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족(성인자녀)에 의한 노인부양의 종류와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전(원) 가족관계 양상 분석 및 개입전략의 제시

        엄명용,Um, Myung-Y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1 한국사회복지학 Vol.47 No.-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for a sample of 306 adult children who have an elderly parent or both parents ali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specified the effects of early family relationships on comtemporary relationships and assistance patterns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EQS for Windows 5.7, utiliz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early family relationships affected filial concern first, which in turn affected the level of assistance provided by adult children for elderly parents. No direct effect has been found between early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level of assistance by adult children for elderly parents. Filial concern was played as an intervening variable. Early family relationships gave no direct effects to adult children's intention to assist their parents. Here again, filial concern was played as an intervening factor. Adult children's intention to assist their parents had not been led directly to provision of actual support to parents by their adult children. Thus, it was identified that intention to support is one thing, and the actual support is anoth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filial concern, overall, early family relationship patterns gave no differential effects to the different aspects of support provided to parents by their adult childre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d both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some strategies of intervention in the present family relationships in order for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of supports to happen in the future.

      • KCI등재

        미혼 남녀의 향후 일․가정 양립 방안, 부부 성역할 태도, 저출산 문제에 대한 견해 간 관계 탐색 연구

        엄명용(Myung-Yong Um),김효순(Hyo-soon Kim)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3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20~44세에 이르는 2,678명의 미혼 남녀(남 1,425명, 여 1,253명)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일?가정 양립 방안, 성역할 태도 및 저출산 원인에 대한 견해 등을 성별 및 교육정도에 따라 알아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미혼 남녀들의 일?가정 양립을 어떻게 지원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미혼 남녀의 성역할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 것인가를 유추해 보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이상적인 일?가정 양립 방안은 미혼자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다. 둘째, 이상적인 일?가정 양립방안과 부부 성역할 태도 및 성별 간 관계에 있어서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남성은 직장, 여성은 가사’를 더 찬성했으며, 전일제 일 보다 시간제 일을 선호하는 미혼자들이 ‘남성은 직장 여성은 가사’ 방안에 대한 찬성이 높았다. ‘남편의 자녀 돌봄 능력’에 대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그리고 2자녀를 두고 전일제로 일하겠다는 미혼자가 1자녀를 두고 전일제로 일하겠다는 미혼자에 비해 높은 평가를 보였다. 셋째, 두 자녀 이상을 두고 전일제로 일하고자 하는 미혼 남녀가 저출산 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넷째, 저출산 이유로 가장 높은 동의를 보인 것은 ‘양육비와 교육비용’이었으며 다음으로 ’주택마련의 어려움’과 ‘취업여성의 증가’였다 “취업여성의 증가”를 저출산의 원인으로 여기는 정도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자녀로 전일제 일하는 것을 원하는 미혼자들에게서 이러한 성호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일?가정 양립방안과 성역할 태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저출산 문제에 대한 정책적 개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such variables as work-family compatibility, gender attitude, reasons for low birth rate, and education level, using a sample of 2,678 from the "2009 National Survey for Marriage and Birth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deas about how to support married couples" work-family balance, and how to change gender attitude to promote childbir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ype of ideal work-family balance was different by education level, but not by gender. Low level of education was associated with choice of the full time work without a child. Male singles, compared to female singles, preferred the role of a man as a bread winner, and a woman as a house worker. Female singles had the higher level of hope for husband"s capability of caring children. This trend was intensified by choice of the full time work with 2 children. Singles who prefer working as a full time worker with 2 children worried more about low birth rate in Korea than singles who prefer working as a part time worker with one or two children. The most frequently cited reason for low birth rate was "high cost of both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next was "difficulty in buying a residence, followed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eer woman". Female singles who want to work full time with 2 or more children worried more about the burden of child caring and education than male singl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뇌졸중 노인을 위한 회상 그룹 운영과 평가

        엄명용(Um, Myung-Yong) 한국노년학회 2000 한국노년학 Vol.20 No.1

        노인복지관을 방문하여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노인 대상의 집단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회상 집단 요법(reminiscence group therapy)이 노인종합복지관에서 구성되어 2개월간 1주일에 한 번씩 매주 토요일에 실시되었다. 이 프로그램이 추구했던 바는 집단 역동을 통해 이용 노인들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노인들의 외로움을 해소하며 나아가 복지관의 다른 프로그램 및 지역사회 프로그램에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함에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된 회상 집단 요법의 효과를 외로움의 정도 변화, 행동 양상의 변화, 삶의 만족도 정도 변화 등의 결과 변수를 통해 평가해 보고 노인 대상의 회상 집단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시함에 있어 유념해야할 사항들을 탐색하고 제시함에 있다. 평가 결과 회상 그룹 요법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뇌졸중 노인들의 외로움을 감소시키고 노인들의 행동을 보다 적극적이고 활동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집단 회상 요법의 절차, 주제 및 실시 요령이 함께 제시되었다. A Social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a reminiscence group therapy for the elderly who were suffering from post-stroke symptoms. The reminiscence group was practiced by a team consisted of a social work student and 3 aides once a week from November 1998 to December 1998 for 2 months period. What the reminiscence group tried to accomplish was to reduce the level of feelings of loneliness perceived by participating elderly,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actional activity of the elderly in the group.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reminiscence group using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a behavior index developed for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miniscence group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level of loneliness of the elderly, and promoting interact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and group leaders. Other materials covered by the rest part of the study include procedures for running the reminiscence group, topics for the group, and relevant suggestions or hints for improving the group design.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실천 현장 내 기본 실천기술의 실증적 확인 및 분류

        엄명용(Um Myung-Y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1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현장과 실천현장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우리의 사회복지사들이 실제 수행하고 있는 실천활동을 분석해 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 한국의 다양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669명의 조사 대상자 중 361명이 응답)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실천기술이 무엇인가를 한국의 실천현장에 뿌리를 두고 경험적으로 조사했다. 활용도가 높은 기술 132개의 목록을 제시했으며 그 기술들 안에 존재하는 주요 기술 축 7개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했다. 다음으로 이들 각 기술 축 안에 존재하는 하위기술군들이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되었으며, 이들 하위 기술군을 대표하는 핵심기술지표 42개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천현장별로 각기 다른 실천기술 축을 확인해 분류하였다. 결과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mpirically social work practice skills that are being used most frequently in a variety of social work settings in Korea. Out of 669 questionnaire sent, 361 were return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7 underlying axes from 132 most frequently used practice skills. They were named as : casework skills, group work skills, family work skills, community work skills, volunteer managing skills,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skills, and agency managing skills. Second factor analysis explored underlying sub-factors from each of the seven axes. Researcher identified 42 principal skills that can represent the underlying sub-factors explored in the previous stage. Finally, research checked if the different work settings use different practice skill axes. Study results can be used to connect social work education settings and practice fields in Korea. There has been an argument that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has been teaching improper practice skills to the to-be-social workers.

      • KCI등재

        학교 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양상과 유형 파악을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엄명용(Um, Myung-Yong),송민경(Song, Min-K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2

        본 연구는 학교 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유형 파악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척도인 ‘권력장악가능성’ 과 ‘권력장악욕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를 목적으로 했다.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문항들을 기초 로 추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과 초점 집단 면접을 실시 하였으며 개발된 문항의 안면타당도와 내용타당도 확인을 위해 학교교사 및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받았다. 최종 선정된 문항을 갖고 수도권 소재 초?중?고생(N=1,822)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확인된 요인구조의 타당화를 위해 별도로 수집된 수도권 중학생 표본(N=333)을 대상으로 타당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당화 표본을 통해 척도의 구 성타당도와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권력장악가능성'과 '권력장악욕구'를 바탕으로 분류된 권력관계 유형과 학교폭력 현장에서 학생들의 실제 역할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개발된 척도의 예측타 당도를 점검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nd validating two standardized measures, ‘power controllability’, and ‘power desirability’, which can be utilized to categorize power relationships among the school youth. In order to identify initial items for the measures researchers conducted individual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 teachers and other school related professionals involved in ensuring both the face validity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itial items. For the finally selected items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have been executed with the sample of 1,822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Korea. To test the validity of the confirmed factor structure of the measures the new sample of 348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mployed from the metropolitan area. Both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alculated from the validity test sample. Based on the two developed measures 4 types of power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among the students. The four types of power relationship turned out to predict well the roles that students take in the field of school violence.

      • KCI등재

        학교 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유형과 학교폭력 참여 역할 유형

        엄명용(Um Myung-Yong),송민경(Song Min-Ky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1

        본 연구는 학교 내 학생들 사이에는 권력관계에 바탕을 둔, 보이는 또는 보이지 않는 권력관계 유형이 존재하고, 이 유형들 간 역동이 학교폭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전제로, 어떤 권력관계 유형의 청소년들이 학교폭력 상황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권력관계 유형화 작업을 위해 권력요소를 ‘권력장악가능성’과 ‘권력장악욕구’라는 두 차원으로 보고 이 두 개념을 직각으로 교차시켜 각 차원의 높고 낮음에 따라 학교폭력 상황에서의 권력관계 유형을 지배자, 실력자, 추종자, 은둔자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학교폭력 상황에서 학생들이 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역할은 Salmivalli 외(1996)가 제시한 여섯 가지 역할들을 활용했다. 분석을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초ㆍ중ㆍ고등학교 중 7개의 학교로부터 수집된 1822개의 사례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지배자 유형의 학생은 가해자, 조력자, 강화자의 역할을, 추종자 유형의 학생은 피해자, 방관자의 역할을, 은둔자 유형의 학생은 피해자 역할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력자 유형의 학생들의 경우 두드러진 역할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결과에 대한 함의와 함께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제안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ower types and the roles taken by students in school bullying situation. Four types of power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by crossing two dimensions of power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which are 'possibility of power acquisition,' and 'need for power acquision.' Salmivalli et al.'s(1996) six particpatants' roles taken by individual student were employed as possible roles for students in school bullying situations. Samples of 1822 cases were analyzed to test the relationships. Results showed that control type youth tend to be bullies, assistants of the bullies, or reinforcers of the bullies; both the followers of bullies and the recluse type youth tend to be victims. Surprisingly influential youth did not take any vivid roles in school bullying situations. Implic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 사회 적응 영향 요인

        엄명용 ( Myung Yong U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42 No.-

        This study described process of how rejoin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were adapting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amid the interaction of multi-dimensional events, resources, cognition of their past and present life. Yin(2003)`s case study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to conduct this study.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deas about various interventive programs that could be developed and executed for rejoined children`s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As research participants 9 rejoined children were recruited through Multi-cultural Centers and substitute schools. In-dept interview has been performed with these children as well as with some of their family members. As a descriptive theory McCubbin & Patterson(1983)`s Double ABCX model has been employed, which guided the whole interview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rejoined children as well as their family have been doing well in Korea with the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ir difficult situation. A few maladaptive rejoined children came from the remarried families that have stepchildren from both the husband`s and wife`s sides. Based upon the study results various interventive program idea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he future practice and research stud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결혼이주여성 이혼경험 연구

        박미정(Park, Mi-Jeong),엄명용(Um, Myung-Y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2

        본 연구는 다문화 가족 부부의 이혼을 예방하고 이혼으로 인한 충격들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마련하기 위해 이혼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 15명을 대상으로 국제결혼선택에서부터 결혼생활, 이혼, 이혼 후의 생활까지의 과정을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심현상은‘어긋난 현실에 대한 저항(탈구)하다’였으며, 인과적 조건은‘생존을 위해 탈출하다’, ‘기대와 현실의 격차를 실감하다’였으며, 중재적 조건은‘남편 실체 알게 되다’,‘절망하다’,‘마음 추수리지못함’이었으며, 맥락적 조건은‘하녀 취급당하다’, ‘가정폭력 피해자 되다’, ‘일단 살고 보자고 결심함’, ‘미래 삶의 담보 마련함’, ‘주변화 되다’, ‘이방인 의식이 들다’였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지지체계 구축하다’, ‘새 삶의 의욕 다지다’, ‘사회 정체성 재구성 하다’, 결과는‘정착지 마련하다’였으며, 핵심범주는‘해체를 통한 안전한 정착지 찾기’였다. 이혼유형은 대처성장형, 해방안주형, 생활눌림형, 유랑지속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혼과정과 상황모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족 이혼예방과 이혼 후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ife experiences of fifteen marriage immigrant Asian women who went through running away from their home countries, marrying with Korean men, divorcing from their husbands, and coping with many difficulties after their divorce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grounded theory methods have been employed. The central phenomenon digged out from this study was 'resistance to baffled reality' (i. e. dislocation). The causal conditions which brought about the central phenomenon were ‘escaping for survival' and ‘experiencing the gap between reality and expectation. ’The intervening conditions included ‘getting to know the reality of their husbands,' ‘losing hope,’ and ‘not being able to pull themselves together.' The contextual conditions consisted of 'being treated as maids,' 'becoming victims of family violence,’ ‘making up their minds to survive,' 'securing future life,' 'being marginalized,' and 'being aware of themselves as stranger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on the central phenomenon were ‘building support systems,’ 'building up will for new life,' and 'reconstructing social identity.’The final outcome was 'arranging places of new settlement.' The divorce was classified as four types: 'coping and growth,' 'emancipation and settling down,' 'being overwhelmed by livelihood,' and 'continuous wander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a few political and practice suggestions to prevent family violence and divorces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also to bumper the impacts of divorce.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과 일탈적 생활양식의 매개효과와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

        유지희(Yu, Jee-Hee),엄명용(Um, Myung-Y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학 Vol.74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지능과 일탈적 생활양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봄과 동시에 그 관계 구조모형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 경기지역의 중학교 2 ·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402명의 중학생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AMOS를 활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은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정서지능과 일탈적 생활양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지능과 일탈적 생활양식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가해행동, 정서지능과 일탈적 생활양식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불링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viant life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adolescents.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s were assessed in this pathway.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udy variables, survey data from 402 adolescents. Date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yberbullying victimization showed direct effect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ird, deviant life styl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Fourth, dual-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viant life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the cyberbullying perpet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showed difference in a few paths of the structural model. Base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preventing cyberbullying perpetration by each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