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출 방법에 따른 자소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

        서인영(In Yeong Seo),김희수(Hee Su Kim),장경수(Kyeong Su Jang),여민호(Min Ho Yeo),김혜란(Hye Ran Kim),정보경(Bo Kyoung Jung),장경수(Kyung Soo Chang) 한국유화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1

        자소엽(perilla frutescens)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며 널리 알려져 있는 약용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소엽을 물, 열수,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 가장 효과적인 추출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물, 열수, 초음파 처리를 통해 각각의 자소엽 추출물을 제조 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총 페놀 함량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고, 인간 간세포인 HepG2에 대한 세포 독성효과와 hydrogen peroxide(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간세포 보호효과를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assay로 확인하였다. 자소엽 초음파 추출물은 5000 ㎍/mL농도에서 69.07%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며 물, 열수 추출물과 비교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총 페놀 함량 측정 결과 51.60±1.06 mg GAE/g extract 로서 물, 열수 추출물 보다 높은 총 페놀 함량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보호효과는 미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자소엽 초음파 추출물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Perilla frutescens (P. frutescens) is one of evergreen shrubs belonging to the Labiatae and is grown wildly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water, heating and sonication). Anti-oxidative effects were measured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Cell viability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were identified by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mong various extracts, P. frutescens extracts by sonication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5000 ㎍/mL. Total phenolic content in P. frutescens extracts by sonication was 51.60±1.06 mg GAE/g extract. However, P. frutescens extracts did not show hepatoprotective effects. This study identified anti-oxidative effects of P. frutescens extracts by sonication,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perform further studies of P. frutescens extracts by sonication.

      • KCI등재

        우리나라에서 Lactococcus garvieae 에 의한 요로감염의 사례

        박상현 ( Sang-hyun Park ),이영현 ( Young-hyeon Lee ),여민호 ( Min-ho Yeo ),장경수 ( Kyung-soo Cha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21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3 No.3

        Lactococcus속은 조건무산소성 그람양성알균으로 catalase 음성, 비운동성이며 10∼40°C에서 배양된다. Lactococcus속은 16개의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Lactococcus garvieae와 Lactococcus lactis가 인간질병에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발열, 구토, 옆구리 통증으로 내원한 74세 여자의 소변 배양에서 Lactococcus garvieae가 배양된 사례를 최초 보고한다. 상기 환자는 의료기관에서 시행한 혈액검사, 미생물 배양검사, 컴퓨터단층촬영 등의 검사를 통해 급성 요로감염의 소견을 확인하였다. 신장내과 병동에 입원 후 수액처치 및 에리스로마이신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였고 5일 후 환자는 퇴원하였다. 본 증례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요로감염 환자의 소변에서 L. garvieae가 분리된 사례로서 향후 L. garvieae 감염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genus Lactococcus is a gram-positive, catalase-negative, non-motile bacterium. It is a facultative anaerobe and can be cultured at 10∼40°C. The genus Lactococcus consists of 16 species, of which Lactococcus garvieae and Lactococcus lactis are known to cause disease in humans.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case in which L. garvieae was identified in the urine culture of a 74-year-old woman. The patient confirmed the findings of acute urinary tract infection through blood tests, microbial identification tests,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s, and computed tomography performed at a hospital. The patient was admitted to the nephrology ward and was treated with IV fluids and erythromycin antibiotics and discharged 5 days later. This is the first case in Korea in which L. garvieae was isolated from the urine of a patient with a urinary tract infection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reating patients with L. garvieae infection in the future. Copyright Ⓒ 2021 The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ll rights re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