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영교도소에서 실시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양혜경,서보람 한국교정학회 2016 矯正硏究 Vol.- No.71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prisoners in a private penitentiary. As measuring tool, this study used emotional evaluation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d self-esteem.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on the prisoners for music therapy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were changed in a positive wa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for the prisoners’ self-esteem, the average score of post-test turned out higher than that of pre-t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isoners made positive expressions for the participatory experience in the music therapy program. The present study derived implications for practical use and policy design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s that music therapy program be provided and diversified to relax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tension of the prisoners in a private penitentiary. 본 연구는 민영교도소에 수감 중인 수형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는 정서평가(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와자아존중감이었으며,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형자를 대상으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 결과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의 경우 사후검사가 사전 검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두 검사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형자들은 음악치료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해 긍정적으로 표현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민영교도소에서음악치료 프로그램 등 심리・정서적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 확대와 프로그램의 다양화 노력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 KCI등재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분석 연구

        양혜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1

        연구는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중재 연구논문을 분석한 문헌분석 연구이다. 연구대상 논문은 Pubmed 등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심뇌혈관질환”, “중재” 등의 검색어를 적용하여 최종 18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대상 문헌에서의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 선정기준은 주로 신체생리학적 기준이 이용되었고, 신체활동과 식습관 생활습관 영역을 중재한 프로그램이 많았다. 중재유형은 교육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여러 중재를 병합하여 적용하는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기간은 평균 22주 이상의 장기개입이 많았고, 중재효과를 측정하는 효과지표는 신체생리학적 지표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생활습관의 상호관련성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기 위한 환경 및 사회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 클러스터 교육과정의 성과 및 과제 : 보건 교과목 고등학생의 참여경험

        양혜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본 연구는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경험을 통해 클러스터 교육과정의 성과 및 과제를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연구결과 ‘경쟁적 환경에서 최선의 선택’, ‘보건에 대한 인식의 변화’, ‘다양한 보건세계에 대해 경험해 보고 싶은 욕구’, ‘비정규 교과과정 운영의 한계’, ‘기분 좋은 상상을 하게 됨’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클러스터 교육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보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보건의료계열에 대한 정보습득 을 통해 진로의 방향설정 및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는 성과는 있었으나, 수업운영 및 실습을 포함한 보건 의료의 세부전공에 대한 교과내용의 보완은 개선해 나가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성과 및 과제를 공유함으로써 진로교육의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cluster curriculum through the experi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cluster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topics such as Best Choice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Change in Health Perception, Desire to Experience Various Health Worlds, Limits in Non-regular Curriculum Operation, and Feel Good Imagination were derived. Through this stud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uster curriculum changed their perception of health positively, and confidence in career sett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was improved through acquiring information on health care. However, supplementing the curriculum content in the specialized fields of health care, including classes and practice, was found to be a task to be improved. It is suggested that policy alternatives for care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by sharing the achievements and tasks raised in this study.

      • KCI우수등재

        국내 장애인 체육센터 수중재활운동 실태 분석

        양혜경,전현도,이규진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인 체육센터의 수중재활운동의 시설 및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한국의 장애인을 위한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건립 지원을 확정한 전국 장애인 체육센터(반다비체육센터) 77 곳 중 개관하여 정식 운영 중인 9곳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중재활운동 운영 및 시설 현황,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 및 문제점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장애인 체육센터에 수영장 시설을 가지고 있는 장애인 센터는 77.8% 로 장애인을 위한 수중재활운동을 하기 어려운 일반 수영장 형태를 취하고 있는 곳이 대부분이었다.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 운영 주체에 따라 장애인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고, 장애인을 위한 제한적인 프로그램의 형태가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우선 장애인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애인 수중재활운동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과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을 위한 시설과 행정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ilities and programs of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in domestic sports center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ropos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To this end, among the 77 national sports center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Bandabi Sports Center) that have confirmed construction support, data were collected from 9 that were opened and officially operated, and the status of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operation and facilities,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s, and problems were investigated.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standard. As a result, 77.8% of domestic sports center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swimming pool facilities, and most of them are in the form of regular swimming pools, which make it difficult to provide water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ase of the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the form of the program consideri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rogram instructor, and the limited form of the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ppeared to be a problem.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direction of the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first presented. In addition, the need to train instructors specified to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provision of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