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집약쑥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분석

        류수노,양종진,이동진 한국작물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0 No.S

        약쑥의 식물종 판별을 위해 SAW센서가 부착된 GC로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재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없이 분석되어 15초 이내에 분석된 크로마토그램을 VaporPrintTM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패턴화 하였으며 패턴인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싸주아리쑥과 사자발쑥, 인진쑥의 패턴 차이를 조사하였다. 1. 싸주아리쑥, 사자발쑥, 인진쑥의 휘발성분의 분석을 통해 polar derivative패턴이 확연히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용매추출과 같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전처리의 과정없이 20초간의 Vapor성분 분석만으로도 쑥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었다. 2.쑥의 보존기간별 향의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수확당년의 시료에 비해 해가 갈수록 성분들의 양이 줄어듦이 확인되었고 2년 이후의 시료들에서는 그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4분대의 특정향기성분의 경우에는 오히려 그 양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three varieties of Mugwort by using the electronic nose. Volatile components from these products were discriminated by the VaporPrintTM without pretreatment. Pattern recognition was carried out, VaporPrintTM analysis showed the differences among locally produced ones. Polar derivative pattern for the collected mugwort using VaporPrintTM between Sajabalssuk and Sajuarissuk had no difference, but Ssajuarissuk nnd Injinssuk had a lot of difference. Thus aroma pattern between locally produced ones could be distinguished.

      • KCI등재

        수집약쑥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분석

        류수노,양종진,이동진,Ryu Su-Noh,Yang Jong-Jin,Lee Dong-Jin 한국작물학회 2005 한국작물학회지 Vol.50 No.suppl1

        약쑥의 식물종 판별을 위해 SAW센서가 부착된 GC로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재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없이 분석되어 15초 이내에 분석된 크로마토그램을 $VaporPrint^{TM}$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패턴화 하였으며 패턴인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싸주아리쑥과 사자발쑥, 인진쑥의 패턴 차이를 조사하였다. 1. 싸주아리쑥, 사자발쑥, 인진쑥의 휘발성분의 분석을 통해 polar derivative패턴이 확연히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용매추출과 같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전처리의 과정없이 20초간의 Vapor성분 분석만으로도 쑥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었다. 2.쑥의 보존기간별 향의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수확당년의 시료에 비해 해가 갈수록 성분들의 양이 줄어듦이 확인되었고 2년 이후의 시료들에서는 그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4분대의 특정향기성분의 경우에는 오히려 그 양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three varieties of Mugwort by using the electronic nose. Volatile components from these products were discriminated by the $VaporPrint^{TM}$ without pretreatment. Pattern recognition was carried out, $VaporPrint^{TM}$ analysis showed the differences among locally produced ones. Polar derivative pattern for the collected mugwort using $VaporPrint^{TM}$ between Sajabalssuk and Sajuarissuk had no difference, but Ssajuarissuk nnd Injinssuk had a lot of difference. Thus aroma pattern between locally produced ones could be distinguished.

      • KCI등재

        흑자색미의 C3G 색소함량 신속 예측모델 개발

        류수노,양종진,박순직 한국작물학회 2005 한국작물학회지 Vol.50 No.S

        흑자색미의 C3C함량을 신속하게 분석하는데, FT-NIR을 이용한 C3G 함량 분석의 예측값과 HPLC 측정값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1. FT-NIR을 이용한 C3G 함량 분석에서 사용된 시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없이 현미 상태 측정하여 HPLC 분석방법에 비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다. 2. 흑진주벼와 수원425호를 교배한 F10 385 계통을 사용하여 얻은 FT-NIR 검량식은 매우 높은 정상관을 보였다(R2=0.943 , SEE=0.116). 이 검량식을 검증한 결과도 매우 높은 정상관을 보이고 실험오차도 매우 적어(R2=0.928 , SEP=0.122) 측정정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3. 본 연구의 결과, FT-NIR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신속하게 흑자색미의 C3G함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C3G함량이 높은 벼를 개발하는데 많은 양의 시료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Cyanidin 3-Glu-coside (C3G) of the black pigmented rice was as the high anti-oxidency and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However, the analysis of C3G by HPLC is needed long pre-treated steps, so development of methods with simple pre-treated steps is needed in order to breed vices with high C3G contents. The analysis of components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NIR) was well known as non pre-treated and nondestructive. C3G contents of Bengjinjubyeo~times Suwon425 F10 385 lines were used in order to develop C3G content prediction model in pigmented rice using FT-NIR. The results of C3G content of FT-NIR compared with HPLC were showed that the equation was f(x)=0.9427x+34.0430, R2 , standard error of calibration was 0.943, 0.116 and those of validation was 0.928, 0.122, respectively. This prediction model will be able to be used for analyzing C3G contents in black pigmented rice.

      • KCI등재

        흑자색미의 C3G 색소함량 신속 예측모델 개발

        류수노,양종진,박순직,Ryu Su-Noh,Yang Jong-Jin,Park Sun-Zik 한국작물학회 2005 한국작물학회지 Vol.50 No.suppl1

        흑자색미의 C3C함량을 신속하게 분석하는데, FT-NIR을 이용한 C3G 함량 분석의 예측값과 HPLC 측정값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1. FT-NIR을 이용한 C3G 함량 분석에서 사용된 시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없이 현미 상태 측정하여 HPLC 분석방법에 비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다. 2. 흑진주벼와 수원425호를 교배한 $F_{10}$ 385 계통을 사용하여 얻은 FT-NIR 검량식은 매우 높은 정상관을 보였다($R^2=0.943$, SEE=0.116). 이 검량식을 검증한 결과도 매우 높은 정상관을 보이고 실험오차도 매우 적어($R^2=0.928$, SEP=0.122) 측정정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3. 본 연구의 결과, FT-NIR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신속하게 흑자색미의 C3G함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C3G함량이 높은 벼를 개발하는데 많은 양의 시료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Cyanidin 3-Glu-coside (C3G) of the black pigmented rice was as the high anti-oxidency and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However, the analysis of C3G by HPLC is needed long pre-treated steps, so development of methods with simple pre-treated steps is needed in order to breed vices with high C3G contents. The analysis of components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NIR) was well known as non pre-treated and nondestructive. C3G contents of Bengjinjubyeo$\times$Suwon425 $F_{10}$ 385 lines were used in order to develop C3G content prediction model in pigmented rice using FT-NIR. The results of C3G content of FT-NIR compared with HPLC were showed that the equation was f(x)=0.9427x+34.0430, $R^2$, standard error of calibration was 0.943, 0.116 and those of validation was 0.928, 0.122, respectively. This prediction model will be able to be used for analyzing C3G contents in black pigmented rice.

      • KCI등재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변이

        류수노,한상숙,양종진,정해곤,강삼식 한국작물학회 2005 한국작물학회지 Vol.50 No.S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기능이 보고된 쑥의 eupatilin성분과 jaceosidin 성분 고함유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기능성 작물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개 지역의 도서벽지에서 수집한 자생쑥을 분석한 결과 강화~cdot백령도 지역의 수집 쑥에서 eupatilin과 jaceosidin함량이 높았다. 그 중 가장 높은 것은 강화의 싸주아리 쑥이었다. 2. 쑥의 채취시기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은 모두 5월 23일에서 6월 10일 사이 채취한 쑥에서 가장 높았다. 3 쑥의 식물체 부위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 함량은 상위엽이 하위엽보다 2배가량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jaceosidin 함량은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high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aining species and suppose the crop value of Mugwort (Artemisia sp.) investigating plant characteristics. Among the twelve collected mugworts, only one's of Ganghwa and Baekryeongdo contained the eupatilin and jaceosidin and the highest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ents weye obtained from the Ssajuarissuk collected in Ganghwa. The result of seasonal variation in eupatilin content indicated the highest contents from May 23 to June 10. Eupatilin content of leaves in upper was higher than in lower leaves and content of middle leaves was not higher than in upper leaves. And the highest eupatilin content found in the leaves of the upper part of the plant, almost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lower of the plant.

      • KCI등재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변이

        류수노,한상숙,양종진,정해곤,강삼식,Ryu Su-Noh,Han Sang-Suk,Yang Jong-Jin,Jeong Hae-Gon,Kang Sam-Sik 한국작물학회 2005 한국작물학회지 Vol.50 No.suppl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high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aining species and suppose the crop value of Mugwort (Artemisia sp.) investigating plant characteristics. Among the twelve collected mugworts, only one's of Ganghwa and Baekryeongdo contained the eupatilin and jaceosidin and the highest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ents weye obtained from the Ssajuarissuk collected in Ganghwa. The result of seasonal variation in eupatilin content indicated the highest contents from May 23 to June 10. Eupatilin content of leaves in upper was higher than in lower leaves and content of middle leaves was not higher than in upper leaves. And the highest eupatilin content found in the leaves of the upper part of the plant, almost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lower of the plant.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기능이 보고된 쑥의 eupatilin성분과 jaceosidin 성분 고함유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기능성 작물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개 지역의 도서벽지에서 수집한 자생쑥을 분석한 결과 강화${\cdot}$백령도 지역의 수집 쑥에서 eupatilin과 jaceosidin함량이 높았다. 그 중 가장 높은 것은 강화의 싸주아리 쑥이었다. 2. 쑥의 채취시기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은 모두 5월 23일에서 6월 10일 사이 채취한 쑥에서 가장 높았다. 3 쑥의 식물체 부위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 함량은 상위엽이 하위엽보다 2배가량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jaceosidin 함량은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