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ow Resilience Affect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Mediating Role of Acceptance

        어유경,정안숙,차성이,김남희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8 No.3

        Not every individual who experiences a traumatic event is diagnos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r shows its symptoms. Resilience has been understood to be a key factor that helps individuals adapt successfully following an adversity. Acceptance has also been considered a therapeutic factor for such individual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acceptance, and their impacts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e mediating role of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A total of 140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rauma (80 females and 60 ma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Resilience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acceptance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is study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underpinning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여자 대학생의 일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어유경,박수현,정안숙 한국여성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들의 일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특히 사회적 지지가 갖는 매개효과와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여자 대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일상 스트레스 척도, 간이정신검사지, 부모-자녀 의사소통 질문지,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여 각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일차적으로 상관 분석, ANOVA, 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 간의 관계 및 인구통계학적 집단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고,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여자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여자 대학생들과 아버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스트레스 간 상호작용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자 대학생들에게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중요함이 밝혀졌는데 이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여자 자녀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중시되고 아버지들도 여자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비교적 덜 불편해하는 경향성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 및 개입 장면에서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위한 제언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 KCI등재

        성인자녀와의 결속감이 노인의 연명의료 결정에 미치는 영향

        어유경,김순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felt by elderly people in relation to their adult children on the decision about the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Assuming the condition of unrecoverable illness, the alternatives given in the survey were active hospital treatment, hospice focusing on pain relief, alternative medicine such as herbal medicine, and waiting for death.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families was measured by five sub-dimensions including normative solidarity, functional solidarity(parents helping adult children and adult children helping parents), affectual solidarity and consensual solidarit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data from the survey conducted to the 2,064 elderly people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normative solidarity,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active hospital treatment. When parents had a strong sense of functional solidarity in helping their adult children, the chances of choosing to die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nversely, if parents had a high sense of functional solidarity by receiving care from their children, the chances of choosing hospice were increasing, and the chances of choosing active hospital care and alternative medicine were diminishing. As the level of affectual solidarity was higher, parents were more likely to choose death and less likely to choose alternative medicine. Finally, the higher the level of consensual solidarity wa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choosing alternative medicine was, and the lower that of choosing hospice w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affects their decision about the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and well-dying for preparing the end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성인자녀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결속감이 연명의료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명의료 결정은 회복이 불가능한 질병의 말기 상황을 가정 시, 적극적인 병원치료, 한방 등 대체의료, 고통 경감 중심의 호스피스, 죽음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성인자녀와의 결속감은 5가지 하위 차원-규범적 결속감, 부모가 자녀를 돕는 기능적 결속감, 자녀가 부모를 돕는 기능적 결속감, 애정적 결속감, 일치적 결속감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전국 노인 2,064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규범적 결속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병원치료 선택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부모가 자녀를 돕는 기능적 결속감이 높을수록 죽음을 선택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줄어들었다. 반대로, 자녀가 부모를 돕는 기능적 결속감이 높은경우에는 호스피스를 선택할 가능성이 증가하고 적극적 병원치료와 대체의학을 선택할 가능성은 줄어들었다. 애정적 결속감이 높을수록 죽음 선택 가능성이 높아지고 대체의학 선택가능성은 낮아졌다. 마지막으로, 일치적 결속감이 높을수록 대체의학을 선택할 가능성은 높아지고, 호스피스를 선택할 가능성은 낮아졌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노인이 성인자녀와 갖는관계가 생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연명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학생의 마음건강 향상을 위한 학교 기반 통합지원체계 개관: 심리학자의 역할과 방향 제안

        어유경,도례미,강지현 한국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3 No.4

        학생의 마음건강 문제는 나날이 악화되고 있고 이런 실정은 학교 현장의 어려움으로 이어지고 있다. 학생 시기의 심리적 문제는 성인기의 정신건강 문제와도 직결된다는 사실을 생각해 볼 때 학생의 마음건강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된다. 또한 학교는 학생들이 시간을 가장 많이 보내는 곳이고 교사는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자원이라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학교와 교사를 통한 개입요소의 적용은 여러 의미에서 효과적이다. 본 논문의 저자들은 지난 3-4년에 걸쳐, 교육행정기관과 협업하여, 학교 장면에서 가장 호소가 많은 학생들의 주의력 및 충동적 행동 문제에 대해 학교와 교사 및 학부모가 유능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관련 집합교육 및 다양한 방식의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또한 늘어나는 아동 청소년 자살 및 자해 사안에 대한 학교의 대처 유능성을 높이고 전문상담(교)사의 역량을 강화하며, 안전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찾아가는 전문위원단’ 활동을 통해 위기 학생이 발생한 학교 현장으로 전문가들이 파견되어 다차원적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는 한편 반복적 사례관리를 실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업에 대한 설명과 함께, 심리학자로서 학교 기반 지원 체계와 어떤 협력적-통합적 모델을 구축해 나갈 수 있는지 생각해 보고 추후에 더 많은 심리학자들이 훈련받은 경험과 지식으로 학교현장과 협업할 수 있는 근거가 되고자 하였다. The mental health of students is deteriorating at an alarming rate, presenting substantial challenges within educational settings. Given the well-documented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mental health and long-term adult mental health outcomes, it is crucial that these issues not be overlooked. Schools, as the primary settings where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and teachers, as trusted resources, provide a meaningful and effective context for interventions. Over the past 3-4 years, the authors of this paper have collaborated with educational administrative bodies to provide group training and various consulting methods, enabling schools, teachers, and parents to competently address prevalent issues, such as student attention deficits and impulsive behavior. Furthermore, to enhance schools’ capacity to manage the rising incidence of suicide attempts and self-harm, and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chool counselors while ensuring a safe educational environment, a “Visiting Expert Task Force” was deployed to schools experiencing crises, delivering therapeutic interventions on-site. This program dispatches professionals to schools experiencing crises, providing multidimens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ongoing case management to improve school response capabilities, enhance the skills of school counselors, and ensure a safe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paper describes these initiatives and considers how psychologists can establish collaborative and integrative school-based support models, with the ultimate goal of equipping more psychologists to collaborate in school settings based on their trained expertise and knowledge.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선호 임종장소와 결정요인 분석

        어유경,고정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8

        현대사회의 고도화된 의료기술로 갑작스런 죽음보다 서서히 진행되는 죽음이 증가하고 있고, 이 같은 현상은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자연스럽게 증가시켰다. 웰다잉의 주요 요소가 자기결정권과 임종장소임을 고려한다면, 노인이 선호하던 장소에서 죽음을 맞을 수 있는 권리도 중요하다. 이러한 권리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노인들이 어떤 임종장소를 선호하며, 이러한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할 필요가 있다. 연구를 위해 2019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전국의 만 65세 이상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건강한 노화 및 웰다잉」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많은 응답자가 선호한 임종장소는 자택(37.7%)이었으며, 일반병원(19.3%), 호스피스 기관(17.4%), 요양병원(13.1%), 장기요양시설(12.5%) 순으로 뒤를 이었다. 각 선호결정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낸 자택을 기준으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노인의 연령, 건강, 경제상태, 거주도시 유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후 2025년이면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전망되는 우리나라 인구구조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당사자 입장에서의 선호 임종장소와 그 영향요인을 탐색하여 웰다잉을 지원하고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웰다잉과 관련된 산업기술의 방향성에 대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there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s where the progress to death is slow compared to the instances of sudden death. This phenomenon has naturally increased social interest in well-dying. Considering that the main elements of well-dying ar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place of death, the right of the older persons to die in their preferred place is also important. To support these right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choices for the place of death of the older people in Korea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preferences. In relation to well-dying, the preferred place of death of older adults in Korea was investigated, and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each preference decision were explored. For this study, a nationwide survey "Healthy Aging and Well-Dying of the Older Adults" was conducted on 1,500 adults over the age of 65 living in local communities in 2019,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used for analysis. The most preferred place of death by the respondents was home (37.7%), followed by hospitals (19.3%), hospice care institutions (17.4%), nursing hospitals (13.1%), and nursing homes (12.5%).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ge, health, economic status, and types of the region of residence of older adul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references. Korea faces a demographic crisis and is expect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by 2025.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thus provide clues about how to support well-dying by exploring the preferred place of death and its determinants from the perspective of older adults and about the dir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related to the well-dying of the older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 KCI등재

        정서억제가 친밀한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

        어유경,박수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on satisfact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strual on the relationship. The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on reported degre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participants currently involved in in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examined (N=100). Emotion suppres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Howev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simple slope analysis, to examine the specific interaction pattern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intimate relational satisfaction between participants with low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those with hig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 other words, when individuals reported low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the more they suppressed their emotions in intimate relationships, less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reported. Whereas previous studies conducted with Koreans failed to examine the significant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on individuals’ adjustment,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for Korean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억제가 개인의 친밀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때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인 중 현재 연인 또는 부부 등 친밀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20~40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N=100). 연구 결과, 정서억제는 대인관계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가지지는 못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상호의존적 자기구성개념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단순기울기(simple slope)검증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 본 결과, 상호의존적 자기구성개념이 낮은 집단의 경우 정서억제에 따른 관계 만족도 차이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즉, 상호의존적 자기구성개념이 낮은 경우 정서억제를 많이 할수록 낮은 관계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외 연구 결과와 상충되었던 기존의 국내 연구결과와 달리 정서억제는 상호의존적 자기구성개념과 상호작용할 때 친밀한 대인관계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는 의의를 가진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정서억제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때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에 대한 함의와 함께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노인의 우울 대처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시 거주 도시 노인의 우울 대처 경험을 중심으로

        어유경,고정은,김순은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qualitatively what kind of coping strategy the Korean older adults use when they are depressed and why. Participants were users, older than 60, of an elderly welfare center in Seoul, and answers of 34 respondents who experienced depressio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trategies to cope with depression used by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6 domains and 11 sub-domains: health behavior (medical approach / exercise and diet), family and social contact (social interaction / going out and going on a trip / communication with family), Religious activities (Religious activities), lifelong education (hobbies / educational activities), productive activities (labor), health risk behaviors (drinking and gambling / resignation). The depression coping strategies of the older adult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older adults used diverse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to cope with depression. Second, older adults considered various coping strategies together and used them simultaneously. Third, the facility space for older adults functions as a shelter. Fourth, although there were cases where medical approach was used, the intention to reuse was very low.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help older adults cope with depression more successfully. First, access to various coping strategies should be promoted. Second, more places where older adults can spend their time comfortably need to be provided. Third, resistance to mental health care should be resolved.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도시 노인들이 우울을 겪을 때 어떤 대처 전략을 사용하는지, 그 이유와 맥락은 무엇인지에 대해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한 노인복지관의 60세 이상 이용자와 미 이용자이며, 이 중 우울을 경험한 34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이 사용했던 우울 대처 전략은 크게 6가지 영역과 11가지 하위영역-건강 행동(의료적 접근/운동 및 섭식), 가족 및 사회적 접촉(사회적 교류/외출 및 여행/가족과 소통), 종교 활동(종교 활동), 평생 교육(취미 활동/교육 활동), 생산적 활동(노동), 건강 위험 행동(음주 및 도박/체념)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우울 대처 전략과 그 맥락에서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울에 대처하기 위해 노인들은 문제 중심(problem-focused)의 대처 전략들을 사용하였다. 둘째, 다양한 대처 전략을 함께 고려하고 동시에 사용했다. 셋째, 노인을 위한 시설공간은 쉼터 혹은 피난처로서 기능하였다. 넷째, 의료적 접근을 사용한 사례도 있으나 재이용 의향은 매우 낮았다. 이 연구를 통해 노인들이 우울에 보다 성공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한 대처 전략의 접근성을 증진해야 한다. 둘째, 노인이 편안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들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정신건강 치료에 대해 느끼는 부담감을 해소시켜야 한다.

      • KCI등재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rauma Narratives across Asian and European Americans: Effects of Implicit Audience and Ethnic Identity

        어유경,Leslie R. Brody,박수현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0 No.4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emotional expression carries different meanings for different people depending on eth- nicity and the context of measuring emotional expressivenes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thnicity, implicit audience, and ethnic identity on emotional expressiveness. We collected data from 136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68 East Asian Americans and 68 European Americans). Self-disclosure, emotional expressivity, and ethnic identity were also assesse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about their traumatic experiences. For half of the participants, their ethnic identity was primed before writing the essays. Within each of the two conditions,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imagine that their own ethnic group would read their narratives, whereas the other half were asked to imagine that another ethnic group would read theirs. A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Contrary to expectations, Asian Americans expressed more pride and sad words in their narratives, and more sadness in the ingroup condition than European Americans. Across both ethnic groups, participants with higher ethnic identity expressed less affect and positive emotions. Ethnic identity prim- ing did not affect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findings indicate that cultural differences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re complex, with ethnic identity, participants’ ethnicity, and ethnicity of the implicit audience assuming significant roles.

      • KCI등재

        정서억제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

        어유경,최지영,박수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3

        A majority of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ultures suggest that emotion suppression has a negative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However,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such negative effects may differ depending on one’s self-constru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suppression on physical and depressive symptoms and to determine if self-construal moderates this effect in a community adult sample in Korea. Results demonstrated that emotion suppression significantly affected participants’ physical as well as depressive symptoms. Independent self-construal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sup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Whereas previous studies conducted with Koreans failed to examine the significant effect of emotion suppression on individuals’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emotion suppression in Koreans. The results highlight the role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in explaining the effect of emotion suppression on physical health. 정서억제가 개인의 신체증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이 때에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성인 한국인(N=201, 여: 148, 남: 53)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정서억제, 신체증상, 자기구성개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서억제는 신체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는데 높은 정서억제 경향은 신체증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억제와 신체증상과의 관계에서 독립적 자기구성개념의 경우에만 유의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단술기울기 검증(slope analysis)을 통해 상호작용의 양상을 살펴 본 결과, 독립적 자기구성개념이 평균에서 1 표준편차 이상 높은 경우에만 조절효과가 유의했다. 이는 독립적 자기구성개념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에만, 정서억제를 할수록 더 많은 신체증상을 보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 결과는 정서억제에 대해 일관되지 않던 기존의 국내 연구결과와 달리, 한국인도 정서를 억제할수록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고, 특히 이 때 개인이 두드러지게 보이는 자기구성개념의 종류나 그 패턴에 따라 정서억제가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