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 비교

        여상인,백은주 국제과학영재학회 2007 국제과학영재학회지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science and general students. To this study,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designed by Moon(1999) wasconducted to 111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418 students of general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were as follows: First, the gifted students achieved the highest average in the sectionII (emotionalfacilitation of thinking) and in the sectionIII (understanding and analyzing emotion), while general studentsshowed the highest average in the sectionI (empathy). This presented that the gifted students were inthe higher level of meta-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regarding the gender of the gifted, there was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But the gifted boys seemed to be higherlevel than general boy student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emotional intelligence of female students.

      • 과학영재교육센터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여상인,강호감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2 과학교육논총 Vol.14 No.-

        본 연구는 15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에서 개발한 과학영재를 위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개발방향과 원칙의 설정, 프로그램의 내용과 그 수준, 영재 지도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많은 과학교육영재센터에서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원칙의 설정이 미흡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이 교과 교육에 편중되어 있고, 인성교육, 과학자의 특성, 학부모를 위한 교육 등 비공식적인 특별 프로그램의 비중이 매우 낮았다. 기초과정, 심화과정, 사사제도로 연결되는 다단계 형태의 교육 방법은 충분한 교육적 효과를 올리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제도로 판단되지만, 사사교육은 단순히 고급 지식을 전수하고, 지도하는 형태의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실제 학생이 관심 있는 분야를 과학자의 입장에서 독창적, 창의적 산출물을 생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교과 내용에서 심화형과 속진형의 균형이 필요하며, 과학 영재를 지도하는 교수/학습 형태가 강의, 실험, 토론 등으로 매우 단조롭게 운영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된 방향과 원칙의 설정, 내용과 수준, 영재지도방법 등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ograms developed by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in science attached to 15 universities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eveloping direction and principle of the programs were not clearly established in a lot of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in science. In the most of education centers,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were focused on science, but the special programs such as moral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scientists, the programs for parents, etc were insufficient. 2. Multi-step teaching system-basic course, advanced course and mentor system-may be effective to enhance the ability of the gifted and evaluate them continuously. In the most of education centers, the mentor systems were designed to teach the highly advanced knowledge.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produce the creative products by cooperating with the professor. 3. It is necessary to be balanced between enriched and accelerated programs. 4. In the most of education centers, there were not various teaching- learning methods relevant to the gifted in science. Based on this analysis, we suggested the guidelines to develop the programs for teaching the gifted in science.

      • KCI등재후보

        초등 영재담당교원의 영재수업에 대한 신념과 행동, 그리고 잠재적 행동 실천 효과 분석

        여상인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9 과학영재교육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eliefs, behaviors, and potential willingness to act on the gifted class of elementary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For this study, a 5-scaled questionnaire (five categories, 17 items) was administered to 154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for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Beliefs and behaviors about the gifted class had lower performance than those in all items. By category, sub-items in the class environment and class management categories tended to have high beliefs and behaviors, and sub-items in the assessment content and method categories tended to have low beliefs and behaviors. In the consistency of beliefs and behaviors,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beliefs and behaviors due to the relatively high (-) value of the responsiveness index. In the potential willingness to act for the gifted class, the category of class management was the highest and the category of class content was the low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to promote the gifted teachers’ beliefs and behaviors about the gifted class and to manage the gifted class effectively.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영재담당교원의 영재수업에 대한 신념과 행동, 그리고 잠재적 행동 실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영재수업을 맡고 있는 영재담당교원 154명에 대하여 영재수업에 대한 신념과 행동을 측정하는 5단계 척도의 설문(5개 범주, 17문항)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재수업에 대한 신념과 행동은 모든 문항에서 신념보다 실제 행동의 실행도가 낮았다. 범주별로는 수업 분위기, 수업 운영 범주의 하위 문항이 신념과 행동이 높고, 평가 내용과 방법 범주의 하위 문항은 신념과 행동이 낮은 경향이 있었다. 신념과 행동의 일관성에서는 평가 내용과 방법에서 상대적으로 반응지수(RI) 값이 큰 (-)값을 보여, 신념과 행동 사이에 괴리가 많았다. 영재수업에 대한 잠재적 행동 실천 효과에서는 수업 운영의 범주가 잠재적 교육 효과가 가장 높고, 수업 내용의 범주가 잠재적 교육 효과가 가장 낮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담당교원의 영재수업에 대한 신념과 행동을 증진시키고, 영재학급의 영재수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여상인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3 과학영재교육 Vol.15 No.3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초등 과학영재 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먼저 실시한 후, 그릿을 독립변인,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종속변인으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은 관심의 지속성보다 꾸준한 노력의 하위요인이 더 높았고, 회복탄력성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높았다. 둘째, 꾸준한 노력 그릿이 관심의 지속성보다 회복탄력성과의 상관이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특히,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 하위요인과의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그릿의 꾸준한 노력 하위요인의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예측력은 81.62%를 나타내었다. 셋째, 그릿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통계적 유의한 예측력도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grit on resilienc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56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t a university-affil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The data were first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n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gri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resilienc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it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was higher in perseverance of effort than consistency of interest and resilience was higher in all sub-factors. Second, perseverance of effort was more high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than consistency of interest and was significantly predictive.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with the self-regulation sub-factor of resilience was the highest, and the predictive power of the perseverance of effort on self-regulation was 81.6%. Third, grit did not correlate with creative problem-solving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 KCI등재

        2015 개정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공통 과목인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에 기술된 한반도의 기후 변화 내용 비교 분석

        여상인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9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에 기술된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 기후 변화 경향성 파악하기’라는 활동 내용을 비교 ․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인 과학탐구실험 교과서는 총 7종이며, 한반도의 기후 변화 경향성을 파악하는 교과서의 활동 내용을 학습 소재의 종류,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탐구 과정 기능의 특징, 교과서에 제시된 핵심 역량의 종류를 비교 ․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반도 기후 변화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한 학습 소재로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1~2개의 기후 자료를 활용하고 있었고, 이 중 연평균 기온이라는 기후 자료는 모든 교과서에서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자료 수집, 자료 변화, 자료 분석 및 해석, 증거에 기초한 토론 등의 탐구 과정 기능을 기르는 내용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었지만 그 수준에서는 교과서별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에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이 핵심 역량으로 많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여상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4

        이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에서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역할에 대한 은유를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167명의 예비 초등교사에게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은유해 보도록 하는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가 지닌 교수유형 빈도를 분석한 결과 교사 중심의 교수유형의 비율(66.5%)이 학생 중심의 교수유형의 비율(33.5%)보다 높았다. 둘째, 교수유형별 은유에서 드러난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이라는 교수신념 인식을 살펴보면, 교사 중심의 교수유형인 전문가, 권위자, 역할 모델 유형에서 초등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과학지식에 대해 잘 이해하고, 학습자에게 정확한 과학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과 수업 기술에 대한 전문성이 있어야 한다는 교수신념 인식, 그리고 교사는 수업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수업 준비를 완벽하게 해야 하며,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교수신념 인식을 보였다. 그리고 학생 중심의 교수유형인 촉진자와 위임자 유형에서는 학생들이 탐구활동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기를 격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과 교사는 최소한의 조력자 역할만 하고 학생 스스로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교수신념 인식을 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수유형별 초등 예비교사의 내적 신념을 고려하여 초등 예비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학생 중심 교수유형 신념을 강화하거나 예비교사의 개별적 교수유형에 알맞은 교수-학습 방법을 지도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