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인식한 잡무경감 저해요인 탐색

        양해민 ( Yang Hae Min ),고재천 ( Koh Jae Che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인식한 잡무경감 저해요인이 무엇인지를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잡무 경감을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하여 진술문 목록을 개발하고 이를 평정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인식한 잡무경감 저해요인은 학교차원과 행정차원이라는 2개 차원과 ‘관리자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 ‘상급기관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 ‘행정사무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 ‘교사업무과중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 ‘지역사회연계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라는 5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인식한 잡무경감 저해요인의 중요도는 군집별, 차원별로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초등학교 학급 담임교사의 업무에 따른 잡무경감 저해요인들은 학교 차원과 행정 차원에 의해 관리자, 상급기관, 행정사무, 교사업무, 그리고 지역사회연계에 따라 다양한 잡무경감 저해요인들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은 학교 내부의 행정주체인 관리자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used concept mapping method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hinder the reduction of trivial works. 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ideas were reduced to 48 statement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 were able to subtract from a two-dimensional 5-cluster concept ma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a trivial work reduction hindrance factor in the ‘school-administration’ dimensions. Furthermore, 5 clusters were deducted from the factors that hinder trivial work reduction: hindrance from school administrators, hindrance from higher rank authorities, hindrance from school administration work, hindrance from teacher work overload, and hindrance from local communities’ connections. Second, the ratings from the 5 clusters revealed that the average of each clust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other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rivial work reduction hindrance factor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factors.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hindrance from school administrator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의 위턱굴바닥과 이틀돌기의 형태계측학적 분석

        양해민(Hae-Min Yang),유선경(Sun-Kyoung Yu),이명화(Myoung-Hwa Lee),김성훈(Seong-Hoon Kim),김승희(Seung-Hee Kim),김흥중(Heung-Joong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3

        임플란트 식립과 위턱굴 거상술 시 위턱굴바닥의 형태와 이틀돌기의 높이에 대한 이해는 성공적인 시술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위턱굴바닥의 형태와 이틀돌기와의 관계를 계측, 분석하여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상 치아를 가지고 있는 해부학 연구실습용 시신 29구(남 18구, 여 11구)의 위턱을 이용하였다. 사망 시 연령은 40~90세였으며 평균연령은 59.9세였다. 위턱뼈 절편을 코안 바닥의 높이와 평행하게 절단한 후, 치아장축에 평행하게 첫째작은어금니, 둘째작은어금니, 첫째큰어금니, 둘째큰어금니의 가운데 부위를 절단하였다. 각 절편의 절단면을 스캐너(HP Scanjet G4050)로 스캔한 다음, 얻어진 영상을 Adobe Photoshop CS3에서 0.01 ㎜ 수준까지 계측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및 상관계수(r)를 구하였다. 위턱굴바닥의 너비는 첫째작은어금니, 둘째작은어금니, 첫째큰어금니, 둘째큰어금니 순으로 7.87±3.04 ㎜, 11.05±4.40 ㎜, 13.21±4.78 ㎜, 12.47±4.32 ㎜였다. 위턱굴바닥의 깊이는 첫째작은어금니, 둘째작은어금니, 첫째큰어금니, 둘째큰어금니 순으로 -3.74±4.57 ㎜, -4.77±4.80 ㎜, -4.84±4.69 ㎜, -4.19±6.24㎜였다. 이틀돌기의 높이는 첫째작은어금니, 둘째작은어금니, 첫째큰어금니, 둘째큰어금니 순으로 19.02±3.36 ㎜, 15.71±4.44 ㎜, 13.59±3.22 ㎜, 12.50±2.99㎜였다. 위턱굴바닥의 너비와 이틀돌기의 높이 사이의 상관계수(r)는 치아순으로 각각 0.342, 0.631, 0.602, 0.543으로 상관관계가 낮았다. 위턱굴바닥의 깊이와 이틀돌기의 높이 사이의 상관계수(r)는 치아순으로 각각 0.808, 0.899, 0.789, 0.805로, 위턱굴바닥의 깊이가 깊을수록 이틀돌기의 높이도 낮아지는 결과를 보여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한국인의 위턱굴바닥은 첫째큰어금니에서 가장 깊고 넓었으며, 이틀돌기의 높이는 둘째 큰어금니에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계측 결과는 임플란트 식립과 위턱굴 거상술 시 위턱굴바닥에 대한 중요한 해부학적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e implant placement and sinus floor elevation on maxillae have required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maxillary sinus floor and alveolar proc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xillary sinus floor morpholog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axillary sinus floor and alveolar process in Korean. Twenty-nine cadaveric maxillae with normal teeth were used, with age at death ranging from 40 to 90 years (mean: 59.9 years). After the maxilla was cut above the nasal cavity floor, it was sectioned at midline of the tooth from 1st premolar to 2nd molar by parallel to long axis of the tooth. The specimens were scanned using the Scanner (HP Scanjet G4050). The scan image was measured using Adobe Photoshop CS3 at the 0.01 mm. Mean, SD, and correlation coefficient (r) were took using SPSS. The width of maxillary sinus floor at nasal cavity floor level was 7.87±3.04 ㎜ at 1st premolar (P1), 11.05±4.40 ㎜ at 2nd premolar (P2), 13.21±4.78 ㎜ at 1st molar (M1), and 12.47±4.32 ㎜ at 2nd molar (M2). The depth of maxillary sinus floor at nasal cavity floor level was -3.74±4.57 ㎜, -4.77±4.80 ㎜, -4.84±4.69 ㎜, and -4.19±6.24 ㎜ at P1, P2, M1, and M2, respectively. The height of alveolar process bone was 19.02±3.36 ㎜, 15.71±4.44 ㎜, 13.59±3.22 ㎜, and 12.50±2.99 ㎜ at P1, P2, M1, and M2,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the width of maxillary sinus floor and the height of alveolar process was 0.342, 0.631, 0.602, and 0.543 at P1, P2, M1, and M2, respectively, which were lack of correlat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the depth of maxillary sinus floor and the height of alveolar process was 0.808, 0.899, 0.789, and 0.805 at P1, P2, M1, and M2, respectively. It represented that the deeper the depth of maxillary sinus floor, the lower the height of alveolar process was. In conclusion, the maxillary sinus floor in Korean was the deepest and the widest at M1, and the height of alveolar process was the lowest at M2. This result provided useful anatomic information about maxillary sinus floor for the implant placement and sinus floor elevation.

      • 이온성 액체 기반의 고분자전해질을 이용한 차세대 전기화학소자

        이동희 ( Dong Hui Lee ),양해민 ( Hae Min Yang ),이근형 ( Keun Hyung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16 공업화학전망 Vol.19 No.6

        고분자전해질은 배터리, 수퍼커패시터, 액추에이터, 센서 등 다양한 전기화학 소자에 적용이 가능한 소재로, 최근 기존 고분자전해질의 한계점인 낮은 이온전도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온성 액체 기반의 고분자전해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온성 액체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열적, 전기화학적 안정성과 고분자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보유한 젤 상태의 고분자전해질인 이온 젤은 차세대 플렉시블, 웨어러블 소자들에 적용되어 연구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이온성 액체 기반의 고분자전해질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소자들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혈변을 동반한 대장의 원발성 아밀로이드증 1예

        권용환 ( Yong Hwan Kwon ),김지연 ( Ji Yeon Kim ),김지훈 ( Ji Hun Kim ),박현우 ( Hyun Woo Park ),양해민 ( Hae Min Yang ),전성우 ( Seong Woo Jeon ),김성국 ( Sung Kook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9 No.1

        Amyloidosis is characterized by a deposition of insoluble fibrils in various organs and tissues. Amyloid deposi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k, provokes a dysfunction of the organ, due to an accumulation of fibrils, and causes a variety of clinical symptoms and endoscopic findings. Primary amyloidosi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s rarely reported in Korea. We experienced a case of recurrent intestinal bleeding, in a 59-year-old female patient with primary amyloidosis. A colonoscopy revealed the presence of multiple large circular ulcers. In the entire colon, diffuse nodular lesions with edema and bleeding were found. A colonoscopic biopsy established the diagnosis of amyloidosis, to the exclusion of other disease components. We concluded that the patient had localized amyloidosis. Though a definitive therapeutic strategy has not been established for localized gastrointestinal amyloidosis, the patient has been successfully treated with a high-dose of steroids and azathioprine. (Korean J Gastroenterol 2012;59:44 -47).

      • SCOPUSKCI등재

        간세포암종의 고주파 열 치료 후 발생한 장-농양 누공에 대해 Histoacryl 색전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김지연 ( Ji Yeon Kim ),권용환 ( Young Hwan Kwon ),이상직 ( Sang Jik Lee ),장세영 ( Se Young Jang ),양해민 ( Hae Min Yang ),전성우 ( Seong Woo Jeon ),권영오 ( Young Oh Kweon ) 대한소화기학회 201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8 No.5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t neoplasms occuring worldwide. Although surgical resection still remain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HCC, radiofrequency ablation (RFA) has emerged as reliable alternatives to resection. It is less invasive and can be repeated after short intervals for sequential ablation in case of multiple lesion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RFA is liver abscess, and bile duct injury such as bile duct stricture has been reported. This is a case report of a rare complication of abscesso-colonic fistula after RFA for HCC. The case was treated by 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and antibiotics and occlusion of abscesso-colonic fistula with n-butyl-2-cyanoacrylate emboliz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11;58:270-274)

      • KCI등재

        Nafamostat나 Gabexate는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후 췌장염을 예방할 수 있는가?

        권용환 ( Yong Hwan Kwon ),김지연 ( Ji Yeon Kim ),이상직 ( Sang Jik Lee ),장세영 ( Se Young Jang ),박현우 ( Hyun Woo Park ),양해민 ( Hae Min Yang ),정민규 ( Min Kyu Jung ),전성우 ( Seong Woo Jeon ),조창민 ( Chang Min Cho ),탁원영 ( 대한소화기학회 201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9 No.3

        목적: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은 담도 및 췌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 중요한 시술이나, 시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 중 췌장염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 약물학적 예방요법 및 시술 기법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예방적 약물요법에 있어 많은 약물들이 거론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쟁 중이며, 이번 연구에서는 많은 연구에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gabexate, nafamostat를 택해 대조군을 통해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 242명을 대상으로, 단순 검법과 무작위 대조군으로 나누어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후 췌장염 발생 여부에 관해 분석하였다. 결과: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후 췌장염 발생 빈도는 gabexate군 6.8%, nafamostat군 5.7%, 대조군은 6.2%로, 군에 있어 췌장염의 발생빈도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p=0.486).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후 급성 췌장염의 발생빈도에 대해서 성별, 연령 등에서도 의미있는 차이점을 발견하지 하였으나, 시술시 췌유두 괄약근 절개술, 췌관 삽관과 유두부 절제술은 췌담도 조영술 후 췌장염 발생 위험인자로 다시번 확인되었다. 결론: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후 급성 췌장염의 발생빈 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된 gabexate 및 nafamostat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ackground/Aims: ERCP is the most common procedur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bile duct and pancreatic disease, but Post-ERCP pancreatitis makes poor outcome in some cases. The protease inhibitors, nafamostat and gabexate, have been used to prevent pancreatitis related to ERCP, but there is some debate. We tri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gabexate and nafamostat for the prevention of post-ERCP pancreatitis. Methods: Two hundred forty two patients (73 patients in the gabexate group, 88 patients in the nafamostat group and 81 patients in the placebo group) were included in the study after selective exclusion. The incidence of pancreatitis after ERCP was compared among groups. Results: The incidence of pancreatitis were 6.8% in the gabexate group, 5.7% in the nafamostat group and 6.2% in the placebo group (p=0.954). Conclusion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 gabexate, nafamostat and placebo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