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사회간접자본 스톡의 추계

        양지청 한국재정학회 1992 재정논집 Vol.6 No.-

        It is believed that social overhead capital(SOC) is one of the essential contributors for economic growth in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Recently in Korea, public is irate over the problems caused by insufficient investment in the social overhead capital(SOC). Congestion problems in harbour capacity as well as highway, urban main roads are in the public eye. Hence, with limited resources, government has to invest in infra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the SOC system properly to cope with the future challenging demands. This study develops the methods of estimating the stock of social overhead capital in Korea. Polynomial benchmark year approaches were used to derive the depreciation rate and increase in SOC stock was estimated. In Korea, stock in social overhead capital was not increased proportionally in relation to the amount of sectoral investment. This was caused mainly by rapid increase in land pri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개발제한구역 정책기조변화와 전망

        양지청,김선웅 한국지역학회 2013 지역연구 Vol.29 No.4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estricted development zone policy, the so called green belt including the policy change and recent agenda are reviewed. One of the major policy agenda recently discussed is active respondence towards climate change and low carbon society. The recent trend is to reevaluate the value of green socio-economically. After analyzing the policies for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 we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policy paradigm of the green belt should be operating and NGO movement to maintain the green belt is very important. In almost every presidential election, policies utilizing the green belt are propelled by the various purposes such as public housing, public building, etc after deregulation. From 1999 in Korea, deregulation for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s are already realized to some degree. Hence, to preserve the green belt for the future or at least minimize the change of green belt, persuasive efforts and social movements to place green as one of the highest value are important. From the result of policy changes and movement of the local government to get some more use of the green belt, we suggested that it will be better to preserve and maintain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 to minimize the change in land use within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 본 논문은 전국의 14개 권역 중 7개 중소도시권은 전면 해제되고 7개 대도시권은 유지되는 차원에서 개발제한구역의 정책적 동향과 향후 전망을 비전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개발제한구역 정책의 역사적 배경, 소위 그린벨트의 정책적 변화와 최근의 정책 어젠다를 포함하여 심도 있는 검토를 하였다. 이중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주요 정책 과제 중의 하나는 기후변화와 저탄소사회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과 관련한 것으로서 최근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경제적인 가치를 재평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린벨트의 정책적 패러다임이 과거부터 변화되고 있으나 도시의 허파역할 등 과거부터 상당부분 중요한 기여를 해 온 것도 사실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거의 모든 대통령 선거에 있어서 공공부분의 도시계획시설이나 주택공급을 위한 다양한 활용을 위해 개발제한구역의 규제완화나 해제가 추진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 제도적으로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규제완화는 1999년부터 현실화 되었다. 이러한 해제와 개발과정을 살펴볼 때 향후 그린벨트를 보존하기 위해서 또는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설득적인 노력과 운동 - 그린, 즉 녹색을 가장 높은 가치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는 사회적 운동 - 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개발제한구역의 이미 해제된 지역을 통하여 단순히 주택공급을 하기 보다는 수도권의 일자리 창출과 생산성 제고를 위해 토지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들 지역을 제외한 지역에 대해서는 개발제한구역을 유지하고 보존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대규모 공공투자 사업이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측정방안

        양지청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3 國土計劃 Vol.38 No.4

        This paper is aiming at deriving the measurement alternatives for the large scale public investment impact. It is our belief that during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public investment has played very important roles on regional planning as well as national development. This paper suggests the another approach including impact zone measurement index(IZMI) concept, estimation concepts and procedures applying modern nonparametric estimations. IZMI can be expressed using DI(distance factor), Z(related impact variables such as industrial complex or sightseeing place, leisure park effects), CAR(car possession number per person), DOR(ratio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other expressway and a specified expressway). The examples for this estimation are implemented using Korean data and West Sea(Seohae) Expressway case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ctangular public investment projects.I.키 워 드 공공투자, 영향측정, 영향권 지수, 비모수 추정방법, 사후정책 평가 Keywords Public Investment, Impact Measurement, Impact Zone Measurement Index, Nonparametric Estimation, Ex-post Policy Evaluation

      • 지방중소기업 자원지원 정책의 평가: DEA 기업의 활용

        양지청,이해춘,신동진 한국재정학회 2005 공공경제 Vol.10 No.2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이용하여 지방중소기업 육성자금이 지원된 기업들 간의 상대적 효율성뿐만 아니라, 주요 기업군 간에 효율성을 비교함으로써, 중소기업 지원자금의 성과평가를 직접 실수요자들의 성과를 중심으로 측정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먼저 기술효율성점수를 계산한 결과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중소기업의 효율성이 높고, 아울러 이들 기업군에 속한 중화학공업기업의 효율성이 높았다. 또한 육성자금 지원측면에서 지방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 기업군에 비해 기타 정책자금 지원기업군의 기술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중소기업 육성자금과 기타 정책자금 지원의 활용도를 살펴보면, 기타 정책자금의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총 요소생산성측면에서 관찰하면, 중소기업의 경우 생산성이 개선되고 있지만, 그 개선 폭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생산성은 소규모 기업이 대규모 기업군에 비해 높게 개선되고 있으며, 자금지원에서 육성자금 지원기업군이 기타 정책자금 지원 기업군에 비해 약하게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ocal small & medium size firm's promotion fund and compares the firm's technical efficiency, Malmquist index using DEA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fund policy by direct evaluation of firm's efficiency. Based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we can conclude that the promotion fund for local small & medium size firms is worse than other type of firm supported fund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attempt a direct measur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fund policy us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firms. Especially,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iveness of fund policy on local small & medium size firm's management. Reflecting the results and experiences from the implementation of fund policy, efficient allocation of future funds must be constituted and re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