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 중년층과 고령층의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엄사랑(嚴사랑),신혜리(申慧利),김영선(金英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물질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으며, 연령집단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령집단은 중년층(55~64세) 247명과 고령층(65세 이상) 253명을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Analysis)을 실시하여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연령이, 사회적 요인에서는 사회활동, 개인적 요인에서는 교육수준, 자기효능감, 물직적 요인은 컴퓨터 접근성이 기술활용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중년층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제외한 경제적 요인(취업여부), 사회적 요인(사회활동), 개인적 요인(교육수준, 자기효능감), 물질적 요인(컴퓨터 보유)과 같이 전반적인 영역에 영향요인을 가지고 있는 반면, 고령층의 경우 개인적 요인(교육수준, 자기효능감)과 물질적 요인(컴퓨터 및 스마트폰 보유)의 영향요인만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을 다차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연령집단 별 상이한 양상을 보임으로 중・고령자의 기술관련 논의를 확장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정보역량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 중년층의 경우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물질적 요인을 전반적으로 고려한 통합 기술활용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고령층의 경우 컴퓨터 접근성 및 스마트폰 접근성 등의 물질적 차원을 높이는 단기성・일회성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자기효능감 프로그램과의 병행 운영 등 개인적 차원을 함께 높여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utilization in the middle and Older Adults by demographic, economic, social, personal, and material factors.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over 55 years old(total participants= 500), and for the analysis of age group was classified as Middle-Aged(55-64), Older Adults(65+).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among the Middle and Older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for Middle and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in demographic factors(age), social factors(social activity), and physical factors(education, self-efficacy). In addition, by age group, middle-aged were significant in economic factors(employment status), social factors(social activity), personal factors(education, self-efficacy), and physical factors(computer access). On the other hand, the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in personal factors (education, self-efficacy) and material factors(computer and smartphone access).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are multidimensionally verified, and the age groups showed different patterns. So, in order to promote the technology utilization, middle-aged people should provide an integrated technology utilization promotion program that considers economic factors, social factors, personal factors, and material factors. On the other hand, for Older Adults, need to provide a long-term program that improves personal dimension such as a self-efficacy program, along with short-term programs that increases the material dimension of computer and smartphone accessibility.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의 아바타가 사용자 간의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엄사문,왕자웅,이상준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23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20 No.2
As non-face-to-face socializing has become common worldwide since the COVID-19 pandemic. The emergence of metaverse platforms such as ZEPETO is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drawing much attent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metaverse related to the business field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effect of creator's avatar characteristics on parasocial interactions in the metaverse, and to study the effect of brand preference on brand loyalty in the real world. The results of 324 responses obtained by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with SP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ortance of avatar's social and physical attractiveness was discovered. In addition, we suggest that creators should research the latest fashion trends in advance when creating an avatar.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비대면 사교가 보편화되면서 ZEPETO와 같은 메타버스 플랫폼의 등장으로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메타버스에 대한 연구는 비즈니스 분야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메타버스에서 일어나는 크리에이터 아바타의 특성이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초점을 두고 연구하고자 하며, 메타버스에서 브랜드 선호도가 현실 세계에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지를 배포하여 얻은 300여부의 응답결과를 SPSS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바타의 사회적 매력과 신체적 매력의 중요성을 발굴하였다. 또한,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사용자에게 실용적인 전략을 제공하여 아바타 디자인 및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크리에이터가 아바타를 만들 때 최신 패션 트렌드를 미리 조사하여 신체적 매력이 있는 아바타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중・고령자의 기술수용도(Technology Acceptance) 영향요인 분석 : 최신기술 핀테크(Fintech)를 중심으로
엄사랑,신혜리,김영선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Davis's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o verify the intention of use fintech factors in which usefulness, easiness, accessibility, affordability, innovation, and uncertainty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 Data was derived from the 2017 Driving and Mobility Survey of Older Adult Korean, which was collected from 457 middle-aged and older adult aged 55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n,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o verify the fintech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f the middle-aged and older adult. The results showed that fintech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 were verified as usefulness, easiness, innovation, and uncertainty. Namely, the higher usefulness, easiness and innovation resulted in higher the intention to use fintech. Also, the lower the uncertainty resulted in higher the intention to use fintech. This study has implication for fintech, a representative technology of the Aging-Friendly Finance Industry, to identify the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by expa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 본 연구는 Davis의 기술수용모델(TAM)을 확장하여 유용성 및 편리성과 접근성, 가격, 혁신성, 불확실성이 중・고령자의 핀테크 사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 45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2017년 한국 고령자 운전 및 이동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을 통해 중・고령자의 핀테크 기술수용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자의 핀테크 기술수용요인은 유용성, 편리성, 혁신성, 불확실성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중・고령자의 핀테크에 대한 유용성 및 편리성이 높아짐에 따라 핀테크 사용의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혁신성이 높을수록,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핀테크 사용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친화금융산업의 대표적인 기술인 핀테크에 대하여, 기술수용모델에서 주류로서 다루지 않았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기술수용모델 확장하여 기술수용요인을 규명하였다는 함의를 가진다.
중 · 고령자의 기술활용능력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 : 적극적 대처전략 조절효과의 지역 차이를 중심으로
엄사랑(Sarang Um),신혜리(Hye-ri Shin),김영선(Young-s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7
본 연구는 중 · 고령자 대상 기술활용능력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전략 조절효과의 지역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 중 · 고령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지역은 농촌노인 119명, 도시노인 381명으로 분류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중 · 고령자, 농촌노인과 도시노인 모두 기술활용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극적 대처전략과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또한 전체 중 · 고령자, 농촌노인과 도시노인 모두 적극적 대처전략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활용능력과 정서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을 때 농촌노인만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농촌노인의 정서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단순히 기술을 잘 쓰도록 하는 디지털 교육프로그램 뿐 아니라 여러 장애물에 대한 인지 및 행동전략을 수립하고 극복할 수 있는 심리적 개입 또한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effect of active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literacy and emotional well-being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55 or older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y classifying 119 rural older adults and 381 urban older ad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echnology literacy, the higher the emotional well-being of older adults, rural and the urban older adults.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coping and emotional well-being, the higher the level of active coping, the higher the emotional well-being in older adults, rural and urban older adults. Finally, when the moderating effect of active coping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literacy and emotional well-being, only the rural older adults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o increase the emotional well-being of rural older ad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establish cognitive and behavioral strategies for various obstacles and overcome them, along with digital education programs that help to make good use of technology.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사회접촉의 매개효과와 전자기기 활용능력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엄사랑 ( Um Sa Rang ),김수경 ( Kim Su Kyoung ),김지원 ( Kim Ji Won ),신혜리 ( Shin Hye Ri ),김영선 ( Kim Young S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tact an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the electronic device uti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depression of elderly men. The data used here were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and 3,979 elderly men among the entire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arget. And it was verified using the PROCESS macro analysis method of Hayes’s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retired elderly men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non-retired elderly men, and social contact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addition, electronic device utilization had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social contact. This is to say that the util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has a moderation effect that alleviates the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social isolation after retirement.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practical intervention to promote elderly men’s social contact and encourag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using ICT to reduce the depression of elderly retir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