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를 대상으로 한 완벽주의 척도의 타당성 검증 : H-MPS, F-MPS, APS-R을 중심으로

        양태연(Tae-Youn Yang),한기순(Ki-Soon Han),박인호(In-Ho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17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를 대상으로 완벽주의 관련 연구를 시행할 때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완벽주의 척도 3개(H-MPS, F-MPS, APS-R)를 선정하여 과연 영재들에게 적합한 척도인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소재 대학부설과 학영재교육원 중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문항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측정도구 모두 영재들의 완벽주의를 설명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개의 측정도구 중에서는 APS-R(χ2 = 538.019(df=227, p=.00), TLI=.855, CFI=.870, RMSEA=.087)의 적합도가 다른 측정도구에 비하여 영재들의 완벽주의를 좀 더 설명을 잘 한다고 판단 할 수 있었으며, 영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H-MPS 측정도구의 적합도는 3개의 측정도구 중 가장 낮은 적합도(χ2=3102.554(df=942, p=.00), TLI=.410, CFI=.439, RMSEA=.113)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외국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완벽주의 척도가 국내의 중학생 영재들의 완벽주의를 측정하는데 부적합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영재들의 특성과 연령, 더 나아가 국내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완벽주의 척도의 문항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ree most widely used perfectionism scales (H-MPS, F-MPS, APS-R) for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180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attending at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y in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Item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three instruments were not suitable to explain perfectionism of gifted students. Among the three perfectionism scales analyzed, the fitness of APS-R( χ 2 = 538.019(df=227, p=.00), TLI=.855, CFI=.870, RMSEA=.087)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two scales. Interestingly, the fitness of the H-MPS, which is most widely used in the study for the gifted, was found to be the lowest fit ( χ 2 = 3102.554 (df = 942, p = .00), TLI = .410, CFI = .439, and RMSEA = .113), resp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fectionism scale developed for foreign university students might be inadequate to measure the perfectionism of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in Korea.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perfectionism scal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age of the gifted and the socio - cultural context of the domestic are needed.

      • KCI등재

        과학영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무기력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양태연(Tae-Youn Yang),한기순(Ki-Soon Han),박인호(In-Ho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7 No.3

        이 연구는 중등 과학영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공포를 매개로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대학부설 영재교육기관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중등 영재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이 87명, 중학교 2학년이 93명이었다. 기술통계 결과 자료의 정규성을 가정 할 수 있었으며,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나 부적응적 완벽주의에서 학업무기력으로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아서 이 경로를 제거한 후 모형을 수정하여 최종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최종모형의 적합도 또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보인 반면 실패공포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무기력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실패공포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무기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공포는 완전매개하고 있었으며 모두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등 과학영재의 학업무기력을 설명하는데 학업적 자기효능 감과 실패공포가 중요한 요인임을 밝힘으로써, 영재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영재들의 상담자료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helplessness i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fear of fail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middle school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a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ssume normality of the data, and most of the model fit indexes were acceptable. Results showed that our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fitted the data well based on the fit indices. But the path from maladaptive perfectionism to academic helplessness was not significant, thereby having removed this path and suggested the final model as the modified model. The final research model demonstrated a good fit for the data,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helplessnes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ear of failu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fear of failure on academic helplessness were found. Finally, academic self-efficacy and fear of failure were found to fully mediate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helplessness, and both of which show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shown academic self-efficacy and fear of failure to be very important factors in academic helplessnes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raits of the gifted and used for counselling gifted students.

      • KCI등재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영재교육원 선발문항 분석

        양태연(Tae-Youn Yang),박인호(In-Ho Park)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lection items conducted by the A university gifted education institute, this study analyzed the items based on the two - parameter logistic model of item response theory. The subjects were 37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pplied to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the A university. The analysis items used at 1 stage paper test consisted of 37 items (test tool 1: 16 items, test tool 2: 14 items, test tool 3: 7 items), and it is a test to measur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gifted. As a result of the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of the items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there were items that did not meet the ability level of the gifted students with large standard errors in the item difficulty were found in all of the test tools 1~3.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est tool 2 was the highest and the test tool 3 was the lowest. In the item discrimination, test tool 1 and 2 showed more than 60~70% of the appropriate items. However, test tool 3 showed the lowest overall sc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of question items in order to secure the adequacy and stability as a gifted selection item. And by needs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score ratios for test tool.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reliable and valid gifted selection test tools and items. 본 연구는 A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시한 선발문항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문항 반응이론의 2모수 로지스틱 모형에 근거하여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A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지원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문항은 1단계 지필검사에서 사용한 문항으로 총 37개 문항(검사도구1: 16문항, 검사도구2: 14문항, 검사도구3: 7문항)이고, 영재교육대상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를 산출한 결과 문항난이도에서는 표준오차가 큰 문항들이 있어 영재교육대상자들의 능력수준에 부합하지 않는 문항들이 검사도구1~3에 걸쳐 모두 나타났으며, 영재교육대상자들이 인식하는 난이도는 검사도구2가 가장 높았고 검사도구3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문항변별도에서는 검사도구1과 2는 적절한 문항들이 60~70%이상 나왔지만, 가장 배점이 높았던 검사도구3의 경우 문항변별도가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재선발문항으로서의 적절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출제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의 조절이 필요하며 결과에 따라 검사도구별 배점의 비율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뢰롭고 타당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검사도구 및 문항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영재 어머니의 심리상태 관찰을 위한 투사적 접근

        한기순(Han, Ki-Soon),태진미(Tae, Jin-Mi),양태연(Yang, Tae-Yo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1

        기존에 영재의 심리상태나 스트레스, 정서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영재부모의 심리상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왔다. 한편 영재의 주 양육자인 영재 어머니의 심리상태는 영재의 정서, 인지, 사회적 성장 발달을 위한 일상의 양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영재어머니의 심리상태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영재의 어머니들로 하여금 ‘현재의 나’ 에너지 파이 표기활동을 하게함으로써 영재 어머니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심리적인 에너지의 배분을 살펴보고 둘째, ‘바뀌고 싶은 나’ 에너지 파이 표기활동을 통해 영재의 어머니가 기대하는 변화의 방향을 탐색하며 셋째, ‘정서적 유대인물을 심리적 거리로 표현하기’를 통해 정서적 유대인물 및 유대인물과의 심리적 관계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While the psychological state, stress or emotion of gifted children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the psychological state of parents with gifted children has been hardly studied. Considering that daily breeding for emotion, recognition and social growth/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may be directly affected by psychological state of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the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is very important. Thus,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activities: first, to check the distribution of psychological energy currently used by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by making the mother fosterer indicate energy phi of 'myself at present'; second, to search the direction of change expected by the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through the activity of indicating energy phi of 'myself that is wished to be changed'; third, to express the emotionally related person by psychological distance so as to investigate the property of psychological relation with emotionally related person and related person.

      • KCI등재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통해 본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의 관계와 변화

        양태연,박상우,박인호,한기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과학 영재 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와의 관계가 어떠한 상관을 보이고 있고,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가 과학 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참여한 후에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았다. 이에 따라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48명의 중학생들을(남학생 : 95명, 여학생 53명)대상으로 과학 관련 태도 검사와 과학 불안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의 관계는 사전 검사에서 뚜렷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부분적으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영재 프로그램 참여 후 과학 영재들의 과학 관련 태도는 낮아졌고 과학 불안도는 증가하였다. 이 연구의 흥미로운 점은, 여러 선행 연구결과와는 달리 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과학 관련 태도가 낮아졌고 과학 불안도가 증가하였다는 점이다. This study examine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ce attitude, anxiety, and their relationship. In addition, sex differences in these variables were investigated. The main interest of the study, however, was to explore how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ce attitude and anxiety have changed before and after a gifted education experience. One hundred and forty-eight middle school students (95 boys and 53 girls) who enrolled in a gifted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indicate an increase in science anxiety and a decrease in science attitude after the six-month gifted program experienc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cience attitude and anxiety were found in pre-test, but some positive relationship existed in post-test. Interestingly, after the specialized gifted program, male students' science attitudes were lowered significantly. In contra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ale students.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rogramming issue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