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 중년층과 고령층의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엄사랑(嚴사랑),신혜리(申慧利),김영선(金英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물질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으며, 연령집단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령집단은 중년층(55~64세) 247명과 고령층(65세 이상) 253명을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Analysis)을 실시하여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연령이, 사회적 요인에서는 사회활동, 개인적 요인에서는 교육수준, 자기효능감, 물직적 요인은 컴퓨터 접근성이 기술활용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중년층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제외한 경제적 요인(취업여부), 사회적 요인(사회활동), 개인적 요인(교육수준, 자기효능감), 물질적 요인(컴퓨터 보유)과 같이 전반적인 영역에 영향요인을 가지고 있는 반면, 고령층의 경우 개인적 요인(교육수준, 자기효능감)과 물질적 요인(컴퓨터 및 스마트폰 보유)의 영향요인만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을 다차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연령집단 별 상이한 양상을 보임으로 중・고령자의 기술관련 논의를 확장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정보역량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 중년층의 경우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물질적 요인을 전반적으로 고려한 통합 기술활용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고령층의 경우 컴퓨터 접근성 및 스마트폰 접근성 등의 물질적 차원을 높이는 단기성・일회성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자기효능감 프로그램과의 병행 운영 등 개인적 차원을 함께 높여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utilization in the middle and Older Adults by demographic, economic, social, personal, and material factors.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over 55 years old(total participants= 500), and for the analysis of age group was classified as Middle-Aged(55-64), Older Adults(65+).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among the Middle and Older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for Middle and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in demographic factors(age), social factors(social activity), and physical factors(education, self-efficacy). In addition, by age group, middle-aged were significant in economic factors(employment status), social factors(social activity), personal factors(education, self-efficacy), and physical factors(computer access). On the other hand, the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in personal factors (education, self-efficacy) and material factors(computer and smartphone access).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are multidimensionally verified, and the age groups showed different patterns. So, in order to promote the technology utilization, middle-aged people should provide an integrated technology utilization promotion program that considers economic factors, social factors, personal factors, and material factors. On the other hand, for Older Adults, need to provide a long-term program that improves personal dimension such as a self-efficacy program, along with short-term programs that increases the material dimension of computer and smartphone accessibility.

      • KCI등재

        중・고령자의 기술수용도(Technology Acceptance) 영향요인 분석 : 최신기술 핀테크(Fintech)를 중심으로

        엄사랑,신혜리,김영선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Davis's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o verify the intention of use fintech factors in which usefulness, easiness, accessibility, affordability, innovation, and uncertainty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 Data was derived from the 2017 Driving and Mobility Survey of Older Adult Korean, which was collected from 457 middle-aged and older adult aged 55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n,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o verify the fintech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f the middle-aged and older adult. The results showed that fintech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 were verified as usefulness, easiness, innovation, and uncertainty. Namely, the higher usefulness, easiness and innovation resulted in higher the intention to use fintech. Also, the lower the uncertainty resulted in higher the intention to use fintech. This study has implication for fintech, a representative technology of the Aging-Friendly Finance Industry, to identify the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by expa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 본 연구는 Davis의 기술수용모델(TAM)을 확장하여 유용성 및 편리성과 접근성, 가격, 혁신성, 불확실성이 중・고령자의 핀테크 사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 45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2017년 한국 고령자 운전 및 이동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을 통해 중・고령자의 핀테크 기술수용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자의 핀테크 기술수용요인은 유용성, 편리성, 혁신성, 불확실성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중・고령자의 핀테크에 대한 유용성 및 편리성이 높아짐에 따라 핀테크 사용의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혁신성이 높을수록,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핀테크 사용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친화금융산업의 대표적인 기술인 핀테크에 대하여, 기술수용모델에서 주류로서 다루지 않았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기술수용모델 확장하여 기술수용요인을 규명하였다는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

        고령자의 기술스트레스와 기술활용능력과의 관계에서의 회복탄력 성의 조절효과 검증 : 디지털 조력 필요 집단을 중심으로

        엄사랑,최유리,신혜리,김영선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4 No.3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the technology literacy of older adults who need digital assistance. To this end, the 'Korea Elderly Technology Acceptance Panel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509 cases aged 60 or older in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Among them, 349 people needing digital assistance were subjected to conditioning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 (2013).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technostress, the higher the technology literacy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the group that needs digital assist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technological literacy of the group in need of digital support.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average or above-average resilience leve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technology stress, the steeper the technology literac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improve the technology literacy of older adults, it was emphasized that the need to alleviate technology stress should be given the highest prior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psychological aspect of older adults to digital divide service linkage and education and training. 본 연구는 디지털 조력이 필요한 고령자의 기술스트레스와 기술활용능력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고령자 기술수용도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전국 17개 시・도의 만 60세 이상 고령자 총 509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그 중 디지털 조력이 필요한 집단 349명을 대상으로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을 통해 조절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조력이 필요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기술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기술활용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조력이 필요한 집단의 기술스트레스와 기술활용능력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를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복탄력성 수준의 평균, 평균 이상의 그룹의 경우 기술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기술활용능력이 가파르게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고령자의 기술활용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기술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이가장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고령자의 기술활용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연계 및 교육·훈련 외에도 고령자 심리적인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연령집단별 사회활동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 : 기술활용능력의 조절효과

        엄사랑,반시우,유나영,신혜리,김영선,한기명,Wajahat Ali Khan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4

        본 논문은 중년층, 전기노인, 중・후기노인 별 사회활동과 정서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술활용능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한국 중・고령자 기술수용도 조사」를 시행하여, 전국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 50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연령집단을 중년층(55-64세) 247명, 전기노인(65-74세) 140명, 중・후기노인(75세 이상) 113명으로 구분하여 분산분석(ANOVA), 조절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중년층과 전기노인의 경우 사회활동 및 기술활용능력은 정서적 안녕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층은 기술활용능력이 조절 효과까지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후기노인의 경우 사회활동이 정서적 안녕감과 통계적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층, 전기노인, 중・후기노인 별 사회활동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기술활용능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아 학문적 논의를 확장하였으며, 특히 중년층을 대상으로 기술활용능력을 증진시켜 높은 수준의 정서적 안녕감을 도모하고, 사회활동이 정서적 안녕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정보기술사용능력과 건강노화의 관계: 연령집단별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엄사랑,김수경,김지원,신혜리,김영선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the Healthy Aging of Older Adults in Korea. The data used in the study was derived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10,058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10,299. And for the analysis of age group, age group was classified as young-olds (65-74), old-olds (75-84), and oldest-old(85+).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Healthy Aging.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h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lationships among all domains of Healthy Aging, which includes physical, cognitive, mental, and social health. Hence, the higher level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the lower number of chronic diseases,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the lower level of depression, and the higher levels of social activity was shown.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 group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erms of Healthy Aging. The oldest-olds, however,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physical health. This study results imply that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is a strong factor for various domains of Healthy Aging of young-olds and old-olds, on the other hand, only cognitive, mental, and social domains apply to the oldest-olds.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the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in Korea, and it showed the differences among various age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database for implementing practical interventions to encourage older adults in three different age groups to use technology which could lead to the improvement of Healthy Aging.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정보기술사용능력과 건강노화와의 관계를 연령집단에 따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전체응답자(n=10,299명) 중 10,058명의 응답자를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연령집단은 연소노인(65-74세), 고령노인(75-84세), 초고령 노인(85세 이상)으로 분류 하였다. 이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한국노인의 정보기술사용능력과 건강노화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정보기술사용능력은 건강노화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기술사용능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주관적 건강을 가지고, 만성질환 개수는 적었으며, 인지기능 수준은 높았고, 우울수준은 낮았으며, 사회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연령집단별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연소노인과 고령노인은 건강노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진 반면, 초고령 노인의 경우 건강노화 중 신체적 건강 영역은 정보기술사용능력과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소노인과 고령노인의 경우 정보기술사용능력이 건강노화의 다양한 영역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초고령 노인의 경우 건강노화의 인지적・정신적・사회적 건강에서만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차원에서 노인의 정보기술사용능력과 건강노화와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연령집단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령집단별 건강노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기술사용을 장려하는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분석: 정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엄사랑,신혜리,김영선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is based on Bennett's (1976) Logic Models to examine the path of Attitudes, information capabilities, information activities,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the '2018 Digital Devide Survey' was used, and 1,665 middle and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55 who used the Internet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tical subject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new technology, information capabilities, information activities,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s of toward new technology in the middle and older adults, the higher the information capability and information activity.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mobile inform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nd life satisfaction, but PC inform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plan to the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middle and older adults by promoting information competency and activity through an inclusive attitude toward technology. especially, it proposed a practical intervention to activate mobile-based information activities rather than PC-based information activities. 본 연구는 Bennett(1976)의 논리모형(Logic Models)을 기반으로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수집한 ‘2018년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 1,665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이용성과 및 삶의 만족도까지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고령자의 기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정보역량과 정보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정보활동은 디지털 이용성과를 높여 삶의 만족도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PC 정보활동의 경우 디지털 이용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기술에 대한 포용력 있는 태도를 통하여 정보역량 및 활동 수준을 증진시키고, 특히 PC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활동보다는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활동을 활성시키는 실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폰 이용이 은퇴 노인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엄사랑(Um Sa Rang),최은영(Chio Eun Young),조성은(Cho Sung Eun),최인정(Chio In Jung),김영선(Kim Young Su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smartphone use on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in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Data was derived from the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colle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total of 4,180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alysis. Based on propensity score estimates, the 491 smartphone users (treatment group) and 491 featurephone users (control group) were matched.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structural social network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retired older adults, people using smartphone had significantly better structured social networks than those using featurephone even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Smartphone users had the higher levels of social contact and social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ed empirical evidence that using smartphone positively affects structured social networks, which might be used as the basis for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social networks and social engagement of retired older adults. 본 연구는 은퇴 이후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자료 중 은퇴한 노인 4,180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한 결과, 최종 분석에는 총 982명(스마트폰 이용자 491명, 피처폰 이용자 491명)이 선정되었다. 이후 t-test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이용과 구조적 사회관계망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은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것보다 높은 빈도의 사회접촉과 높은 수준의 사회활동을 보였다.본 연구는 스마트폰이 구조적 사회적관계망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은퇴한 노인들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증진시키고 적극적 사회참여를 장려하는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사회접촉의 매개효과와 전자기기 활용능력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엄사랑 ( Um Sa Rang ),김수경 ( Kim Su Kyoung ),김지원 ( Kim Ji Won ),신혜리 ( Shin Hye Ri ),김영선 ( Kim Young S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속에서 사회접촉의 매개효과와 전자기기 활용능력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의 전체응답자 중 남성노인 3,979명의 응답자를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고, Hayes(2013)의 PROCESS macro 분석방법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노인 중 은퇴한 노인은 은퇴하지 않은 노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우울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접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은퇴하지 않은 남성노인은 은퇴한 남성노인보다 사회접촉이 높으며, 사회접촉이 높을수록 낮은 수준의 우울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모형에서 전자기기 활용능력이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및 은퇴와 사회접촉과의 관계 모두 매개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노인의 전자기기 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우울감은 낮아지고 사회접촉이 높아지며, 은퇴로 인해 높아지는 우울감과 저하되는 사회접촉 모두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ICT를 활용하여 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킴으로 은퇴노인의 우울감을 저하시킬 수 있는 실천적 개입에 기초 자료로써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tact an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the electronic device uti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depression of elderly men. The data used here were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and 3,979 elderly men among the entire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arget. And it was verified using the PROCESS macro analysis method of Hayes’s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retired elderly men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non-retired elderly men, and social contact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addition, electronic device utilization had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social contact. This is to say that the util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has a moderation effect that alleviates the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social isolation after retirement.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practical intervention to promote elderly men’s social contact and encourag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using ICT to reduce the depression of elderly retirees.

      • KCI등재

        중・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디지털 격차와의 관계: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엄사랑,윤희정,신혜리,김영선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the digital divide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o verify the gender differ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ommunity-dwelling Koreans aged 55 years and older, and 500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had a higher level of health literacy had a higher level of the digital divid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esides, mal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ad a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the digital divide, but femal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ad no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emphasized that improving health literacy should be preceded as an action plan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especially for mal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본 연구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디지털 격차의 관계를 검증하고, 성별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총 500명의 최종 대상자를 수집하였으며,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기술 활용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성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성 중・고령자는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기술 활용 수준이 통계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여성 중・고령자는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격차를 경감시키기 위한 실천방안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증진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하며, 특히 남성 중・고령자에게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 KCI등재

        중 · 고령자의 기술활용능력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 : 적극적 대처전략 조절효과의 지역 차이를 중심으로

        엄사랑(Sarang Um),신혜리(Hye-ri Shin),김영선(Young-s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7

        본 연구는 중 · 고령자 대상 기술활용능력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전략 조절효과의 지역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 중 · 고령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지역은 농촌노인 119명, 도시노인 381명으로 분류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중 · 고령자, 농촌노인과 도시노인 모두 기술활용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극적 대처전략과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또한 전체 중 · 고령자, 농촌노인과 도시노인 모두 적극적 대처전략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활용능력과 정서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을 때 농촌노인만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농촌노인의 정서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단순히 기술을 잘 쓰도록 하는 디지털 교육프로그램 뿐 아니라 여러 장애물에 대한 인지 및 행동전략을 수립하고 극복할 수 있는 심리적 개입 또한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effect of active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literacy and emotional well-being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55 or older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y classifying 119 rural older adults and 381 urban older ad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echnology literacy, the higher the emotional well-being of older adults, rural and the urban older adults.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coping and emotional well-being, the higher the level of active coping, the higher the emotional well-being in older adults, rural and urban older adults. Finally, when the moderating effect of active coping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literacy and emotional well-being, only the rural older adults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o increase the emotional well-being of rural older ad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establish cognitive and behavioral strategies for various obstacles and overcome them, along with digital education programs that help to make good use of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