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에너지 절감을 위한 보상 전략 유형 분석 및 사례 연구

        엄주현(Juhyun Um),설현주(Hyunju Sul),황승민(Seungmin Hwang),황승희(Seunghee Hwang),윤재영(Jaeyoung Yun)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본 연구는 국내외 에너지 절감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에너지 절감 행동을 유도하는 9 가지 요소(Yun et al.) 중 보상(Reward) 요소의 적용 수준이 미비함을 발견하였다. 보상 전략의 적용을 높이고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 보상 요소에 초점을 맞춘 이 논문은 마케팅에서 다뤄지는 고객보상프로그램을 기준으로 하여 실용적, 쾌락적 보상유형과 즉시, 지연의 보상 시점을 새롭게 정의한다. 재정의된 보상 유형과 보상 시점에 따라 국내외 에너지 절감 프로그램의 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현 프로그램의 보상 요소의 적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보상 시점으로는 사용자의 에너지 사용량과 노력이 축적되어 보상되는 지연 보상이 대체로 사용되었고, 보상 유형으로는 실용적 보상과 쾌락적 보상이 적절히 혼합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모든 사례에서 쾌락적 보상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에너지 절감행동 유도를 위한 보상프로그램 설계의 이론적 기틀을 제시한다. 그러나 보상 유형과 시점을 더 세부적으로 나눠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후속 연구로는 최종 목표 중간에 보상물을 제공하는 중간 보상에 대한 연구와 에너지 절감행동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제공하는 부정적 보상을 통해 지속적인 에너지 절감 행동을 위한 프로그램 전략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re is a study that the application of reward factor is incomplete in the domestic and foreign energy savings program among the 9 factors that promotes the user behavior level in energy savings program, proposed by Yun(2013). So, we redefine hedonic, utilitarian reward and immediate, delayed reward by customer reward program dealt in the marketing field. Through the case studies and analysis of energy saving program, this study recognizes the application of reward types in the current program. As a result, in the rewarding time factors, the accumulated reward that provides compensation after the program is over, are used. And among the types of reward properties, utilitarian and hedonic types were mostly provided together, but hedonic reward type was given in every case study. The result of the study proposes a theoretical foundation to promote user energy saving action, in the designation of reward program. But, the research of middle reward and negative reward should involve the follow-up study.

      • 에너지 피드백 시각화 유형이 이해도, 선호도, 절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엄주현(Juhyun Um),윤재영(Jaeyoung Yun)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본 연구는 사용자의 에너지 절감 행동 유도를 위하여 가정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두 가지 시각 유형의 에너지 피드백 디자인으로 제작하고 이에 따라 인구통계학 요인별 피드백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에너지 피드백디자인을 위한 시각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성 소구 피드백과 감성 소구 피드백으로 유형화하였다. 각 피드백 유형에 해당하는 바(bar) 그래프와 북극곰 위젯 디스플레이를 디자인하고 시각적인 차이에 근거한 사용자의 이해도, 선호도, 절전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험한 후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