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사의 성인애착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고승연(Gho, Seung Youn),양혜정(Yang, Hae Chung)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성인애착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 경상, 강원지역 병원 간호사 2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친밀관계 경험척도 개정판(ECR-R), 직무소진 척도(MBI),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SC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Mplus 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직무소진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자기자비, 자기자비와 직무소진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회피애착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불안애착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사의 직무소진 완화를 위해 안정적인 성인애착과 자기자비를 촉진하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in the process of adult attachment affects burnout among nurses. Data from 217 hospital nurses working in Seoul, Gyeonggi, Gyeongsang, and Gangwon Provinces were analyzed. The measures used were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R(ECR-R), Maslach Burnout Inventory(MBI), and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SCS). SPSS 22.0 and Mplus 7 programs were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was conducted for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burnout,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self-compassion, and between self-compassion and burnout. 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burnout,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burnou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terventions targeted to promote secure adult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can be effective for reducing burnout among nurs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김윤정(Kim, Yun Joung),양혜정(Yang, Hae Chung)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심리내적 변인인 자기성찰과 부부 상호작용 변인인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의 결혼기간 30년 이하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분화경험 척도, 부부친밀감 척도, 자기성찰 척도, 부부갈등 대처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Hayes(2017)가 제안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부부친밀감은 연령, 학력, 결혼기간, 종교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원가족 분화경험은 부부친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부부관계 맥락에서 자기성찰의 역할과 원가족 분화경험과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 및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기혼여성들에게 원가족에서의 정서경험과 자신과 배우자에 대해 깊이 이해하도록 하며 보다 적응적인 부부갈등 대처행동을 증진하는 개입이 부부친밀감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0 married women with less than 30 years of marriag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2017)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rital intimacy perceived by married women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ir age, education, marriage duration, and religious status, and the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arital intimacy. Further, 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fl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 of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was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self-reflection in the context of marital relationships, which have rarely been studied, and found the mediation effect of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The results imply that the interventions promote deep understandings of married women’s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their spouses and themselves in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more adaptive conflict coping behaviors w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their marital intimacy.

      • KCI등재

        미혼 초기성인의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

        이솔아(Sol Ah Lee),양혜정(Hae-Chung Yang)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4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을 탐색적으로 도출하여 1인 가구의 증가와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확산으로 홀로 있는 시간이 증가하는 사회적 배경 속에서 미혼 초기성인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18~39세 미혼남녀 63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한 결과 3개의 계층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그 형태에 따라 ‘높은 적응 비외로움’, ‘중간 적응’, ‘낮은 적응 고독’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집단의 적응도가 낮아질수록 외로움,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졌고,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의 경우 ‘높은 적응 비외로움’과 ‘낮은 적응 고독’ 집단 간 차이만 유의하였다. 나아가 계층 간에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문제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BCH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높은 적응 비외로움’ 집단은 세 집단 중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대인관계문제 수준은 가장 낮았다. ‘중간 적응’ 집단은 ‘낮은 적응 고독’ 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과 하위척도 중 자신감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낮은 적응 고독’ 집단은 세 집단 중 가장 낮은 자기효능감을 보고하였고, 가장 큰 대인관계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개인의 특성에 따라 내담자의 외로움의 경험과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차별화된 상담방식을 설정하는 데 기반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potential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neliness, adult attachment, and motivation for solitude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early unmarried adults in a social background where time alone increases due to the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 and spread of non-face-to-face communi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633 unmarried early adults aged 18-39. As a result of conducting a latent profile analysis(LPA), three classes were the most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form, they were named as ‘high adaptation non-loneliness’, ‘medium adaptation’, and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s. The lower the group’s adapt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lonelines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non-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In the case of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 and the ‘high adaptation non-loneliness’ group was significant. Furthermore, BCH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 adaptation non-loneliness’ group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self-efficacy and was experiencing the lowest level of interpersonal problems. The ‘intermediate adapt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elf-efficacy and confidence among the sub-scale than the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Finally, the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 reported the lowest level of self-efficacy and was found to be experiencing the greatest interpersonal problem among the three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setting up a differentiated counseling method that can intervene in the client’s experience of lonelines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counseling field.

      • SCIE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