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Yu Kilchun’s Concept of Reform of the Tax System in the Korean Empire

        Yang Jinah(양진아)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1 No.2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稅務部」는 유길준이 일본망명시절인 대한제국기 고종재위 기간에 작성한 문서로 추측된다. 갑오개혁기 수령 · 이서층으로부터 분리되었던 징세업무가 다시 수령과 이서층의 소관으로 복귀한 대한제국기 복고적 세무양상을 비판하는 성격의 문서이다. 유길준은 「稅務部」에서 州 · 郡 · 鄕 · 里制로의 개편을 전제로 한 세제개혁을 구상하였다. 面을 鄕으로 개편하려 한 구상은 面(鄕)을 관치 영역으로 편입하려 한 것이라는 점에서 유형원의 鄕里制 구상과 유사했다. 국세와는 별도의 지방관청 재원으로 지방세인 州稅와 鄕稅를 설치하고자 하였고, 國稅에 附加하는 방식으로 稅額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과세액은 예산심의 권한을 부여받은 지방의회 州會와 鄕會를 통해 결정하고자 하였다. 세원의 조사와 조세부과 · 징수 · 수납의 총괄적 세무 행정권한은 새롭게 관치 행정구역으로 편입된 鄕에 부여되었다. 이는 기존에 郡이 담당한 세원 조사, 조세부과 · 징수 권한을 鄕에 부여한 것으로 기존 조세수취과정에서 문제가 되었던 수령 · 이서층을 완전히 배제하려 한 구상이었다. 기존 연구에서 활용해온 유길준의 재정, 세제 관련 저작들은 시기적으로는 갑오개혁 이전, 내용적으로는 토지제도개혁론, 중앙의 조세제도개혁론에 관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稅務部」에서 지방행정구역과 지방세무의 개편을 비롯한 地方稅制개혁을 기술하여 유길준, 나아가 개화파 개혁 구상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稅務部」 발굴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Yu Kilchun in “Semubu (Tax Department)” criticizes the trend of the tax system, in which the authority to impose and collect taxes had been taken away from the local magistrates and the isŏ class (composed of hyangni, local functionaries, and sŏri, petty clerks) during the Kabo Reform was once again returned to them. Yu Kilchun devised a concept of tax system reform on the premise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into the chu-kun-hyang-ri (state-county-district-village) system. Yu’s idea was to make myŏn (hyang, district) a governing administrative unit, placed under direct government control. To fund the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Yu proposed to create local taxes, chu taxes and hyang. Tax amounts were to be determined by local assemblies, chuhoe and hyanghoe, which were given the authority to deliberate on budget. The authority to review tax sources, levy and collect taxes was given to hyang, a small unit of administrative division. By imbuing this authority to hyang, Yu Kilchun planned to exclude local magistrates and the isŏ class in the tax collection process. Since “Semubu” discusses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visions and local tax administration, as well as local tax system reform, the discovery of this text is significant, as it expands the range of the reform ideas proposed by Yu Kilchun, and furthermore the Enlightenment Party.

      • KCI등재

        갑신정변 이후 유길준의 재정개혁론

        양진아(Yang Jinah)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이 글에서는 유길준이 갑신정변 이후 시기에 작성한 稅制 관련 저술들을 정부재정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확인할 수 있었던 유길준의 재정개혁 구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길준은 정부재정을 확충하는 재원의 중심을 조세수입에 두고 있었다. 이는 조세납부를 정부에 대한 賃金지불에 비유한 納稅觀을 통해 뒷받침되었다. 조세수입 이외 또 다른 재원으로 내국채ㆍ외국채 모집을 구상하였지만 국채 원리금 상환 역시 결국 조세수입으로 해결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둘째, 조세수입을 조세의 증설을 통해 확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세원을 不動産과 動産으로 나누고 동산에 대한 과세를 구상했으며 기존의 무명잡세를 정식 조세로 전환하여 과세하고자 하였다. 또 토지세를 지가에 의한 것과 토지소출에 의한 것으로 나눠 부과하고자 하였고, 간접세가 조세저항이 적다는 점을 포착하여 직접세ㆍ간접세 개념을 도입하고자 했다. 셋째, 이와 같은 유길준의 재정개혁 구상은 增稅論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는 ‘重稅’가 타당하다는 주장을 통해 뒷받침되었고, 조세부담경감을 중시하는 전통시대 및 동시대 개화파의 재정론과 구별되었다. 오히려 같은 시기 일본에서 후쿠자와 유키치가 주장한 ‘地租輕減反對論’과 유사성이 있었다. 이러한 증세론은 조세저항을 야기할 우려가 있었는데 이는 재정 예ㆍ결산제도를 시행하여 인민에게 공개한다는 구상을 통해 해소될 수 있었다. 이러한 유길준의 구상은 외국방문과 유학을 통해 서양 근대재정운영시스템을 학습한 결과였고, 갑신정변 이후 심화되는 조선정부의 재정난에 대응해 제시한 개혁책이었다. 이후 단행되는 재정개혁들에서 조세 증설과 재정예결산제도의 시행 및 공개가 제한적이나마 실현된다는 점에서 유길준의 구상이 갖는 현실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Yu Giljun’s taxation related works written after the Gapsin Coup of 1884 from the standpoint of government finance. Yu Giljun’s financial reform pl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u Giljun perceived tax revenues as the main financial means through which the government could expand its finances. This came as part of his perception of taxation payments, which he compared to the payment of wages to the government. In addition to tax revenues, Yu also suggested th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bonds be issued, and emphasized that the repayment of the principal on these bonds be made from tax revenues. Second, Yu intended to secure tax revenues through the increase of taxation. More specifically, Yu broke down the sources of taxation into that stemming from real estate and personal property, established taxes on personal property, and changed the existing anonymous miscellaneous taxes into formal tax items. Furthermore, Yu separated land taxes into taxes based on land value and taxes based on crop yields. Cognizant that there would be less resistance to indirect taxes, he also intended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direct and indirect taxes. Third, Yu Giljun’s financial reform plan can be summarized by his theory regarding tax increases. In this regard, he maintained that ‘heavy duties (重稅)’ were appropriate, a stance that differed from the financial theories of traditional officials and the progressive party, who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reduction of the tax burden. Yu’s position on financial reform plan in fact had more in common similarity with Fukuzawa Yukichi, who also opposed the easing of the tax burden. While the notion of increasing taxes could lead to tax resistance, this could in turn be mitigated by the implementation of transparent financial budgets and accounts systems. Yu Giljun’s financial reform plan were the result of his firsthand study of the modern Western financial management system during his time abroad. Yu suggested these reform plans as a way to counter the worsening financial difficulties of the Joseon government in the aftermath of the Gapsin Coup. One can see the realistic potential of Yu Giljun’s initiatives in the fact that although limited, his concepts of tax increases and the implementation of transparent financial budgets and accounts systems were subsequently implemented as part of financial re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