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만종의 품평어 “청절(淸絶)"의 의미범주

        여기현 ( Gy Hyun Yeo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6

        현묵자(玄默子) 홍만종(洪萬宗)의 『소화시평』과 『시평보유』에는 ``청(淸)∼``이란 품평어가 많이 등장한다. 그런데, 현묵자는 시가 왜 ``청(淸)∼``한지는 이유를 말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청(淸)``자가 들어가 있는 품평의 경우 그 세밀한 차이를 뭉뚱그려 개괄적으로 범주화 하였다. 그러나 각기의 시는 동일한 품격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품평어도 각기 다른 의미범주에서 사용하였다. 따라서 ``청절``에는 내포된 의미는 차이가 있다. 본고는 홍만종이 사용한 ``청절``은 그가 제시한 선시의 기준인 조어, 입의, 격률에 입각하여 ``청절``의 의미범주가 각기 다름을 밝히고자 하였다. 시어의 선택과 조합이라는 조어적 측면에서 사용한 ``청절``은 설명과 묘사가 없는 평이하고 가볍고 맑은 느낌을 주는 시어와 전형성을 파괴한 함축성을 지닌 시어를 사용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그러한 느낌을 갖게 한 시에 대한 품평어 이다. 입의적 측면에서 사용된 ``청절``은 세속과 단절된 ``절속(絶俗)``, 정형화된 시의에서 일탈한 ``신의(新意)``를 그 의미범주로 한다. Hong manjong proposed three criterias to select the korean classic poems. It`s the depth of intention, the skill of words, the lucidity of character. Based on these criterias he critical evaluated the poems. ``Cheongjeol(청절(淸絶))`` is one of the Critical terms. That the selection and combination of poetic diction used in coinage aspects ``cheongjeol`` is plain, with no explanation and description gives the impression of light, clear, fresh and poetic diction is used with the implications to destroy typicality. So allows the reader to have a new feeling. On the depth of intention, I used uniquely in terms of ``cheongjeol`` is a secular and disconnected ``jeolsok(절속(絶俗))`` shaping the topic, and also deviated from formal poetic subjects ``new subject(신의(新意))`` and the categories of the meaning.

      • KCI등재
      • KCI등재

        고전문학 : <정과정>의 향유 양상과 "접동새"의 문학적 변용

        여기현 ( Gy Hyun Yeo ) 반교어문학회 2009 泮橋語文硏究 Vol.0 No.27

        본고는 정서가 지은 <정과정>에는 두 가지 주된 정서가 있음을 전제로 전개되었다. 하나는 `원망`이고, 다른 하나는 `그리움[연군]`이다. 그 두 가지 정서중 작가 정서의 개인적 인격적 성향을 보아서는 원망에 더 무게가 있다고 보았다. 이후 고려 사인들과 조선조 사인들은 이 노래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였다. 궁중악으로 연행되기도 하였지만, 무엇보다도 그 정서에 공감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처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혹은 그 노래를 향유하는 시공간에 따라 <정과정>을 향유하는 태도에 차이를 보인다. 궁중 혹은 공식적인 연행장소에서는 `연군`의 정서를 향유하고, 개인적인 연행상황에서는 그 `원망`에 더 깊이 공감함을 볼 수 있었다. 정서는 자신을 `접동새`에 비유하였다. 접동새(자규)는 촉의 망제 고사에서 유래한 전형적 이미지와 의미(想)를 갖게 되었다. 피를 토하며 밤 새 우는 그 원한과 분함과 원망의 이미지와 의미를 지닌 그 전형성을 시인들은 즐겨 사용하였다. 그래서 접동새의 울음소리는 悽然, 悽怨, 悽완 등으로 받아들여졌다. 시간의 흐름은 이러한 접동새의 전형성에서 일탈하게 만들었다. 즉 문학적 변용이 일어난다. 그래서 울음소리는 사랑하는 연인[임]을 그리워하는 애절한 심정을 나타내기도 하고, 동생을 못 잊어 우는 소리가 되기도 한다. <Junggwajung(정과정)>has a two kind of the emotion. It is a resentment and affection. when I watch an author`s personal tendency, there is weight to a resentment to the song more. Since Jungseo died, classical scholars of korea dynasty and chosun dynasty showed a lot of interests to the song. Because it was played to Royal Court music, but the reason is as it sympathized to emotion of a song. Attitude they enjoy it, and to make is different according to space-times of a personal political tendency and performance. They enjoy emotion of affection in official places, they enjoy emotion of resentment in personal situations. Author compared oneself to `jeopdongsae (杜鵑)`. The bird have the typical image and meaning. Its typical character(formular) is a grudge, a wrath and a resentment. So classical scholars listened to a cry of `jeopdongsae` to extreme sadness(悽然), and Poets enjoyed this pattern in their poems. By stream of times, a transfiguration happened at literature. A cry shows in feelings dear, to call a sweetheart. or it shows by sound he cannot forget the young brother, and to sing.

      • KCI등재

        고려 산수제화시의 전개와 특성

        여기현 ( Gy Hyun Yeo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5

        고려 문인들이 선호한 산수화는 송적의 ‘소상팔경도’, 장언보의 ‘청산백운도’, 나옹화상의 ‘운산도’·‘설산도’이다. 명종을 비롯한 무신집권기의 문인들은 ‘소상팔경도’를 선호하였다. 이후 민사평·이색 등 신진사인들은 ‘청산백운도’를 선호하였다. 고려 말 정치적 혼돈의 시대에 이첨·원천석 등 사대부들은 ‘운산도’와 ‘설산도’를 선호하였다. ‘소상팔경도’를 선호한 까닭은 첫째는 회화적 감동이다. 둘째는 그림은 정신적 위로를 위한 탈출구이다. 셋째는 중국의 산수는 고려가 아니기 때문에 관념적 유희를 즐기기에 적합하였다. ‘청산백운도’를 선호한 까닭은 첫째는 유가의 산수관념을 수용한 신진사인들은 자연산수를 새롭게 인식했다. 둘째는 새로운 자연미의 발견이다. 자연에서 즐거움과 흥취를 느낀다. 그래서 담백하고 평원하고 여백이 있으면서 선비의 향이 풍기는 문인화를 선호하였다. ‘운산도’·‘설산도’를 선호한 까닭은 첫째는 고려의 실경을 그렸다. 익숙한 고려 산수에 공감하였다. 둘째는 화의와 기교에의 공감이다. 구름에 가려진 청산이나, 운무에 뒤덮인 골짜기나, 눈이 쌓인 산이란 화제에 대한 공감이다. 불확실성의 현실 속에서 구름과 눈은 그들에게 가슴에 와 닿는 좋은 소재였다. 본고는 문인들이 산수화에 제시한 작품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화시 분석을 통하여 회화사에서 밝히지 못한 당대 문인들의 선호와 그 까닭과 산수화 화제의 흐름을 알 수 있었다. Writers of the Korea Dynasty wrote a poem about the Landscape paintings. They preferred Songjeok`s The eight scenic paintings(‘소상팔경 도’), Jangeonbo`s The painting white clouds in the blue mountains(‘청산 백운도’), Naong bonze`s The paintings of snowy mountains in the clouds(‘운산도·설산도’). Why they prefer this figure are as follows: When the soldiers who took office, many minister have preferred ‘소상 팔경도’. First, the impression that the paintings of beauty. Second, painting is a way out for spiritual comfort. Third, the artist described the landscape of China. The next time, new scholars who entered the government office preferred ‘청산백운도’. First, They were aware of a new nature. They found the beauty in nature. They feel the interest and pleasure in the beauty of nature. So they preferred Literary Artists` Paintings which the scenery was bland and plain, and prefer the picture on the margins. At Late Korea Dynasty, Many minister have preferred ‘운산도·설산도’. The artist painted the mountains and rivers of Korea. The poet is sympathetic to the topic of the painter. Poets shared the themes and techniques of the painting. The mountains obscured by clouds, The snowy mountains, Valleys full of mist, Poets favored these materials. Because they conflict between reality and ideal. In the political reality, they had to like the ambiguous shape. A preference for painting chang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btaining at the ti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簫湘八景의 시적 형상화 양상

        여기현 반교어문학회 2003 泮橋語文硏究 Vol.15 No.-

        본고는 중국의 소상팔경을 시적 대상으로 하여 노래한 시가들의 형상화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시적 대상에 대한 시인의 태도에 따라 크게 두가지 형상화 양상을 찾아낼 수 있었다. 하나는 이물관물적 태도에 의하여 시적 대상을 객관적 거리를 가지고 있는 그대로 묘회하는 방식을 취하는 형상화이고, 다른 하나는 이아관물적 태도를 유지하면서 그 객관적 거리를 감정이나 관념으로 메꾸어 인식하는 형상화 방식이다. 소상팔경을 노래한 시는 수용초기에는 이물관물적 태도를 보이며 소상의 팔경을 아름다움을 묘회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다가, 후대로 오면서 개인의 감정이 이입되는 형상화의 길을 걸었다. 그리고 더 후대로 내려오면서 소상과 관련된 전고를 인식하는, 즉 관념화의 방향으로 형상화가 이루어 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념화의 경향은 궁극적으로 그림을 시적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소상팔경을 노래한 시를 읽고 그에 작시하거나 혹은 그에 차운하여 지은 시에 주로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이아관물적 태도로 말미암아 소상팔경시는 관념화의 경향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또 이러한 형상화의 전개는 회화의 전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회화에서 민화로 까지 수용된 소상팔경이 관념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가와 음영이라는 연행방식의 차이가 가져오는 형상화의 차이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Korean poems that sang the Chinese So-Sang-Pal-Kyoung, analyzing the aspects of their poetic figuration of its fine scenery. This paper finds the two aspects of figuration according to the Korean poets' attiudes toward their poetic object. One is an objective way of figuration that views the poetic material in material terms and thus describes the scenery with an objective distance. The other is a subjective way of figuration that views the poetic material with the poet's ego and thus replaces the objective distance with his own views and feelings. The Korean poems that sang So-Snag-Pal-Kyoung began to show the former attitude describing the beauty of the scenery, but gradually came to adopt the latter attiude ending up with the conceptualized way of figuration by recognizing the authentic precedents related to So-Snag-Pal-Kyoung. This tendency of conceptualization, which does not regard the painted scenery as its poetic object, appears in the poems that were based on the original Chinese poems on So-Sang-Pal-Kyoung in content and rhyme scheme. In other words, viewing poetic material with the poet's ego-that is, his own thoughts and feelings- contributes to the tendency of conceptualization. Such a process of figuration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process of painting, that is, the direction of conceptualization in drawing So-Snag-Pal-Kyoung from pictures to folk painting. In addition, this study discovers the difference in figuration derived from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performance between singing and chanting.

      • 雜歌 <瀟湘八景歌>의 形象化 特性

        呂基鉉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2 인문사회과학논문집 Vol.31 No.-

        '瀟湘八景'是中國瀟水和相水交匯處的洞庭湖畔的美景的一個修辭上的定型(Configuration of Motif). 本文探討的是, 高麗朝鮮的詩畵壇受到了'瀟相八景'즘樣的影響, 對這種影響我們應該作즘樣分析. '瀟湘八景'最初由公元11世紀北宋時代宋迪所<瀟湘八景圖> 開始産로生廣泛影響的, 此後, 高麗明宗(1171-1197)的詩畵壇紛紛受到'瀟湘八景'的 影響. 因此, 高麗朝鮮的文人們便以'瀟湘八景'作爲詩歌寫作的對象, 從而産生了詩意多樣韻味別致的漢詩體. 不僅加此, 當時的許多畵家也以'瀟湘八景'作爲繪畵的對象. 這樣, 有時看畵寫詩, 有時看詩作畵. 這就應合了"詩中有畵, 畵中有詩"的詩畵一律論. 령일방면, 朝鮮中期以後, 受'瀟湘八景'的影響, 詩畵創作也産生了不同的風格和類型. 如李後伯(1520-1578)的<瀟湘八景歌>的詩調, 此外許多雜歌集中<瀟湘八景歌>等. 但是, 從時調和雜歌的情況來看, 文人畵和民畵受'瀟湘八景'的影響已經觀念化, 程式化, 內容和主題上大都千篇一律. 朝鮮中期以後, '瀟湘八景'已經成爲士大夫的觀念的風尙. 受'瀟湘八景'的影響, 先産生畵作, 以後是漢詩, 時調和雜歌等. 但時調雜歌缺乏主題意旨的多樣性和美學表現的創作性. 可是, 漢詩却非常活潑富有個性. 我想, 其原因應是漢詩的'吟詠'和時調雜歌的'歌唱'不同的結果. 由干音樂性的差異, 詩調雜歌重視歌唱文學方面, 適合景物描寫和美學表現. 詩體上也不구活潑, 顯得較爲보板. 高麗中期以後, 詩畵創作在受'瀟湘八景'的影響的過程中産生了這樣的特點: 在漢詩的題材上, 早期沒有和自然的四季相구合的作品. 到了朝鮮初期, 便有了按照四季創作的瀟湘八景詩. 這一點與士大夫的 性理學的認識論密接相觀, 卽尊循哲學理論進行連貫性創作的結論. 因此, 作品內容所體現出來的季節槪念是一看就明的, 詩歌語言的譴詞造句也顯示時間上的連貫性. 與漢詩相比起來, 時調雜歌在題材和譴詞造句沒有依循的原則. 這種現象, 可能是因爲朝鮮的士大夫們沒有去過'瀟湘八景'中的瀟湘. 他們所謂的'瀟湘八景', 其實已是思想的觀念形態的對象.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