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니메이션 <홍길동>(1967)에 나타난 영웅여행 서사

        엄경섭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3 石堂論叢 Vol.- No.85

        This article examines narrative on the animation <Hong Gildong> reflecting narrative of the classical novel Honggildong-jeon , focusing on its main characters, with reference to Christopher Vogler’s stages of the hero’s journey. Vogler believed that heros leave their ordinary world and enter the new one, taking risks of the adventure. Accordingly, he introduced seven major character archetypes and classified the hero’s journey into twelve stages. It is main characters in a literary work that develop narrative of the hero’s journey. In <Hong Gildong>, six character archetypes, the hero, the mentor, the threshold guardian, the herald, the shadow, and the trickster, can be found among Vogler’s seven character archetypes. The shapeshifter does not appear in <Hong Gildong>, who plays a role of misleading the hero into confusion by bringing in doubt and dubiety in the story. The shapeshifter wearing a mask creates dramatic tension at the scene in which he traps the hero trusting him whereas that in <Hong Gildong> rather paved the way for Gildong’s becoming a hero by helping him not to suffer from allies. Hero’s journey is the one which leads the hero into the special world. In that of <Hong Gildong>, Gildong castigated corrupt officials’ tyranny and built a comfortable and peaceful world. In addition, he needed the special world to solve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between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since he was born as a child of concubine. The narrative on hero’s journey of <Hong Gildong> consists of eight stages, ‘the ordinary world - call to adventure - crossing the first threshold - tests, allies, and enemies - meeting the mentor - approach to the inmost cave - the ordeal - the reward’. After Gildong ended the narrative of hero’s journey, he seized a right to call his father ‘father’ as a reward. In <Hong Gildong>, the right obtained when Gildong is recognized as his father’s legitimate child was more significantly described than realization of embodying social justice with disciplinary action for corrupt officials. The fight with the Minister of War, Choi Bulhoon, can be regarded as a rite of passage that Gildong had to undergo in order to save his father, not as a fight with the extensive royal forces. The skeleton framework of hero’s journey is maintained, but the details of the journey can have variations in accordance with events and conflicts. Likewise, character archetypes can change depending on times and audiences’ demand. The animation <Hong Gildong> released in 1967 appropriately transformed in the framework of hero’s journey and portrayed the hero, Gildong. <Hong Gildong>, reinvented as an animation by adding satirical and humorous elements to the theme of the classical novel Honggildong-jeon ,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literary work resonating to the social situation reflecting the times. 본고에서는 고전소설 홍길동전 의 서사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홍길동>의 서사를 주요 캐릭터 중심으로 크리스토퍼 보글러의 영웅여행 단계에 맞춰 살펴보았다. 보글러는 영웅은 자신의 세계를 벗어나 또 다른 세계로 들어가 위험을 감당하는 여행을 한다고 보고, 일곱 가지 캐릭터 원형을 제안하고 영웅의 여행을 12단계로 분류하였다. 영웅여행 서사를 이끄는 것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주요 캐릭터들이다. <홍길동>에서는 보글러의 캐릭터 일곱 가지 원형 중에서 영웅, 정신적 스승, 관문 수호자, 전령관, 그림자, 장난꾸러기의 여섯 가지 원형이 드러난다. 스토리에 의심과 불확실함을 불어넣어 영웅을 혼란에 빠뜨리게 하는 역할을 하는 변신자재자는 <홍길동>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가면을 쓴 변신자재자가 자신을 믿고 있던 영웅을 함정에 빠뜨리는 장면에서 극적인 긴장감을 유발하는 기능을 하지만, <홍길동>에서는 길동이 영웅으로 가는 길을 협력자로부터 시련을 겪지 않도록 평탄하게 열어주고 있다. 영웅의 여정은 영웅을 특별한 세계로 이끄는 여행이다. <홍길동>에서의 특별한 세계는 탐관오리의 횡포를 징치하고 백성들의 안락하고 평안한 세계를 만드는 것이다. 또한 서자로 태어난 길동은 적서차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특별한 세계가 필요했다. <홍길동>의 영웅여행 서사는 ‘일상 세계–모험에의 소명–첫 관문의 통과–시험, 협력자, 적대자–정신적 스승과의 만남–동굴 깊숙한 곳으로의 진입–시련–보상’으로 8단계의 구성으로 나타난다. 길동이 영웅으로서의 서사를 마친 후 주어진 보상은 호부(呼父)이다. <홍길동>에서는 탐관오리의 횡포를 징치하여 사회정의구현을 실현하는 일보다 아버지로부터 자식으로 인정받아 호부하는 일을 더 중요하게 부각하고 있다. 병조판서 최불훈과의 대결은 대대적인 관군과의 싸움이라기보다는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통과의례로서의 의미로 볼 수 있다. 영웅여행 서사의 큰 흐름은 유지되지만 세부적인 여정은 사건과 갈등에 따라 변형되고, 캐릭터 원형 또한 시대적 상황과 관객의 요구에 따라 변형되어 드러나기도 한다. 1967년에 개봉한 애니메이션 <홍길동>은 영웅여행 서사의 틀 속에서 적절히 변형되어 길동이라는 영웅을 성장시켰다. 고전소설 홍길동전 의 주제에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요소들을 가미해 애니메이션으로 재창조된 <홍길동>은 그 시대를 반영한 사회상에 울림을 주는 작품으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閒情錄』을 통해 본 허균의 독서경향

        엄경섭(Eom Kyung Seob)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40

        교산 허균은 조선 중기 최고의 시인이자 문장가였고, 조선 제일의 비평가였다. 또한 그는 조선의 반항아였으며, 시대를 앞서간 혁명가이기도 했다. 평생토록 비방과 칭찬이 함께 따라다녔던 허균, 그는 ‘하고 싶었지만 하지 못하는, 되었지만 되지 못하는’ 긍정과 부정이 오가는 불우한 삶을 산 인물이었다. 허균은 자신의 고단한 삶을 달래기 위해 방대한 독서를 했고, 그 내용을 초록하면서 책과 함께 살았다. 허균의 폭넓은 독서와 탁월한 선집 능력은 그의 저서인 『閒情錄』에 잘 드러나 있다. 그는 고인들의 인생관을 살피기 위해, 두렵고 놀란 정황에 깊은 시름을 떨쳐버릴 방도를 찾기 위해, 그리고 스스로 반성하기 위해 『한정록』을 편찬했다. 산림으로 돌아가고픈 마음을 『한정록』에 담아낸 허균은 세상을 버리고 은거하는 것은 이름나기 위해서가 아니라, 속세를 떠나 몸을 오래도록 한거하게 하여, 그 은거의 즐거움에 이르고자 함이었다. 다시 말해, 허균은 고인들의 글을 읽으면서 그들의 삶과 인생관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그들을 본받아 자신의 삶의 지향점으로 삼고자 했다. 『한정록』을 통해 바라본 허균의 독서는 書淫으로서 새로운 작품에 대한 갈망의 욕구와 귀거래 속에 감춰진 허균의 출세 욕망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독서광이었던, 그리고 『한정록』을 증보해야 했던 허균은 중국의 새로운 작품을 지속적으로 접하기를 갈망했다. 또한 類書류인 『한정록』을 접한 조선지식인들에게 새로운 작품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계기도 되었다. 허균은 일평생을 벼슬을 싫어하면서도 좇고 자연을 그리워하면서도 가지 않는 모순적인 행동을 보였다. 그는 젊은 시절 자신의 포부를 마음껏 펼쳐 공명을 이룬 후, 자연스럽게 나이가 들면 자연으로 돌아가 편히 쉬고 싶었던 마음을 『한정록』에 고스란히 묻어 두었다. Gyosan Heo Gyun was a prominent poet and critic, widely regarded as a good writer in the mid-Joseon Dynasty. As a progressive and liberal thinker, he became a rebel involved in revolutionary events. Through his life, he was slandered, as well as won praise. His life was so unfortunate that positives and negatives repeated, and thus when he wanted to do something he could not. One way to appease his hapless life was reading extensively, excerpting from its contents. His wide reading and his superior anthology were reflected in one of his books titled, Hanjeongrok His purpose to write this book was to provide a view on life from the deceased, seeking ways to relieve anxiety under fearful circumstances, and introspecting his inner self. His desire for returning to the forest was well expressed in the book that by retiring to his hermitage he does not become renowned but is taking pleasure in seclusion. In other words, he considered the significance of life by reading the writings of the dead, through which he retrospect his life and set the ultimate goal of his life. His book, Hanjeongrok, it says that he enjoyed reading a lot partly because of his craving for new literary works and partly because of his longing for success in life hidden in a solitary country life. Heo Gyun, a studious, aspired to constantly read new Chinese works so as to supplement his book. In addition, after reading Hanjeongrok, Joseon intellectuals were also aroused to have desire for new writings. For all his life, Heo Gyun revealed inconsistency that while he hated, but pursued a government official, he did not live in nature despite missing it. The book completely describes that he was anxious to achieve a great feat in his younger days, and then to go back to nature to relax as he grew older.

      • KCI등재

        조선시대 독서론의 연구 경향과 그 전망

        엄경섭(Eom Kyung Seob) 동남어문학회 2016 동남어문논집 Vol.1 No.41

        본고에서는 선조들의 독서론을 통해 우리가 지녀야할 독서 습관을 배우는 한 방편으로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조선시대 독서론의 연구 현황을 다룬 논문 75편을 검토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전반을 아우르거나 중기와 후기를 함께 거론한 논문과 조선 중기만을, 또는 조선 후기만을 다룬 논문 20편을 ‘조선시대 독서문화의 연구 현황’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16명의 조선 지식인의 개별 독서론을 다룬 논문 43편을 ‘조선 지식인의 독서론 연구 현황’으로 분류하였고, 마지막으로 조선시대 독서론을 독서교육적 측면으로 다룬 논문 12편을 ‘고전독서와 독서교육’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독서법을 살펴보면서 그들의 독서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그 방법에 대한 답을 얻고자 했다. 그 답 속에서 조선시대 독서법이 갖는 위상과 그들의 독서법이 갖는 현대적 의미를 파악해 보는 것은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조선시대 독서론 관련 논문 75편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연구자들은 인물들의 독서 경향을 통해 그 시대의 독서 상황을 읽어내려 했다. 검토한 논문에서 드러난 인물은 개별 독서론에 제시된 16명을 제외하고 10여 명의 인물들이 부분적으로 더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리학의 대표인 퇴계와 율곡의 독서론과 실학의 대표인 연암, 형암, 다산의 독서론이 많이 거론되고 있었다. 그 외 우계와 성호, 고봉, 남계, 초정 등의 독서론도 미비하게나마 거론되고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같은 인물들을 다루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동일 인물을 다룬 연구자들이 제시한 독서론의 연구 방향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경향이 전반적으로 조선 후기에 집중되어 있었다. 조선 후기만을 다루고 있는 논문은 44편으로 검토한 전체 논문의 과반수를 차지했다. 조선 전기 성리학 중심의 정통 독서론보다 조선 후기 실학 중심의 문제해결형 독서론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평생토록 책을 가까이하고 책을 읽는 습관은 비단 한 시기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은 독서를 즐겼으며, 책을 통해 지식을 쌓고 인생관과 세계관을 넓혀 나갔다. 우리 선조들은 독서를 통해 학문과 사상을 넓혀 세상을 경영하는 지혜로 삼고자 했다. 또한 이를 통해 인격을 수양하고 삶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자 했다. 따라서 당대 학자들의 독서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는 작업은 그 시대의 지적 풍토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더 나아가 당대 지식인들의 고민과 지향 세계를 살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발전된 조선시대 독서론 연구를 위해 새로운 관점으로의 독서론 연구가, 또한 새로운 인물로의 독서론 연구가 필요한 시점인 듯하다. This article examines seventy-five different academic articles from 2000 to 2015 on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reading the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mean of investigating the reading habits of Korean ancestors. First, twenty journal papers covering the entire period of Joseon Dynasty, or middle period, or latter period are included as ‘Research Status of Reading Culture in Joseon Dynasty’. Next, in ‘Research Status of Joseon Intellectuals’ Reading Theory’, forty-three journal papers on sixteen different Joseon intellectuals’ reading theory are classified. Finally, ‘Classic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provides twelve journal papers viewing reading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se classifications, observing the Joseon intellectuals’ reading methods leads to an understanding of their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reading and elucidates their methods. In recognition of this, the emphasis of this research is to comprehend the status of reading method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e ancient intellectuals’ reading method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of seventy-five research articles on reading the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ers try to understand the period’s reading conditions throughout analysis of Joseon intellectuals’ reading interests. The reviewed articles introduce ten more figures in addition to the sixteen Joseon intellectuals mentioned above. Representatives of Neo-Confucianism (Toigye and Yulgok), and the representatives of Silhak (Yeonam and Hyeongam, and Dasan) were cited for the study of reading theory. In addition, Woogye, Seongho, Kobong, Namgye, Chojeong were mentioned in reading theory. The majority of researchers deal with the same figures, and their suggested research direction of reading theory are not very different. Also, their research trend is generally focused on the late Joseon Dynasty, contributing to the greater part of the reviewed academic papers - forty-four papers. It seems that researchers are more focused in problem-solving-typed reading theory centered in Silh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n the orthodox method derived from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part of the period. Everyday reading culture and reading habits are not confined to one period, however. Rather, reading has been enjoyed throughout history and around the world, through which people expand their knowledge and broaden one’s life view and world-view. Korean ancestors have shown wisdom to manage the world by extending their learning and thinking through reading. It is also conducive to cultivate one’s personality and to enrich one’s life. To conclude, understanding the ancient scholars’ awareness of and attitude toward reading is very helpful for deducing the nature of their intellectual life at that time and, moreover, provides insight into their struggles and goals. At this stage, a study with a fresh approach and in terms of previously neglected intellectuals is required in order to further develop research on reading theory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