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디지털 관련 일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여소담,한창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4 사회복지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청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디지털 관련 일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변수들간의 관계에서 디지털 기술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샘플은 2022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의 19-34세 청년 1,530명이다. 본 연구는분석방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과 프로세스 매크로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이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 청년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높을수록 디지털 관련 일상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의 디지털리터러시 수준과 디지털 관련 일상만족도의 관계에서디지털 기술 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해 일상생활만족도의 증진을 위한실천적⋅정책적 개입 방안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youth digital literacy level on digital-related daily satisfaction an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technology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literacy level and the daily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general public data of the ‘2022 Digital Divide Survey’with a study sample of 1,530 youth aged 19-34.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bootstrapping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the higher the youth’s digital-related daily satisfaction. In addition, digital technology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digital literacy level and digital-related daily satisfac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ractice and policy intervention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youth’s daily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digital literacy.

      • KCI등재

        노인의 경제적 수준이 주중과 주말의 여가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소담,한창근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경제적 수준이 주중과 주말의 여가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8차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 본조사(2019년)와 부가조사(2020년)자료를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3,955명이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노인이 주중과 주말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종류는 ‘tv시청, 라디오 듣기, 비디오 보기, 음악 감상’임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따른 여가활동만족도의 경우 주중과 주말 모두 세 명중 한 명은 여가활동에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중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은 총자산 수준이 높을수록 오히려 불만족할 확률이 높았으며, 주말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은 총자산수준이 높을수록 만족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65세 이상 노인의 여가활동만족도 증진을 위해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economic status on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n weekdays and weekends among older adults. This study used Data were drawn from the 8th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Main(2019) and Additional Surveys (2020). The study sample is 3,955 older adults aged 65 years old and older. For analyses, frequency, descriptiv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Ke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leisure activities that the elderly participate most on weekdays and weekends were "tv, radio, videos, music."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on weekdays and weekends was found to be unsatisfactory by one out of three people. Weekday leisure activities were dissatisfied with the higher the total asset level, and weekend leisure activities were satisfied with the higher the total asset leve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ractical and policy plan proposed to promote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among older adults.

      • KCI우수등재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과 성장 경험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 사회적 포함 관점을 중심으로

        황신영,성지민,여소담,김유정,조승희 한국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학 Vol.75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narrativ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bout their experiences and challenges regarding social inclusion in college life. Instead of viewi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passive adaptors to mainstream university society, we employed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ologies to enable them to capture their lived experiences through photovoice. Five group discussion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five colleg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narratives from these discussion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ing in four themes and twelve subthemes: a) Challenges, walls, and barriers during college life, b) Things, places, and people I can rely on, and c) Transitions that I went through, d) The future ahead of us. This study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not only faced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social inclusion in universities but also experienced personal growth through solidarity, disability pride, and active engagement in disability rights advocacy. The study highlights implications for creating a disability-inclusive campus environment at both the practice and policy levels.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 당사자를 대학 주류사회에 수동적인 적응자로 바라보는 인식에서 벗어나 보다 능동적인 주체자로 인식하고, 이들이 대학생활 내 사회적 포함(Social inclusion)의 기회 및 어려움과 관련하여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당사자의 생생한 내러티브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지역사회기반 참여적 행동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인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대학 학부과정에 재학 중인 5명의 신체적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5회기의 그룹토의를 실시하였다. 그룹토의 내용은 브론과 클락(Braun and Clarke, 2006)이 제안한 6단계 주제 분석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 그룹이 직접 선정한 4가지 대주제(대학생활에서 마주한 어려움·벽·배리어, 내 대학생활의 버팀목, 나를 거쳐간 변화, 앞으로 나아갈 길)와 연구진이 식별한 1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장애대학생이 대학 내 사회적 포함 과정에서 어려움뿐만 아니라 연대와 장애수용, 적극적인 자기옹호 등의 성장을 경험한다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포함 기회 확대를 위한 지원 서비스의 확대 및 전문인력의 질적 향상, 당사자의 교내 활동 참여를 위한 권익 증진 등의 실천적, 정책적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앞으로 장애대학생의 완전한 포함을 위한 장애포용적 대학사회 형성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