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고지신(溫故知新)의 교육학적 오독(誤讀) : 이무기 같은 공자의 삶과 스승의 파라독스

        엄태동(Taedong, Eom) 한국교육원리학회 2021 교육원리연구 Vol.26 No.1

        온고지신은 논어에 나오는 말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구절 가운데 하나다. 이는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라는 문장 속의 한 구절로서 스승이 지녀야 하는 능력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런데 종래의 논어 해석에서는 온고지신을 ‘옛것을 소홀함이 없이 습득하고, 새것도 알 수 있어야 한다’라는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온고지신은 스승이 지녀야 하는 회화(誨化)의 능력이 아니라 제자에게 필요한 학시습(學時習)의 능력이 되고 만다. 이 글은 온고지신을 스승의 회화 능력을 가리키는 말로 재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단순한 재해석을 넘어서 스승이 지녀야 하는 회화의 능력을 담은 말이 되도록, 교육학의 관점에서 온고지신을 창조적으로 오독(誤讀)한다. 이를 통해 온고(溫故)는 스승이 자신의 옛 앎에 열정을 담아 다루는 능력을 의미하며, 지신(知新)은 회화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다양한 능력들을 새롭게 습득하는 일을 뜻한다는 논의를 펼친다. 나아가 온고지신하는 스승은 제자의 눈에 파라독스적인 존재로 비치기 마련이며, 공자가 자신을 ‘이무기’에 비유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는 점을 밝힌다. This study is to try an educational misreading about Ongojisin in the original context of Confucian Analects. Ongojisin is almost always understood to mean ‘cherishing or restudying old and acquiring new knowledge.’ Although it is generally recognized as predominant understanding, this is very dubious and questionable. Ongojisin originally means the abilities of teachers. But cherishing or restudying old and acquiring new knowledge is definitely the abilities of learners. In order to clarify the educational meaning and significance of Ongojisin, this study deconstructs and re-interprets original and relevant sentences of Analects with constant reference to various recent educational inquiries and theor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to be able to teach others, one must see his old knowledge with passion as if it is new knowledge. This passion for old knowledge is Ongo(溫故) as an ability of teachers. In order to teach others, one must newly acquire various teaching abilities such as communicating knowledge by containing it into appropriate words, diagnosing learner’s level, exemplifying knowledge with his own living, and enjoying the unique pleasure of teaching. These abilities are contents of Jisin(知新) teachers have to acquire. Teachers who can do this kind of Ongojisin are projected as paradoxical beings onto the eyes of their learners.

      • KCI등재

        일이관지의 비밀을 푸는 열쇠 : 공자의 삶과 사상을 하나로 꿰는 교육의 열락

        엄태동(Taedong, Eom) 한국교육원리학회 2021 교육원리연구 Vol.26 No.2

        ‘공자는 성인(聖人)인가, 집 잃은 개인가?’ 공자가 살던 당시부터 그의 정체를 놓고 상반된 의견이 대립하며 논란을 빚었다. 심지어 제자들도 스승의 진면모를 헤아리지 못하고 엉뚱한 질문을 던지곤 했다. 이런 오해를 불식하려고 공자는 자신의 삶과 사상을 한마디로 요약한 일이관지(一以貫之)라는 말을 남긴다. 그러나 그의 기대와는 달리 일이관지의 일이 충(忠)인지 서(恕)인지를 놓고 후학들의 입장이 다시 갈린다. 이 과정에서 유가는 다양한 학파로 나뉜다. 오늘날에도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일이관지를 다채롭게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공자는 충이나 서는 물론이고 특정한 덕(德)을 거론하며 자신의 정체를 이야기한 적이 없다. 오히려 그런 시도 자체를 삼갔다. 반면 그는 교육의 열락(說樂)을 쫓는 일만큼은 세상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손가락(敎育)은 보지 못하고 달(德)만 쳐다보는 외향적인 시선으로 말미암아 사람들은 공자의 그런 외침을 듣지 못한다. 교육학의 어려움이 바로 여기서 생긴다. 이 논문은 논어를 철저하게 교육학의 관점에서 읽는 가운데 일이관지의 일이 충이나 서가 아니라 교육의 열락이라는 점을 밝힌다. 그럼으로써 공자의 삶과 사상을 교육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드러낼 수 있는 길을 연다. To his contemporaries, Confucius was commonly known as wonderful person who learns a lot and memorizes them all. But this reputation unexpectedly produced various misunderstandings from excessive deification to malicious rumors. In order to dissipate misunderstandings about his identity, Confucius said that his way is penetrated by one thread. This remark well known as Iligwanji(一以貫之) has considered to be a necessary key to disclose Confucius’ mysterious life and abstruse thoughts. His disciples and so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Confucius’ one thread as Chung(忠) or Seo(恕), and originated various theories about human nature, morality and ideal society. But Confucius has never pretended to be a person who realizes any kind of virtue including Chung and Seo as his own character. He has just professed to be a person who is relentless in pursuing educational flow-experience called Yeol-Rok(說樂). This study is to interpret educational Yeol-Rok as one thread that penetrates Confucius’ whole life and thoughts with constant reference to his own confession about educational life experience expressed in Analects. This unique academic challenge to read Confucius’ Analects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can contribute to not only new understanding of Confucius’ thoughts but also autonomous theorization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