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목질계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복합재의 치수안정성 개선에 관한 연구

        엄영근,윤형운 國民大學校 山林科學硏究所 1997 山林科學 Vol.9 No.-

        Low density nonwoven web composites made of wood fiber or old newspaper fiber and polypropylene fiber were reported not to be dimensionally stable than thermosetting-resined composite. Thu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ose composites through acetylation of woody fibers(thermomechanical pulp fiber, old newspaper fiber) and coupling agent(emulsion of MAPP) spray on woody fibers in the composite with low(10%) or high portion(50%) of polypropylene fiber. Ten specimens of each type were tested by 24hr soaking in water bath(20℃). In this study,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water absorption 14∼24% ; thickness swelling 2.8∼3.5%) was obtained by double treatments of acetylation and coupling agent in the composite with high portion of polypropylene fiber.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composites improved highly by acetylation or double treatment of acetylation and coupling agent in the composite with low portion of polypropylene fiber. Old newspaper fiber showed higher water absorption and thickness swelling than thermomechanical pulp fiber in the acetylation or coupling agent treatment.

      • SCOPUSKCI등재

        은행나무 지재의 압축이상재와 대응재에 관한 해부학적 특성 비교

        엄영근 한국목재공학회 1991 목재공학 Vol.19 No.3

        은행나무 枝材에 發達하여 있는 壓縮異常材와 對應材의 解剖學的 特性 差異를 組織 및 그 構成要素의 크기 면에서 서로 檢討 比較하였다. 組織的인 特性으로는 壓縮異常材가 年輪幅, 橫斷面上 假導管 形狀 및 放射組織 排列狀態, 細胞間隙, 假導管 先端의 屈曲, 螺旋裂 및 接線斷面上의 放射組織 形狀 면에서 對應材와 差異를 나타냈으며 構成要素의 크기에 있어서는 假導管의 壁厚 및 接線直徑, 單列 放射組織의 높이, 二列放射組織의 數 및 放射組織 密度 면에서 壓縮異常材가 對應材와 差異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 SCOPUSKCI등재

        천공(穿孔)을 지니는 버즘나무의 방사조직 세포

        엄영근 한국목재공학회 1994 목재공학 Vol.22 No.1

        本 論文은 버즘나무科의 버즘나무 (Platanus orientalis L.)에 있어서 木部 放射組織내에 穿孔을 지니는 放射組織 細胞가 存在함을 처음으로 報告하는 것으로 이들 放射組織 細胞의 穿孔板은 導管要素 相互間에 發達하는 穿孔板과 同一하게 單一穿孔板과 階段狀穿孔板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 SCOPUSKCI등재

        뉴질랜드산 라디아타소나무의 압축이상재 (壓縮異常材) , 대응재 (對應材) 및 측면재의 해부학적 특성 비교

        엄영근,Butterfield, Brian G 한국목재공학회 1997 목재공학 Vol.25 No.2

        뉴질랜드産 라디아타소나무의 樹幹 및 枝材에 發達되어 있는 壓縮異常材, 對應材 및 側面材의 解剖學的 特性을 光學顯微鏡, 走射電子顯微鏡 그리고 透過電子顯微鏡을 이용하여 組織學的 및 構成要素의 數量的 側面에서 比較, 檢討하였다. 組織學的인 面에서 볼 때 春材로부터 秋材로의 假導管 移行은 對應材나 側面材보다 壓縮異常材가 훨씬 더 漸進的이었다. 偏心生長으로 인해 年輪幅은 壓縮異常材가 가장 컸고 그 다음이 側面材 및 對應材의 순이었으며 秋材率 역시 壓縮異常材가 對應材 및 側面材보다 컸다. 橫斷面上 假導管 形狀面에서 壓縮異常材가 圖形을 나타내는 반면 對應材와 側面材는 角形을 띠고 있었다. 또한 壓縮異常材에서만 假導管의 細胞壁에 螺旋腔과 螺旋裂 (helical cavity and check), 슬릿(slit)形 壁孔口가 存在하였으나 S層이 缺如되어 있었으며 屈曲된 先端과 不規則한 形狀의 假導管 및 細胞間隙이 자주 觀察되었다. 直交分野 壁孔은 壓縮異常材가 가둔비나무型 그리고 對應材 및 側面材는 소나무型 壁孔을 나타냈다. 數量的 特性 면에서 볼 때 假導管의 길이는 壓縮異常材가 가장 짧고 側面材가 가장 길었으며 假導管의 壁 두께는 壓縮異常材가 對應材나 側面材보다 두꺼웠다. 垂直樹脂溝는 對應材가 그리고 水平樹脂溝(紡錐形 放射組織)는 壓縮異常材의 쪽이 많았다. 結論的으로 보면 라디아타소나무의 壓縮異常材는 근본적으로 對應材나 側面材와는 相異한 特性을 지녔으나 對應材와 側面材는 거의 類似한 特性을 共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목재 삭편-폴리프로필렌 섬유 복합재의 두께팽창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엄영근,김지웅,이찬호 國民大學校 山林科學硏究所 2001 山林科學 Vol.13 No.-

        복합재 제조시 폐목재로부터 생산한 목재 삭편을 원료로 이용하는 경우 환경오염 완화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 절감이라는 이점을 지닐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관련된 기초 연구로써 목재 삭편과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혼합비율 60:40 조건에서 목표밀도 0.6, 0.7, 0.8 및 0.9 g/㎤ 수준으로 부직포식 복합재를 제조하고 그 치수안정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제조된 목재 삭편-폴리프로필렌 섬유 복합재의 흡수율은 목표밀도가 0.6 g/㎤에서 0.9 g/㎤로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두께팽창율의 경우 통계적으로 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목재 삭편-폴리프로필렌 섬유 복합재의 목표밀도가 0.6 g/㎤에서 0.8 g/㎤로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목표밀도가 0.8 g/㎤에서 0.9 g/㎤로 증가함에 따라서는 오히려 다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목표밀도 0.8 g/㎤까지의 복합재에서는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의한 목재삭편의 둘러싸임에 의한 흡수성의 감소가 그리고 목표밀도 0.9 g/㎤인 복합재에서는 매트(mat)의 과도한 압축에 따라 복합재 내부에 발생하게 된 강한 응력에 기인하는 스프링백이 두께팽창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Utilizing recycled wood particles from waste woods as the raw material in composite panel seems to have the advantages of reliev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this respect, as a preliminary study, nonwoven web composite panels with wood particle and polypropylene fiber formulation of 60:40 were manufactured at target density levels of 0.6, 0.7, 0.8, and 0.9 g/㎤ and their dimensional properties were discussed. Water absorption of wood particle-polypropylene fiber composite panel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arget density from 0.6 to 0.9 g/㎤. Thickness swelling of wood particle-polypropylene fiber composite panel, though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howed decreasing tendency with the increase of target density from 0.6 to 0.8 g/㎤ but exhibited rather increasing trend with the increase of target density from 0.8 to 0.9 g/㎤. Thickness swelling in the composite panel with target density up to 0.8 g/㎤ and that with target density of 0.9 g/㎤ was thought to be more dependent upon the restricted water uptake caused by amount of encapsulated wood particles with molten polypropylene fibers and the springback caused by the strong built-up internal stresses from excessive mat compression, respectively.

      • 다래넝쿨의 壓迫에 의해 形成된 비목나무(Lindera erythrocarpa Makino) 膨脹組織의 解剖學的 特性

        嚴永根,鄭然楫 國民大學校 山林科學硏究所 1996 山林科學 Vol.8 No.-

        The swollen tissue and the opposite tissue in the opposite zone of swollen tissue formed in a stem of Lindera erythrocarpa by spiral oppression of a woody liana of Actinidia arguta are compared with normal tissue i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tomical aspects. The swollen tissue was less deviated from normal tissue in anatomical characteristics than opposite tissue, and thus opposite tissue appears to be more influenced by cambial activity than swollen tissue.

      • Nonwoven Web Composite의 두께팽창에 관한 현미경적 연구

        엄영근,윤형운 國民大學校 山林科學硏究所 1998 山林科學 Vol.10 N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 elucidate previous contradictory reports on thickness swelling by density level of nonwoven web composites which is a typical way of reusing wood and plastic materials from municipal solid waste in large quantity. Nonwoven web composites with densities of 0.6, 0.8, 1.0, and 1.2 g/ ㎤ were manufactured and scanning and electron microscopic comparison was made in internal between composites before and after swelling in water for 24 hours. The thickness swelling decreased as density increased., differently from previous results that increase of density resulted in increase of thickness swelling.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present result of composites at high density level showing far smaller in thickness swelling than those at low density level was known to be attitude to increased flow of melted polypropylene fibers in composite panels. In manufacturing high-density composites, great internal stress developed in highly densified mat might induce increased melting and flow of polypropylene fibers and cause these melted polypropylene fibers in fluid form to encapsulate wood fibers and build water barrier through filling up voids between wood fibers, thus resulting in lower thickness swelling due to decreased number of water sorption site, hydroxyl group, of cellulose in wood fiber and reduced water permeability of composite pan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