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창조와 존재: 창조된 존재와 창조되지 않은 존재의 관계 고찰 -『권능론』 제3문제 제1절과 제3절 본문들을 중심으로-

        양혜정 ( Hye Jeoung Yang ) 한국중세철학회 2009 중세철학 Vol.0 No.15

        토마스 아퀴나스는 `창조된 존재`(esse creatum)와 신의 `창조되지 않은 존재`(esse increatum)가 가지는 완전성의 존재 방식(modus)들을 논의한다. 그리고 두 존재 완전성 방식 사이의 관련성을 철학적으로 논의하고자 시도한다. 토마스는 이런 논의를 합당하게 전개하는 데에,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능태-현실태 의미 규정을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본 글은 이런 토마스의 논의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9권에 나타난 가능태-현실태의 의미 규명, 그리고 그 의미들을 적용시킨 토마스의 『권능론』 일부 본문들을 분석해 보았다. 토마스는, 특히 역동적인 의미로서 현실태를 존재의 의미로 적용함으로써, 존재의 보다 내적인 의미 규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존재의 내적인 의미라는 측면에서 존재의 충만성을 사유하는 방식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현실태 의미의 충만성이 신으로부터 야기된 의미 충만성이라는 측면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창조된 존재로서의 의미를 신과의 관계 속에서 제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논하고자 하였다. 토마스는 가능태-현실태의 의미 적용을 통한 일련의 논의들을 신플라톤주의로부터 영향 받고 있다. 그러나 의미 적용에 있어서는 신플라톤주의보다 더 엄격하며 아리스토텔레스적이다. 비록 그 의미 적용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유 범주를 넘어서는 것이라 할지라도 그러하다. 토마스는 두 존재 완전성의 방식을 구분하면서, 신 존재 완전성 사유에 도달하는 도정을 가리키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했다. 토마스의 논의는 공통 존재자와 신에게 각각 적용되는 현실태 존재 의미를 통해서 창조된 존재와 창조되지 않은 존재가, 존재 부여받는 자와 존재를 부여하는 자라는 특별한 관계와 차이를 갖는다는 사실에 도달한다. 존재를 창조된 존재자와 창조되지 않은 신에게 적용하는 각각의 방식을 통해, 토마스는 존재 형이상학의 주제로서 존재를 넘어서 신 존재에 관한 철학적 방식을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에 도달한다. 그리고 신의 존재는 신의 실체와 동일한 완전성을 지닌다는 신 존재 완전성에 대한 철학적 논증을 할 수 있는 길을 찾는다. 이러한 관계 방식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만들어져 수용된 존재, 즉 작용자로부터 만들어진 것에게 부여된 존재로서 `창조`(creatio)를 이해할 수 있음을 논증하려 한다. 우리는 창조를 운동의 끝 즉 존재가 시작된 것, `존재의 시작`이라는 명칭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명칭에 따라 창조는 `존재가 명시적으로 현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존재의 시작`의 명칭상 의미가 존재를 부여한 창조주와 피조물이 맺는 관계를 지시한다. 토마스의 이러한 창조의 명칭을 고찰하는 방식을 통해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를 논증적으로 언급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자 하였다. Thomas discusses each perfection`s mode(modus) of `esse creatum` and God`s `esse increatum`. Furthermore, he intends to explore philosophical discussion for their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modes of perfection in the two `esse`. In developing his discussion properly, Thomas means to apply Aristotle`s semantic terms of `potentiality and actuality` to his theory. In order to bring to light what Thomas is discussing, this treatise aims at analyzing Thomas` implications of the potentiality and actuality in some passages in De potentia in parallel with Aristotle`s implications of potentiality and actuality in the book 9 of Metaphysics. Specifically applying actuality to the meaning of `esse` to the more dynamic effect, Thomas proposes more internal implications of `esse`. In addition, through such a proposal, he means to reach a way of thinking the fullness in light of internal implications of `esse`. He emphasizes that such a fullness in a sense of actuality has the aspect of the fullness caused by God. Therefore, he maintains that the meaning of `esse creatum` can be illumined in its relationship with God. As for Thomas, a series of his discussions about his application of `potentiality-actuality` are influenced by Neoplatonism. However, in my interpretation, his semantic application is stricter than Neoplatonism; his application is rather closer to Aristotle`s thought even though his thought is already beyond the category of Aristotle`s thought. This paper shows that Thomas is indicating the way to the thought of the perfection in God`s being. Thomas` discussion concludes that, through different meaning of actuality applicable to `ens commune` and `God`, `esse creatum` and `esse increatum` differs in that, in their special relationship, the former is what receives `esse` whereas the latter is what gives being. In each way of applying `esse` to created being and uncreated God, Thomas attains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reflection on God`s being beyond the usual way of previous handling the `esse`-theme in the field of metaphysical ontology. And he is searching for a philosophical way to demonstrate God`s perfection which implies that God`s `esse` has the same God`s perfection as God`s substance. This paper shows that, owing to this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two modes, we can understand that `creatio`(creation) is `esse` which is made and accommodated, in other words, `esse` which is imparted to a made thing by the Operative Actor. We only understand that creation is the end of motion, so to speak, in which being has begun. According to the name, creation can signifies a `clear manifestation of `esse`. The meaning of the name-`inceptio essendi`(the beginning of being)-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ure and the Creator who imparts `esse`. Therefore, Thomas reminds us of the fact that, in taking the name of creation into our account, we can remark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or and creature in a demonstrative way.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현실태 해석과 응용 -현실태와 존재-

        양혜정 ( Yang¸ Hye-jeou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5

        본 글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존재’에 현실태가 가지는 지시적 의미를 적용하고자 한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의미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현실태(에네르게이아)라는 말은 행위로부터 파생된 것이며, 완전성인 현실태(엔텔레케이아)를 의미하고 지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실태는 행위의 완성(완료)을 지시한다. 그리고 완성은 충만한 능력으로서 역동성을 함축한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와 같은 이해를 ‘존재’에 적용시켰다. “존재는 모든 현실태 중의 현실태요 그 때문에 모든 완전한 것 가운데 완전성이다” (『권능론』 제7문제 제9이론의 해답). 존재는 현실태(energeia)와 완전성(entelecheia)로서 언급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현실태의 의미적 지시에 따르면, 존재는 단지 존재함의 완성을 향한 과정이 아니라, 존재함 그 자체로 목적에 도달한 것이다. 존재는 존재의 행위이며, 동시에 존재의 완성인 것이다. 이렇게 토마스가 현실태를 재해석하고 존재에 적용할 이유는 철학적이면서, 신학적이다. 전자에 따라, 토마스는 우리가 과연 고착화되고 고정적인 의미를 초월하도록 촉구하는 존재를 가지는지, 그리고 그 존재가 역동성을 지시하는 현실화인지를 성찰하도록 한다. 후자에 따라서는 이러한 역동적인 존재에 대한 성찰만이 신과의 관계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신학적인 의미에서 존재 성찰은 우리 편에서 최고의 역동성으로서 신 존재를 지향해 가도록 촉구하는 것이다. 현대인들이 가지는 것에 못지않은 무거운 문제들로 둘러싸여 있었을 13세기에, 토마스는 시대 이상을 넘을 수 있고, 최고의 역동성인 신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을 존재 완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토마스에게 그것은 ‘지금 여기 있음’으로서 존재의 완전성을 사유하고 통찰하는 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little further into application of actual signification to ‘esse’ in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light of Thomas Aquinas. According to Aristotle, “The word ‘actuality’ is derived from ‘action’, and points to the fulfillment(entelecheia)”. Therfore ‘energeia’ indicatively signify fulfillment of action. And fulfillment, that is ‘entelecheia’, implicates ‘potentia’, namely full power. Thomas Aquinas applicated this signification to ‘esse’. In pot. q.7, ad.9, he said, “esse est actualitas omnium actum, et propter hoc est perfectio omnium perfectionum.” What is important in this context is that the term ‘esse’ is written as ‘actualitas’(energeia) and ‘perfectio’(entelecheia). According to sense of actuality, ‘esse’ is not only the process for perfection of being, but also the end of perfection of being. In other words, ‘esse’ is both action(actualitas) and perfection of being. In my view, Thomas Aquinas’s this relation of adaptation between ‘esse’ and ‘energeia’ was resulted from his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basis. In the former point of view, Thomas asks us “truly have we ‘esse’ to transcend a fixed mean?” and “does the ‘esse’ signify ‘potentia’ related to ‘actualitas’?”. In the latter point of view, he tells us that reflection on ‘esse’ which signifies ‘potentia’ only helps us to approach the God. Namely, This recovers relation between us and the God. In theological light, reflection on ‘esse’ urges us to approach the God that is the highest potentia. Thomas Aquinas who lived in 13 century suggests to us who live today perfection of ‘esse’ that we are able to unite with the God in meditation on ‘esse.’ According to Thomas Aquinas, that is ‘now here being’ which is way thinking and discerning perfection of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