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도개설(林道開設)이 산지급류소하천(山地急流小河川)의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와 이온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 - 임도개설지(林道開設地)와 미개설지(未開設地) 비교(比較) -

        김민식,전근우,에자키 츠기오,Kim, Min-Sik,Chun, Kun-Woo,Ezaki, Tsugio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1997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3 No.-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orest road construction on electronic conductivity(EC) and ion concentrations under different precipitation. They were torrential streams within three different watersheds with various forest road densities (watershed A : 8.82m/ha, watershed B: 2.32m/ha, and watershed C: control) in the Experimental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C of three watersheds did not show on difference in precipitation, but it was high in case of long interval rainfall time period. EC of watershed A and B were higher than that of watershed C. 2. Concentrations of cation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anion. Average concentrations of $N^+$ and $Ca^{2+}$ showed maximum and minimum respectively, and $SO_4{^{2-}}$ was 3.7 times higher than $Cl^-$. 3. Precipitation and discharge had no effect on ion concentrations, but watershed A and B were higher in concentrations of cation than watershed C.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산림과학대학(山林科學大學) 부속연습림내(附屬演習林內)의 임도밀도가 상이한 세 유역(유역 A: 8.82m/ha, B: 2.32m/ha 및 C: 미개설(未開設))의 산지급류소하천(山地急流小河川)을 대상으로 1995년, 1996년의 강우량(降雨量) 및 유출량(流出量)에 따른 전기전도도와 이온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기전도도는 강우량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대체로 전강우(前降雨)와 간격이 긴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임도개설유역이 미개설유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이온성분별 농도는 음이온이 양이온보다 약 2배이상 유출되었다. 이온별 평균농도는 양이온의 경우 $Na^+$과 $Ca^{2+}$이 각각 최대 및 최소로 나타났으며, 음이온의 경우는 $SO_4{^{2-}}$가 $Cl^-$보다 3.7배 이상 높게 나타냈다. 3. 총이온농도는 강우량과 유출량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는 않았으나 양이온의 경우 임도개설지가 미개설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환경(環境)과 조화한 사방사업(砂防事業)(II) -일본(日本)에 있어서 수변지역(水邊地域)의 관리(管理)와 지침(指針)-

        전근우,김경남,서문원,염규진,에자키 츠기오,Chun, Kun-Woo,Kim, Kyoung-Nam,Seomun, Won,Yeom, Kyu-Jin,Ezaki, Tsugio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1998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4 No.-

        지난 5월 20일과 21일에 일본 삿포로시에서 평성(平成)10년도(年度) 사방학회연구발표회(砂防學會硏究發表會)가 개최되어 기획발표 21편과 일반발표 18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기획발표로는 화산방재(火山防災) 일반(一般) 6편, 지진사방연구회(地震砂防硏究會) 활동보고(活動報告) 6편, 수변지역(水邊地域)의 관리(管理)와 지침(指針) 5편 및 평성(平成)9년도(年度) 토사재해(土砂災害) 4편이 각각 발표되었으며, 일반과제로는 사면안정(斜面安定) 10편, 사면붕괴(斜面崩壞) 10편, 지진(地震) 9편, 환경사방(環境砂防) 41편, 토사유출(土砂流出) 25편, 경계(警械) 피난(避難) 11편, 사방계획(砂防計劃) 10편, 사방사업(砂防事業) 11편, 사방구조물(砂防構造物) 10편, 화산사방(火山砂防) 12편, 녹화(綠化) 4편, 수문(水文) 4편, 눈사태 4편, 땅밀림 4편, 토석류(土石流) 18편 및 유학생(留學生) 2편 등이 발표되었다. 특히 기획발표중 "수변지역(水邊地域)의 관리(管理)와 지침(指針)"에서는 "수변지역(水邊地域)의 구조(構造)와 기능(機能)", "홍수(洪水)와 수변형성(水邊形成)의 상관관계(相關關係)", "토사관리(土砂管理)의 장(場)으로서의 계반지역(溪畔地域)과 유로정비(流路整備) 방법(方法)", "주민참가(住民參加)에 의한 자연림(自然林) 재생(再生) 노력(努力)", "수변완충지역(水邊緩衝地域) 설정(設定)의 제도적(制度的) 사회적(社會的) 과제(課題)" 등 5편이 발표되었다. 이는 우리 나라의 사방분야(砂防分野)에 있어서 앞으로의 산지급류소하천(山地急流小河川)을 친환경적(親環境的)인 방법으로 정비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이므로 그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다. A meeting for Japan Society of Erosion Control Engineering took place, from May 20-21 in Sapporo, Japan, with the presentations of 21 special topics and 185 general papers. Special topics consists of 6 copies on volcanic disaster prevention, 6 copies on the activity report of Earthquake Erosion Control Engineering Society, 5 copies on the management and guidelines of riparian zone and 4 copies on debris disaster occurred in 1997. General papers consists of 10 copies on slope stability, 10 copies on slope failure, 9 copies on earthquake, 41 copies on environmental erosion control, 25 copies on debris flow, 11 copies on warning and refuge, 10 copies on erosion control plan, 11 copies on erosion control project, 10 copies on erosion control facility, 12 copies on volcanic erosion control, 4 copies on revegetation technology, 4 copies on forest hydrology, 4 copies on avalanche, 4 copies on landslide, 18 copies on debris flow and 2 other copies presented by international student. Among the special topics, 5 papers with the titles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riparian zone, the interactive relation of flood and riparian zone, the management method of channel and river forest for controlling debris flow, the forest restoration efforts by native population, the law and social issue for building river riparian zone were presented in the subsection of "The Management and Guidelines of Riparian Zone". Thus, this article summarize and introduce the presented contents which are very important and can be referred to keep environmentally sound-river in the erosion contro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