeong),신기윤(Kiyoon Shin),최재원(Jaewon Choi),김유빈(You-bean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5

        과학기술 부문별 많은 중장기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나, 그 실효성은 매우 낮다는 평이 다수이다. 이러한 배경 하,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 방법론을 결합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기술 부문 중장기계획수립 및 집행체계 상 정책문제를 체계적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낮은 자율성에 따른 미래 환경변화 적응관리한계, 정권별 키워드 단절 현상 심화, 부처 간 조정 한계에 따른 정합성 약화, 증거기반 정책과정 제약에 따른 타당성 제한, 백화점식 정책추진에 따른 실효성 저하 등 주요 정책 문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확보하고 과학기술 부문 중장기전략 수립·집행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주요 정책혁신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분석과 정성적 연구를 상호결합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 부문 중장기계획의 제도적 경로의존성을 고찰하고, 정책과제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정책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미래지향적 정책과정에 환류됨으로써, 새로운 미래 설계와 실현을 뒷받침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volution patterns and path dependencies of the mid-to-long-term plans in the Korean S&T field. Based on findings, we have tried to derive policy problems and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ly,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text network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we derived major policy problems in the mid-to-long-term plan establishment and execution system in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as follows: 1) Limits of adaptation to policy environment changes due to low autonomy, 2) Intensification of keyword discontinuity and limits to guarantee continuity of strategies, 3) Limits in securing consistency between policies due to limitations in coordination between ministries, 4) Limits in securing plan validity due to restrictions on evidence-based policymaking, 5) Decreased effectiveness of individual plans due to poor linkage between policies.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key policy tasks to secure adaptability to futur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al changes 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stablishing and executing mid-to-long-term strategie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 KCI등재

        디지털 전환에 따른 경제 및 노동시장 파급효과: 산업연관 및 사회계정행렬 분석을 중심으로

        신기윤(Kiyoon Shin),여영준(Yeongjun Yeo),이정동(Jeong-Dong Lee)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3

        디지털 전환의 개념적 정의와 발현 양상을 고려하였을 때, 디지털 전환 파급효과 분석은 산업 및 제도 부문 간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이뤄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표 및 사회계정행렬 수립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이 한국의 산업 및 경제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전환 중심 산업은 1990년 이후 타 산업에서 중간재로 활용되는 정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경제 내 중요한 부문으로 자리잡았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디지털 전환 중심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산업별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했으며, 요소소득 분배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디지털 전환 확산이 자본편향적, 숙련편향적 기술진보의 특성을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의 개별 기술에 집중하지 않고, 디지털 전환의 확대에 의한 산업 및 경제구조의 변화를 경제 체계 내 주체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디지털 전환 확산에 따른 생산요소 시장 내 분배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시의적절한 산업별, 노동 수준별 정책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Korean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input-output (I-O) table and social accounting matrix (SAM). The result shows that other industries has increased the intermediate goods from digital transformation sector since 1990.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investment expansion in digital transformation sector, the degree of production expansion effect is different from each industry. Moreover, analysis on distribution structure of production factor income confirms that the diffus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has a characteristics of capitaland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This study has implication that it investigates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industrial structure with interactions among agents in the economic system not by focusing on specific technology. In addition, by considering distribution structure of production factor, this study strengthens the needs for proper and timely industrial and labor policies to respond the diffus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