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인권법에 근거한 사형폐지 방안

        여경수 대검찰청 2019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4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which guarantees the right to life, liberty and security of person under Article 3. Article 6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prescribes protection of the right to life. In 2007 the General Assembly adopted a resolution on a moratorium on the use of the death penalty. Considering that the use of the death penalty undermines human dignity, and convinced that a moratorium on the use of the death penalty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and progressiv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A centerpiece of the worldwide evolution away from the death penalty has been the emergenc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oday the majority of nations have abolished the death penalty. Korea is a de facto abolitionist country that has not executed the death penalty since 1997, but moratorium on execution of the death penalty has not yet declared. The right to life is to be a kind of absolute, fundamental right which can not be constitutionally restricted because the right to life, conceptually or actually, could not be divided into its essential and nonessential part. Since a deprivation of life includes a deprivation of a person's body, capital punishment infringes the essential aspects of the right to life and bodily freedom. Korea continuing to implement the death penalty should take heed of the recommendations made by other States during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process and the concluding observations, general comments of human rights treaty bodies. We must be ratification of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세계인권선언(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제3조와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제6조에서는 생명권을 규정하고 있다. 2007년 이후 국제연합에서는 사형집행의 유예에 관한 총회 결의안(Resolution on a Moratorium on the Use of the Death Penalty)을 반복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사형제도의 운영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한다고 인식하며, 사형제 폐지를 통한 인권의 보장을 도모하고 있다. 실제로 오늘날 국제사회에서는 다수의 국가들이 사형제를 폐지하고 있다. 국제인권법의 발전이 개별 국가에서의 사형제 폐지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7년 12월 이후로는 사형을 집행하지 않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우리나라를 실질적인 사형 폐지국으로 부르고 있다. 하지만 엄연히 우리나라의 법제도상으로는 사형제는 유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다수 법학자들은 사형제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그들의 주장은 헌법상 생명권은 법률로써도 제한할 수 없는 본질적인 내용으로 볼 수 있으며, 사형제도는 생명권과 신체의 자유를 침해하는 소지가 있다는 주장이다. 국제연합 자유권위원회의 일반논평 36호(General Comment No. 36)는 사형집행의 특별한 한계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국제연합 인권이사회의 보편적 정례검토(Universal Periodic Review)와 자유권위원회의 최종 권고문(Concluding Observations)에서는 우리나라의 사형제 폐지를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형제 폐지를 법제화할 수 있는 가장 실효적인 방안은 <사형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에 가입하는 방법이다.

      • KCI등재

        국제연합 사회권위원회와 인권이사회를 통한 주거권 보장

        여경수 대한변호사협회 201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82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the ensuring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through the UN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ESCR) and Human Rights Council.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wa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at the international level in the 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966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adopte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 which they recognized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s the body of independent experts that monitors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by its States parties. The Committee to carry out the monitoring functions assigned to the housings rights. ESCR had considered the periodic re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housing rights. Decides that the Human Rights Council shall be responsible for promoting universal respect for the protection of all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for all. Undertake a universal periodic review, based on objective and reliable information, of the realization by each State of its housing rights obligations and commitments in a manner. Human Rights Council recommended the government had increased the number of public housing and public housing benefits to provide support to persons from vulnerable groups. and United Nations special rapporteur is titles given to individuals working on behalf of the United Nations within the scope of “special procedure” mechanisms who have a specific country or thematic mandate from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Special Rapporteur is independent experts appointed by the Human Rights Council to monitor specific rights. UN Special Rapporteur on adequate housing paid an official visit to the Republic of Korea in 2018. The Special Rapporteur’s report on the outcome of the visit and recommendations submitted to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n 2019. 국제사회에서는 1948년 세계인권선언에서 처음으로 적절한 주거권이 권리로 인정되었다. 1966년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제11조에서는 적절한 주거권을 규정하고 있다.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위원회(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는 사회권규약을 실현하기 위한 기구이다. 사회권위원회는 주거권과 관련한 일반논평 4호(General Comment No. 4: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와 일반논평 7호(General Comment No. 7: forced evictions)를 발표했다. 사회권위원회는 지금까지 4차례에 걸쳐서 최종 권고문(Concluding Observations)에서 우리나라의 주거권 보장의 미흡사항에 관한 개선을 권고하였다. 사회권위원회는 사회권규약 선택의정서(Optional Protocol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에 따른 개인청원(Communications Procedure)을 통한 방법으로 주거권을 보장하고 있다. 국제연합 인권이사회(Human Rights Council)는 보편적 정례검토(Universal Periodic Review)와 특별보고관(Special rapporteur)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보편적 정례검토에서는 우리나라의 주거권 보장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의 공급과 주거급여의 대상을 늘려서 주거지원필요계층을 배려할 것을 권고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2018년 주거권 특별보고관(Special Rapporteur on adequate housing)이 우리나라에 방문했으며, 2019년 주거권 특별보고관은 우리나라의 주거권 실태에 관한 보고서를 인권이사회에 제출하였다. 이 글에서는 국제연합 사회권위원회와 인권이사회를 통한 주거권 보장방안을 다루고자 한다.

      • KCI등재

        수형자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의 분석과 평가

        여경수 대한변호사협회 2015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49

        In case a prisoner is given the most severe disciplinary measure of prohibitory confinement for violating the rules, it is hardly unreasonable to narrow or deprive a freedom formerly enjoyed by the prisoner to a limited extent. Even if the restriction of the basic rights of the inmates is inevitable for the maintenance of safety and order within the prison facilities, the essence thereof may not be violated and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against excessiveness should be observed. Specifically, the restriction of the basic right by way of rules and sanctions for the maintenance of order and safety within the prison facility is an affliction additionally imposed on the inmates aside from imprisonment. As such, it may be permitted only when the purpose cannot be achieved in any of the alternative methods. The purpose of administration and treatment of correctional institution inmates act is to promote correction and edification of convicted persons and their sound rehabilitation into society and to prescribe necessary matters concerning treatment and rights of prisoners and operation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The term “convicted prisoners” means persons sentenced to imprisonment with labor, imprisonment without labor, or penal detention, the respective sentence of which has been irrevocably finalized and persons ordered to be detained in a workhouse for default of the full payment of a fine or minor fine; The term “unconvicted prisoners” means criminal suspects or criminal defendants arrested or subject to execution of a warrant of confinement ; The term “prisoners” means convicted prisoners, unconvicted prisoners, prisoners on death row with fixed penalty and other persons confined in a prison, detention house and branches thereof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rectional institutions”) pursuant to an Act and a legal procedure. This Act shall apply to premises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other places in which correctional officers keep safe guard of prisoners and the control of whom is required. and Human rights of prisoners shall be respected to the utmost in the enforcement of this Act. Prisoners shall, without reasonable grounds, not be discriminated on the grounds of sex, religion, disability, age, social status, region of origin, state of origin, nation of origin, physical conditions including features, medical history, whether married or not, political opinion, sexual orientation, etc. It is very difficult to reach both a goal of ensuring prisoners’ human rights and a goal of maintaining security and order. The trade-off is between the two goals. Therefore, it is not allowed to pursue only one goal. It is ecessary to harmonize human rights and discipline, for these two goal are equally important factors. Human rights of prisoners shall be respected to the utmost. 수형자는 자신의 형사상 불법행위로 수용시설에 구금된 자이다. 하지만 수형자의 인권도 법치국가의 원리상 법률의 근거 없이 인권을 제한 받을 수 없으며, 인권을 침해받은 경우에는 사법구제가가능하다. 수용시설 내의 안전과 질서 유지를 위해 행해지는 규율과 징계를 통한 수용자의 기본권 제한 역시 헌법제37조 제2항이 정하고 있는 기본권 제한의 헌법적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수용자에 대한 인권제한은 그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으되, 목적의 정당성, 방법의 적정성, 피해의 최소성과 법익의 균형성을 의미하는 과잉금지의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법률유보의 원칙, 적법절차의 원칙, 신뢰보호의 원칙, 부당결부금지의 원칙도 준수되어야 한다. 또한 수형자의 인권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는 것이다. 이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통제를 받는다.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은 수형자의 교정교화와 건전한 사회복귀를 도모하고, 수용자의 처우와 권리 및 교정시설의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형자’란 징역형· 금고형 또는 구류형의 선고를 받아 그 형이 확정된 사람과 벌금 또는 과태료를 완납하지 아니하여 노역장유치명령을 받은 사람을 말한다. ‘미결수용자’란 형사피의자 또는 형사피고인으로서 체포되거나 구속영장의 집행을 받은 사람을 말한다. ‘수용자’란 수형자·미결수용자·사형확정자, 그 밖에 법률과 적법한 절차에따라 교도소·구치소 및 그 지소 수용된 사람을 말한다. 형집행법에 따르면 수용자는 합리적인 이유 없이성별, 종교, 장애, 나이, 사회적 신분, 출신지역, 출신국가, 출신민족, 용모 등 신체조건, 병력, 혼인 여부, 정치적 의견 및 성적 지향 등을 이유로 차별받지 아니한다. 수형자의 인권을 보장하면서 수용시설 내의 규율을 유지하기란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수형자의 인권은 최대한 존중받아야 한다.

      • 형가중적 특별법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문 분석

        여경수 헌법재판연구원 2015 헌법재판연구 Vol.2 No.2

        Korea has a great number of so-called Special criminal acts in addition to the Criminal Code. They are almost products which were enacted as social needs arose from time to time, but their mass production has a bad influence which damages unity and coherence of criminal law system seriously. Hard criminal code has led to the production of special criminal code. The special criminal code is legislated only focusing on the convenience of application. special criminal, however, usually provide harsher punishments than the criminal code, and the degree of the criminal penalties is excessively relentless compared with that of the criminals. Aggravation factors of the special criminal are out of balance and vague. In determining the type and the degree of the statutory sentence for a crime, the request for the respect and the protection for human dignity and values against the threat of criminal punishment under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should be observed, the statutory sentence should b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enabling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different punishment for different crimes pursuant to the spirit of prohibition of excessive legislation of Section 2 of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 for the substantiv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government by the rule of law, and the appropriate proportion should be maintained so that the criminal punishment corresponds to the nature of the crime and the responsibility therefor. The balance between crime and punishment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value system of the time that is based upon the constitutional order. Therefore, a fresh review over the statutory sentence in the basic law of the Criminal Act is required as a matter of principle when the amount of sentence for a specific crime is no longer appropriate due to changes in social circumstances, while, however, the amount of criminal punishment should not exceed the degree of responsibility of the actor also when the sentence is aggravated for special reasons. Ultimately, the Provision contradicts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that requires proportionality between liability and punishment as well as the principle of equality for disruption of balance in the punishment system, which is ultimately against the Constitution. 우리나라에서는 형사특별법이 다수 존재한다. 형가중적 특별법은 사회 일반에서 물의를 빚고 있는 특정 범죄행위를 기존의 형량보다 중한 형으로 처벌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 형가중적 특별법에는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특정강력 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과 같은 법률이 있다. 우리 헌법은 국가권력의 남용으로부터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려는 법치국가의 실현을 기본이념으로 하고 있다. 형사실체법이 헌법의 기본원리에 위반되는 경우에는 헌법재판소로부터 통제를 받을 수 있다. 헌법재판소는 형가중적 형사특별법에 관한 헌법재판에서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제시하였다. ①인간의 존엄을 보장하기 위한 측면에서는 중벌주의는 한계가 있다. 형벌이 지나치게 가혹하거나 잔인하면 일시적으로는 범죄 억지력을 발휘할지 모르지만, 결국에는 중벌에 대해 면역성과 무감각이 생기게 된다. 나아가 범죄예방과 법질서 수호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법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법질서의 영속성과 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뿐이다. ② 우리 헌법상 형벌의 본질은 인간의 가치를 실현하는 목적에 부합해야한다. 우리나라 형벌의 목적은 범죄인을 사회로부터 추방하거나 격리시키려는 중형위주의 가혹한 응보형주의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형벌의 본질은 범죄인의 교화개선에 있다. ③ 형벌은 평등의 원칙에 충실한 형벌체계상의 균형성이 준수되어야한다. 형사특별법에서 그 법정형을 가중하는 것은 합리성을 갖추어야한다. 또한 형벌이 가중된 범죄는 유사범죄와 비교하여 현저히 부당하지 아니한 범위 내에서 가중해야 한다. ④ 형벌규정은 실질적 법치주의에 따른 과잉입법금지의 원칙이 준수되어야한다. 형벌은 책임과 형벌간의 비례성 원칙이 준수되어야한다. 입법자가 형벌이라는 수단을 선택함에 있어서는 그 형벌이 불법과 책임의 경중이 일치해야한다.

      • KCI등재

        행정심판에서 재결의 효력

        여경수 忠北大學校 法科大學 法學硏究所 2013 法學硏究 Vol.24 No.1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which has been correcting national organizations' wrong administrative doings and protecting citizens' rights. This study focuses on Scope of Ruling and Binding Force, etc. of Ruling. If an appeal is unlawful, a commission shall dismiss it. If a commission finds that an appeal is groundless, it shall reject the appeal. If a commission finds that an appeal for revocation is well-grounded, it shall revoke or alter the disposition or order the administrative agency which made such disposition to revoke or alter it. If a commission finds that an appeal for affirmation of nullity, etc. is well-grounded, it shall affirm as to whether a disposition is effective, or whether a disposition has been made. If a commission finds that an appeal for performance of obligation is well-grounded, it shall promptly make a disposition in conformity with the request, or order to do so to an appellee. Circumstantial Rulings ; Even if a commission deems that an appeal is well-grounded, if accepting it is believed to be detrimental to the public welfare, it may reject the appeal. In such cases, the commission shall specify it in the main sentence of the ruling that the disposition or omission is unlawful or unreasonable. A ruling shall be made within 60 days from the date on which an appellee or a commission has received a written appeal. Provided, That if unavoidable circumstances exist to the contrary, a chairperson may extend the period thereof by 30 days ex officio. A commission shall not make any ruling on matters, other than a disposition or omission which is the subject matter of an appeal. A commission shall not make any ruling more unfavorable for the appellant than a disposition which is the object of an appeal. A ruling recognized by an appeal shall restrict an appellee and other relevant administrative agencies. 행정심판위원회는 행정의 잘못을 바로 잡아서 국민의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재결의 효력과 범위를 중점으로 다룬다. 재결의 공정성과 실효성을 확보하여 행정심판의 목적을 실현해야한다. 재결은 각하, 기각, 인용으로 구분된다. 위원회는 심판청구가 적법하지 아니하면 그 심판청구를 각하한다. 위원회는 심판청구가 이유가 없다고 인정하면 그 심판청구를 기각한다. 위원회는 취소심판의 청구가 이유가 있다고 인정하면 처분을 취소 또는 다른 처분으로 변경하거나 처분을 다른 처분으로 변경할 것을 피청구인에게 명한다. 행정심판위원회는 심판청구가 이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도 이를 인용하는 것이 공공복리에 크게 위배된다고 인정하면 그 심판청구를 기각하는 재결을 할 수 있다. 이를 사정재결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위원회는 재결의 주문에서 그 처분 또는 부작위가 위법하거나 부당하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 재결의 기간은 피청구인 또는 위원회가 심판청구서를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위원장이 직권으로 30일을 연장할 수 있다. 재결의 범위는 위원회는 심판청구의 대상이 되는 처분 또는 부작위 외의 사항에 대하여는 재결하지 못한다. 위원회는 심판청구의 대상이 되는 처분보다 청구인에게 불리한 재결을 하지 못한다. 그리고 재결의 기속력으로 심판청구를 인용하는 재결은 피청구인과 그 밖의 관계 행정청을 기속한다.

      • KCI등재후보

        음향심리 효과가 있는 자동차 엔진음에 관한 연구

        여경수,배명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Recently, many people enjoy leisure through drive. Today, people have a fun not only driving a car but also hearing and feeling a engine sound. The man prefer to feel to five senses information. Engine sound of high and low be made to him to concentrate because of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Accelerator connect to engine that make high and low frequency following engine's speed. In this paper we research psychology change about changing engine sound of sports car. During drive, driver can feel as accomplishment and dynamic motion by engine sound. we analysis 2014 Maserati Granturismo Sport Car engine sound. After all, sound intensity increase rapidly during stepping on accel pedal. 인간은 주변에서 들리는 소리에 따라 심리의 변화가 생긴다. 과거의 인간에게는 이동수단이었던 자동차가 요즘엔 운전하는 즐거움을 동반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운전을 레져로 즐기는 사람은 오감을 통해 풍부함을 즐기려한다. 청각과 촉각으로는 자동차에서 들리는 엔진음의 높고 낮은 소리의 변화는 사람에게 주의를 집중하게 도와준다.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악셀레이터와 연동이 되는데 악셀레이터는 모터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의 기본 시동음은 저주파수의 대역이 다수 존재하지만 엑셀레이터를 구동하면 고주파수와 저주파수가 함께 발생하면서 음량이 증가된다. 운전자는 자동차를 구동하면서 기구의 동작에 의한 급격한 음압의 변화가 성취감, 운동감 등 여러 가지 느낌을 준다. 또한 시각과 청각의 상호 작용은 운전자로 하여금 속도감과 운동감을 더욱 증가 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터스포츠의 스포츠카 엔진 소리의 음향적인 특징을 분석해보고 그 이유를 알아본다.

      • KCI등재

        포털정보시스템의 보안품질평가모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여경수,김창재,최재현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 No.

        Recently, web-based portal information systems that require a high cost has been implemented by many companies. Because high cost has been invested, the quality of the system has been more focused than ever. Especially, the security quality of the systems need more high cost and efforts because security problems such as the leaking of private information, cyber attack, terror, malignant code has been increase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for security quality evaluation of the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ecurity quality evaluation model based on ISO/IEC 25000 which for software quality evaluation. In order to prove the credibility of the model, we also has applied the proposed model to evaluate actual web-based portal information system, and then the result has been analyzed comparing with quantitative results obtained from international common criteria for the security of the system. 최근 IT 관련 산업에서는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웹을 기반으로 한 포털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많은 비용이 투자되는 만큼 시스템의 품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개인 정보 유출이나 사이버 공격 및 테러, 악성코드 등으로 인한 문제의 증가로 인하여 보안에 대한 많은 관심과 비용 투자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안에 대한 품질평가 및 측정을 위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모델인 ISO/IEC 25000를 기반으로 한 정량적인 보안품질평가를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운영중인 웹 기반의 포털정보시스템에 보안품질평가 모델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정량적 결과와 보안품질평가 수행활동 등을 국제공통보안평가기준과 비교 및 분석하여 신뢰성을 검증한다.

      • KCI등재

        군인의 인권과 관련된 헌법재판소의 결정 분석과 과제

        여경수 대한변호사협회 2016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59

        본 논문은 군인의 인권과 관련된 헌법재판소의 판례를 검토하고 그 기본적인 경향을 제시하고자한다.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견해와 대안적 원칙을 제시한다. 특히 군인이라는 신분상의 특수성에 따라 인권에 대한 법적 규율이 부여되는 경우에 지켜져야 할 기본적 법원칙을 제시하고자한다. 우리나라 헌법상 군사제도의 핵심은 침략적 전쟁을 부인하는 것과 군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는 내용이다. 그리고 군에 대한 문민우위와 병정통합이다. 군에 입대한 병사들도 제복을 입고 군인 생활을 영위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시민이다. 따라서 국가는 병사에게 시민의 한사람으로서 갖는 권리를 충분히 보장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실은 아직 이러한 원칙에 익숙하지 못하다. 군인의 인권 제한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서 규정한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할 수 있다. 또한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 군인에 대한 인권의 제한이 목적의 정당성, 방법의 적정성, 피해의 최소성과 법익의 균형성을 의미하는 과잉금지의 원칙에 위배되어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라 법치국가원리에 따른 법원칙도 군인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또한 군인은 자신의 인권을 침해받은 경우에는 권리구제수단을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현대 입헌주의 법치국가에서 기본권의 최대한 보장과 그 제한에 관한 사법통제의 원칙이 군인을 포함한 모든 국민에 대하여 예외 없이 적용되어야 한다. 군인의 인권의 내용면에서는 군인의 학문의 자유,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통신의 자유,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보장받아야한다. 군이 인권에 대한 성숙한 자세를 보일 때, 그 구성원은 우리 헌법이 추구하는 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할 수 있는 진정한 정신전력을 갖추게 된다.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e judicial decisions made by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in cases related to Human Right of Soldiers. The military has been regarded as an epicenter of human rights violations or oppressive militarism since Korea army was founded. The Republic of Korea shall endeavor to maintain international peace and shall renounce all aggressive wars. The Armed Forces shall be charged with the sacred mission of national security and the defense of the land and their political neutrality shall be maintained. The military has a unique culture due to the importance of hierarchy and the need to live in a constant state of alert. However, those conditions are an immutable aspect of being in the military, and only so much can be done to improve them. The reform of barracks culture should begin with teaching the soldiers to respect each other as fellow human 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