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 대한 일본의 위협인식과 미⋅일 동맹: ‘위협균형론’을 중심으로

        엄광용,남궁영 한국세계지역학회 2020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8 No.1

        This thesis identifi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changes of the US-Japan alliance after the post-Cold War.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 assume the research problem based on the balance of threat theory that states tend to balance against their most threatening state. The balance of threat theory argues that threats consist of four factors: aggregate power, geographic proximity, offensive power, and offensive intentions. Therefore, I empirically measure the degree of Japan’s threat perception against China based on the factors suggested by the theory. Then, I track the changing process of the US-Japan alliance. As a result, Japan’s threat perception against China steadily has been strengthened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China’s aggregate power, geographical proximity between China and Japan, China’s offensive power, China’s offensive intentions have an impact on Japan’s threat perception against China. And the more Japan’s threat perception to China increases, the more the US-Japan alliance consolidates. To present a theore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as follows. First, the balance of threat theory was verified. This thesis shows that threat perceptions against other countries are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alliance. Second, it tries to empirically verify the balance of threat theory. Since the abstract concept of threat perception is defined as measurable variables, it enhances the theoretical explanatory power of the balance of threat theory. Third, by providing theoretical explan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Japan, it can more appropriately explain and predict the phenomena between the two coun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탈냉전 이후 미⋅일 동맹의 변화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밝히는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국가는 자국에 가장 위협적인 국가에 대항하여 균형을 이루려는경향이 있다고 보는 위협균형론에 기초하여 연구문제를 상정한다. 위협균형론은 위협이 총체적국력, 지리적 근접성, 공격적 군사력, 공격적 의도라는 네 가지 요인으로 이뤄져 있다고주장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위협균형론이 제시한 네 가지 요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중국위협인식이 어느 정도 인지를 실증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미⋅일 동맹의 변화과정을 추적함으로써 두 변수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한다. 연구결과, 일본의 대중국 위협인식은 냉전이종식된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강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중국의 총체적 국력, 중국과 일본간의 지리적 근접성, 중국의 공격적 군사력, 중국의 공격적 의도가 일본의 대중국 위협인식에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일본의 대중국 위협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미⋅일 동맹도 점점 더공고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세 가지이다. 첫째, 위협균형론을 검증했다는것이다. 이 연구는 다른 국가에 대한 위협인식이 동맹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위협균형론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을 시도했다는 것이다. 위협인식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측정 가능한 변수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이론의 설명력을높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중국과 일본의 관계에 이론적 설명력을 부여함으로써 양국 간의현상을 보다 적절하게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이다.

      • 연구논문 : 『시경(詩經)』 "한혁편(韓奕篇)"을 통해 본 정략결혼(政略結婚)과 문물교류(文物交流) 연구

        엄광용 ( Gwang Yong Eom ) 한국문명교류연구소 2009 문명교류연구 Vol.1 No.-

        문명의 교류는 크게 인적 교류와 물적 교류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인적 교류 없이 물적 교류는 이루어질 수 없다. 사람의 왕래가 있어야만 그로 인한 물적 교류 또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중 문명교류에 있어서 가장 오래된 사건은 『시경』 ``한혁편``의 ``한``과 ``서주``간에 외교전술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정략결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한``은 ``고조선``을 말한다. 즉 고조선과 서주는 기원전 9-8세기에 ``정략결혼``을 통한 문물교류의 물꼬를 텄으며, 처음에는 사신이 오고가는 ``관무역`` 형태를 유지하다가, 서주 멸망 이후 춘추시대로 접어들면서 ``사무역`` 형태로 바뀌어 활발한 무역 활동이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보면 『시경』 ``한혁편``에 나오는 고조선(한)의 군주 ``한후``와 서주 선왕의 고종사촌 여동생 ``한길``의 ``정략결혼``은 한중 문물교류의 시발점이 되는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당시에 이와 같은 ``정략결혼``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서주와 변방의 사이(四夷) 간의 역학관계가 크게 작용하였다고 판단된다. 당시 서주의 사정은 급박하였다. 동·서·남·북 사방을 사이에게 둘러싸인 상황에서 내부적으로는 군주의 폭정으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하던 때였다. 폭정의 원흉이었던 군주 여왕이 망명하고 나서 14년간 공화정이 실시되었고, 그가 죽고 나서 그의 아들 선왕이 즉위하였다. 그는 사이 중에서 가장 멀리 있는 ``동이``로 대표되는 고조선과 정략결혼을 통한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가까이 있는 서·남·북의 ``삼이``를 공략하는 이른바 ``근공원교`` 전략을 구사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고조선과 서주는 ``정략결혼``을 통한 외교관계 수립하였으며, 이 사건은 관무역을 실시하면서 한중간의 문물을 교류하는 계기로도 작용하였다. 고조선은 주로 서주에 호랑이나 곰의 가죽인 문피를 수출하였으며, 서주에서는 견직물 종류가 고조선으로 유입되었다. 서주가 멸망하고 춘추시대가 되면서 제후들이 ``칭왕``을 하며 천하의 패권을 다툴 때 고조선은 연나와 제나라 등과 사무역 형태로 활발한 무역 활동을 펼쳤다. 크게 육로와 해로를 통한 무역로가 형성되었는데, 고조선은 문피를 주로 수출하였으므로 필자는 임의로 이 교통로를 ``문피로드``라고 명명(命名)하기로 하였다. 이 ``문피로드``는 실크로드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고조선을 위시한 한반도 지역과 중원대륙을 잇는 무역의 길로 정착되었다. The oldest accident in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is ``marriage of convenience`` occurred due to diplomatic tactics between ``Han`` and ``Western Chou(Seoju)`` of ``Hanhyeok Part`` of 『the Book of Odes』. Here, ``Han`` means ``Old Jeosun``. Namely, the Old Jeosun and Western Chou started cultural exchange through ``marriage of convenience`` in the 9~8th century before Christ, and first, it maintained an ``official trade`` form that envoys came and went, but while it entered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fter collapse of Western Chou, it changed to a ``private trade`` form and thus active trade activities had been carried out. It is judged that the dynamics between Western Chou and four frontier barbarian countries largely influence as the background that the ``marriage of convenience`` like this could be achieved at the time. The situations of Western Chou was urgent at the time. It was that the mind of people was internally agitated due to tyranny of a ruler in situations surrounded by four barbarian countries in four directions of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After the queen, who was a tyrant, exiled herself, a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was carried out for 14 years. And after the queen died, King Seon, her son, ascended the throne. He established an diplomatic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of convenience with Old Jeosun represented as ``East barbarian country`` located most remote among four barbarian countries and attacked three barbarian countries of the East, South and North located near. With the background of this epochal situations, Old Jeosun and Western Chou established an diplomatic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of convenience``, and this case acted as a momentum tha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was carried out through execution of official trade. Old Jeosun usually exported leather(Munpi) of tigers or bears to Western Chou, and the silk fabrics of Western Chou were flowed into Old Jeosun. This ``Munpi Road`` is related to the Silk Road, and it was settled as a trade road connecting the Korean Peninsula Area including Old Jeosun to the continental midfield.

      • 고대 한,중 문명 교류 중심지 요동과 연암의 역사문화 인식 -『열하일기(熱河日記)』 도강록(渡江錄)편 요동 기사를 중심으로-

        엄광용 ( Gwang Yong Eom ) 한국문명교류연구소 2011 문명교류연구 Vol.2 No.-

        ``Ywo dong(遼東)`` has a characteristic that various appearances of civilization still remain. Because it was the pivot of the ancient civilizational exchanges, This zone that was the ancient border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has also been the place for the fierce battle with the chinese dynasties in history through the Gojuseon(古朝鮮), the Puyeo(夫餘), the Goguryeo(高句麗) and the Balhae(渤海). In accordance with that, personal exchanges and material exchanges were made up of there. The aspects of civilizational exchanges are divided into three kinds. One is the Fusion in which two civilizations are mixed constructively. Another is the Deliquescence where a new and the third civilization comes out of the former two civilizations. The other Assimilation in which either one or the other in the two absorbs the rest. This article concentrically analyze how the ancient civil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has undergone changes on the basis of the topics of ``crossing river`` in 『the Jehol Diary(熱河日記)』. Thus, it studies Yon Am`s cognition of ancient history, and his civilizational awareness of Ywo dong region through Park Ji Won who was a intellectual in the late of Choseon(朝鮮) Dynasty. The best desirable form in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could be the type of the fused civilization, in which the combined merits of the two civilizations give birth to the third civilization. Especially, This article only searches the fused form of civilization in the ``Ondol(溫突)``, and the assimilated form of civilization in the ``Brick`` laying pagoda owing to the limitations of looking for just in the 『the Jehol Diary』.

      • KCI등재

        이주노동자의 법적 지위와 수용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결정요인 : 사회적 가치관과 현실갈등이론을 중심으로

        정재도,엄광용,이재묵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社會科學硏究 Vol.45 No.1

        This study analyzes the attitudes of Koreans toward migrant workers through social values and the theory of reality conflict. In particular, the preceding studies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immigrants with only a fraction or one question. The study embodied Koreans’ attitude by analyzing their attitudes toward foreign immigrant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varies depending on the dependent variables (legal position recognition, engagement recognition, and integration). In particular, national identity and ideology, which are variables that show that the two depende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mmon, showed opposite results. The conflicting results suggest that Koreans’ acceptance of the new system will differ depending on legal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migrant workers, and suggest that future policymaking for migrant workers should be accompanied by a case-by-case and integrated approach. Second, a comprehensive survey of Koreans’ perceptions of migrant workers revealed that unlike in the West, most of the real conflict theory was meaningless, and the more negative the variables of the national economic outlook, the more positive they were about migrant workers. In other words, it is a remarkable result that the theory of real conflict, which is regarded as a decisive variable in the West’s perception of migrant workers, is not only a good influence on the Korean people, but rather an adverse influence on the Korean people, and it is necessary for policymakers to formulate policies in view of this.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를 사회적 가치관과 현실갈등이론을 통해 분석한다. 특히 선행연구들이 이민자에 대한 인식을 일부만 또는 하나씩의 문항을 갖고 분석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이민자에 대한 태도를 요인 분석함으로써 한국인들의 태도를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종속변수(법적지위인식, 수용인식, 통합)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미성의 차이를 보인다. 특히 두 종속변수가 공통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나타낸 변수인 국가정체성과 이념은 서로 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이주노동자와 관련된 법적/사회적 문제에 따라 한국인이 받아들이는 인식이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며 앞으로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정책 수립에는 사안별, 통합적 접근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통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서구와는 달리 현실적 갈등이론의 대부분 변수가 무의미했으며, 국가경제전망 변수는 부정적일수록 오히려 이주노동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즉 서구에서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에 결정적 변수로 인정되는 현실갈등이론은 한국인에게 영향력을 잘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역의 영향력을 보인다는 것은 주목할만한 결과이며, 이를 고려하여 정책입안자는 정책을 구상할 필요가 있다.

      • 포장업에서의 임가공비 산정

        조진형,이세재,엄광용,박철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3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3 No.춘계

        Most of the Korea"s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have been subcontracted in mechanical and electronics industries. It is focused on packing subcontracting in an electronics industry which exports products to its foreign plants at non-mass jobbing production. This study suggests a estimation method of the subcontracting cost in packing work, considering work omission rate, ware in process, lot size, learning effect, and MARR.

      • 철도SOC사업투자계획 방안 제안

        황기욱(Kiwook Hwang),엄광용(Kwangyong Um),김종민(Jongmin Kim),김민지(Minji Kim),이현희(Hyunhee Lee),박정수(Jungsoo Park) 한국철도학회 2012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5

        현재 우리나라는 SOC사업을 통해 전 국토의 균형발전을 목표로 일반철도망과 고속선을 구축하여 빠른 경제발전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고속선인 경부선을 중심으로한 일획적 발전으로 인해 지역 발전의 불균형이 일어나게 되었고 불가피하게 항만도시를 중심으로 경제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검토하기 위해 철도학술동아리 T.R.M에서는'오송역'을 중심으로 청주공항, 충주를 포함하여 제천까지를 잇는 충북고속선 연장으로 역세권개발 및 기업지구의 분배를 하므로 종단방향의 수도권-경남과 횡단방향의 경남-충북-충남의 KTX고속철도선 X축 형성으로 더욱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번 충청지역 철도 SOC사업투자계획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